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최고 권위자 심태선 교수

결핵은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질병입니다. 이는 전염성이 강하며, 적절한 치료 없이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병으로, 환자들에게 불안과 공포를 주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는 결핵의 효과적인 치료와 예방에 헌신하는 전문가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 중 한 명인 심태선 교수는 결핵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연구와 노력은 이 병에 대해 우리가 이해하는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꾸어 왔으며, 많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였습니다. 이 글을 통해 심태선 교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심태선 교수
이름심태선
소속서울아산병원
진료과호흡기내과
진료분야폐결핵, 비결핵항산균폐질환, 폐이식, 호흡기질환
학력충북대학교 의학 박사
대표경력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과장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폐결핵 분야 명의로 알려져있는 심태선 교수는 현재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에 재직중이다.

진료시간

 

오전진료진료진료진료
오후
2023년 0*월 기준 진료일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

  • 1998 .03 ~ 2000 .08충북대학교  의학 박사
  • 1996 .03 ~ 1998 .02서울대학교  의학 석사
  • 1982 .03 ~ 1988 .02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경력

  • 2013 .03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과장
  • 2013 .01 ~ 2018 .12서울아산병원 교육수련실장
  • 2011 .03 ~ 2013 .02보건복지부 결핵전문위원회 위원장
  • 2001 .03 ~ 2002 .08Colorado State University 방문교수
  • 1997 .03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 1996 .03 ~ 1997 .02서울아산병원 전임의
  • 1995 .05 ~ 1996 .02서울대병원 내과 전임의
  • 1988 .03 ~ 1992 .02서울대병원 인턴, 전공의

연구발표

  • 면역억제자에서 발생한 결핵에서 QuantiFERON-TB Gold 와 T-SPOT 검사의 비교
  • 간세포암의 기관지내 전이
  •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 환자에서 CA-125 측정의 임상적 의의
  • 객담 및 동일 객담 배양 비결핵 항산균에서 분자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균 동정 결과의 비교
  • 젊은 연령에서 발생한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의 임상상
  • 자궁경부암의 과거력을 가진 환자에서 발견된 기관지내 종양의 고찰
  • clinical characterlistics and the usefulness of system corticosteroids in pulmonary tuberculosis with respiratory failure
  •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usefulness of systemic corticosteroids in pulmonary
  • 장기적 기계환기 치료시 기관절개술의 적절 시점에 대한 연구
  • 일개 정신지체 시설에서 집단 발병한 결핵의 접촉자 조사에서 Interferon Gamma Release Assay (IGRA)의 적용
  •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가 국내에서 결핵 및 MAC 폐질환의 감별에 유용한가?
  • FEV1와 FVC이 동시에 감소되어 있는 환자에서 폐기능 검사의 해석과 임상적 진단의 불일치
  • 국내 한 대학병원 직원들에서 결핵의 발생률에 대한 연구
  • 7년 이상 장기생존한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의 임상상
  • 다제내성결핵 환자에서 하루 300mg linezolid 의 치료효과
  • 결핵집단 발병 접촉자 조사에서 인터페론 감마 검사와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의 유용성
  • 비소세포폐암의 병기결정에 있어 integrated FDG PET/CT의 유용성
  • Chromosomal instability is an poor prognostic factor in adenocarcinoma of lung but not in squamous cell carcinoma : A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study on paraffin embedded tissue in Korean
  • 특발성 폐섬유증 예후예측에 있어 Composite physiologic index 의 유용성
  • 중증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들에게서의 복와위 후 동맥혈가스 소견의 변화와 생존과의 상관성

여담 및 관련기사

 

  1. 언론 – [단독] 아이랑 접촉하는데…문화센터 영유아 강사 ‘결핵’
  2. 언론 – “잠복결핵 진단땐 2년간 흉부 X선 검사를”
  3. 언론 – “폐 이식받은 3명 중 2명 5년 이상 생존”
  4. 언론 – 결핵 약, 맘대로 끊으면 내성 생겨 생명 위협
  5. 언론 – 심태선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결핵 완전조절 안돼… 활동성 환자 엄격 관리를”
  6. 언론 – 어린이집·학교에서 결핵 집단감염 급증… 年600건 발생
  7. 언론 – 국내 결핵 퇴치 성공 열쇠는 “신속 정확한 진단과 치료”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암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