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 명의 백종삼 교수 상계백병원

파킨슨병은 신경계 질환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이 앓고 있는 병입니다. 이 병은 뇌의 특정 부위가 점차적으로 기능을 상실함으로써 발생하며, 주로 운동 관련 증상을 초래하지만, 비운동장애라는 다른 증상들도 동반됩니다. 현재까지 완전한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이 분야에서 끊임없이 연구를 이어가는 많은 과학자들과 의사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한국의 백종삼 교수는 파킨슨병 연구에 헌신하며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백종삼 교수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종삼 교수
이름백종삼
소속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진료과신경과
진료분야운동장애, 치매, 파킨스씨병
학력의학박사 (연세대학교)
대표경력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신경과 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파킨슨 질환 명의로 알려진 백종삼 교수는 현재 상계백병원 신경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파킨슨 명의 백종삼 교수

 

백종삼 교수는 1993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1998년 신경과 전문의를 취득했습니다. 이후 신촌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전공의를 거쳐, 2001년부터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신경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백 교수는 파킨슨병 분야의 권위자로, 파킨슨병의 발병 기전과 치료법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파킨슨병 비운동장애에 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 최초로 도입한 뇌 실질 초음파 검사를 통해 파킨슨병 우울증 환자들의 특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백 교수는 대한신경과학회, 대한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학회, 세계 이상운동질환학회, 미국신경과학회, 캐나다 신경과학회 등 국내외 유수 학회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Movement Disorders Journal 등 국제 학술지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백 교수는 파킨슨병 환자들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파킨슨병 치료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진료시간

 

오전진료
오후진료진료진료
2023년 10월 기준 진료일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사항

  • 93 의학사 (연세대학교)
  • 97 의학석사 (연세대학교)
  • 01 의학박사 (연세대학교)

경력사항

  • 93-94 신촌세브란스병원 수련의
  • 94-98 신촌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전공의
  • 00-01 경기도립노인전문병원 신경과장
  • 01-현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과
  • 05-06 캐나다 토론토대학 파킨슨병센터 연구원
  • 현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신경과 교수

주요활동

  • 대한신경과학회 정회원
  • 대한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학회 정회원
  • 세계 이상운동질환학회 정회원
  • 미국신경과학회 정회원
  • 캐나다 신경과학회 정회원
  •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 Reviewer
  • Movement Disorders Journal Reviewer

여담 및 관련기사

 

  1. 언론 – [젊은 명의들-<31>상계백병원 신경과 백종삼 교수]치매보다 무서운 파킨슨병…15년간 불모지 일궈온 뉴 프런티어
  2. 언론 – <31>파킨슨병의 개척자…상계백병원 신경과 백종삼 교수
  3. 언론 – 백병원 의료진, 파킨슨병 치료사례 공유·치료 모색
  4. 언론 – ‘스마트’와 ‘돌봄’의 시대…파킨슨질환에도 희망의 바람 분다
  5. 언론 – ‘파르르’ 갑작스런 눈떨림, 방치해도 될까?
  6. 언론 – 한국 파킨슨병 전문가 머리 맞댄다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암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