포도막염 명의 삼성서울병원 함돈일 교수

포도막염은 안구의 중간층인 포도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시력 상실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최근에는 고령화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포도막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포도막염 치료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세계적인 석학이 있습니다. 바로 삼성서울병원 안과 함돈일 교수입니다.

함돈일 교수 프로필
이름함돈일
소속삼성서울병원
진료과안과
진료분야막질환, 당뇨망막병증, 포도막염
학력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대표경력삼성서울병원 안과 과장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함돈일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안과에 재직중이다.

포도막염 명의 함돈일 교수

 

함돈일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레지던트, 전임강사, 부교수를 역임한 후, 2009년부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안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함 교수는 포도막염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인정받고 있는 명의이다. 그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국립보건원 국립안연구센터에서 포스트닥터 펠로우십을 수료했다.

함 교수는 황반변성으로 인한 변종 드루젠(망막세포층에 생기는 찌꺼기)이 아시아인에게 많이 생긴다는 것과 한국인은 황반변성의 원인이 신생혈관 생성뿐 아니라 유리체가 당겨 망막이 위축되는 것도 큰 원인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자가면역질환인 베체트병 때문에 포도막염이 생긴 환자 눈에 작은 약물칩을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망막종양 환자의 안구와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고용량 화학요법과 자가조혈모 세포이식을 병행하는 치료법을 성공했다. 망막세포종은 항암치료를 하면 방사선 때문에 두 눈을 모두 적출하거나 안면기형이 생기는 위험이 있었지만 이를 해결한 것이다.

함 교수는 또한, 포도막염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위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그는 면역치료제, 자가면역치료제 등의 새로운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다.

2020년부터 한국포도막학회 회장을 역임하며, 포도막염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그는 포도막염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며, 포도막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

함돈일 교수는 포도막염 치료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세계적인 석학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의 연구가 포도막염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진료시간

 

오전진료진료
오후진료
2023년 11월 기준 진료일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

1999.02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1997.02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
1988.0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1984.02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의예과 수료

경력

2019.04 ~현재삼성서울병원 안과 과장
2009.10 ~현재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교수
1997.03 ~현재삼성서울병원 안과 전문의
1992.03 ~현재안과 전문의 자격 취득
2003.10 ~ 2009.09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부교수
1999.10 ~ 2003.09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조교수
2001.03 ~ 2003.02미국 국립보건원 국립안연구센터 포스트닥터 펠로우십 수료
1997.09 ~ 1999.09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안과 전임강사
1996.05 ~ 1997.0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연구원(면역)
1995.05 ~ 1996.04서울대병원 안과 망막 전임의
1993.05 ~ 1995.04국군서울지구병원 안과 과장
1989.02 ~ 1992.02서울대학교병원 안과 레지던트 과정 수료
1988.03 ~ 1989.02서울대학교병원 인턴과정 수료

연구분야

활동성 비감염성 중간 포도막염, 후방 포도막염 또는 범포도막염의 치료에서 Gevokizumab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위약 대조 시험

학회활동

2020.01 ~ 현재한국포도막학회 회장

논문

  • EYE 2023 10.1038/s41433-023-02699-2The risk of fracture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visual disability: a nationwide cohort studyYoon, JM; Lim, DH; Lee, YB; Han, K; Kim, BS; Koo, HY; Jung, SY; Shin, DW; Ham, DIView PubMed
  • EUR J NEUROL 2023 10.1111/ene.15896Increased risk of Parkinson’s disease amongst patients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visual disability: A nationwide cohort studyYoon, JM; Lim, DH; Youn, J; Han, K; Kim, BS; Jung, W; Yeo, Y; Shin, DW; Ham, DIView PubMed
  • BMC OPHTHALMOL 2023 10.1186/s12886-023-03056-3Microperimetric evaluation for different methods of epiretinal membrane surgeryNam, SW; Byun, Z; Ham, DI; Kong, MGView PubMed
  • BMC OPHTHALMOL 2022 10.1186/s12886-022-02711-5Response to brolucizumab treatment for refractory serous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secondary to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Nam, SW; Byun, Z; Ham, DI; Kong, MGView PubMed
  • SCI REP-UK 2022 10.1038/s41598-022-25947-zLongitudinal change of reticular pseudodrusen area in ultrawide-field imagingYoon, JM; Choi, YJ; Ham, DIView PubMed
  • SCI REP-UK 2022 10.1038/s41598-022-22513-5Evaluation of the microperimetry in eyes with cuticular drusenNam, SW; Lee, JH; Byun, Z; Ham, DI; Kong, MView PubMed
  • SCI REP-UK 2022 10.1038/s41598-022-09608-9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eyes presenting with cuticular drusen and reticular pseudodrusenYoon, JM; Shin, DH; Kong, M; Ham, DIView PubMed
  • BRIT J OPHTHALMOL 2021 10.1136/bjophthalmol-2020-316512Heritability of macular ganglion cell inner plexiform layer thickness as determin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he Healthy Twin StudyKong, M; Hwang, S; Ko, H; Lee, GI; Kang, M; Sung, J; Song, YM; Ham, DIView PubMed

여담 및 관련기사

 

  1. 영상 – [안과]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포도막염 / 삼성서울병원 안과 함돈일
  2. 언론 – [And 건강] 결막염인 줄 알았는데… 젊은층 실명 부르는 ‘포도막염’
  3. 언론 – 황반변성(서양 노인 실명 원인 1위), 한국도 안심지대 아니다
  4. 언론 – 실명 위험 큰 포도막염 레티서트 치료효과있다
  5. 언론 – 어어~직선인데 곡선으로 보여요…시력상실 부르는 황반변성
  6. 언론 – 나이관련 황반변성, 골절 위험도 높인다
  7. 언론 – “포도막염은 난치·실명질환? 이제는 옛날 얘기” [헬스조선 명의]
  8. 언론 – 삼성서울병원, 국내 최초 안과 유전자치료제 투여 성공
  9. 언론 –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면 다 노안?
  10. 언론 – 망막세포종 환자 안구-시력 보존 치료법 개발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