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퇴행성관절염 환자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 새 퇴행성관절염으로 진료받은 60대 이상 환자는 209만여 명에서 252만여 명으로 약 20% 증가했다. 무릎관절은 운동 범위가 크고 몸무게를 많이 지탱해 다리 관절 중에서도 퇴행성 관절염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부위다.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 명의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김강일 교수에 대해 알아보겠다.
김강일 교수 | |
이름 | 김강일 |
소속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
진료과 | 정형외과, 관절센터 |
진료분야 | 무릎 (슬관절), 인공관절 수술, 관절보존 절골술, 컴퓨터응용 수술, 다리교정 수술,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무릎주위 골절 |
학력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
대표경력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퇴행성 무릎 관절염 명의 김강일 교수 현재 강동경희대학교병원에 재직중이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프로필
학력
Harvard Medical School, Surgical Leadership Program 수료 (2022.3.19~2023.3.16) |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석사 |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 |
경희대학교 우수 장학생 입학 |
경력
현재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장 |
---|---|
2011~ 현재 | 중국 연변 제2인민병원 객좌교수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심의조정처장 |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협진진료처장 |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적정관리실장 |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국제진료센터장 |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국제교류실장 |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형외과장 |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관절류마티스센터 센터장 | |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겸직교수 |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부교수 |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조교수 | |
국립경상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조교수 |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임상강사 | |
경희의료원 정형외과 전문의 과정 수료 | |
미국 필라델피아 Thomas Jefferson 의대 Rothman Institute 인공관절 Fellowship 수료 | |
일본 Showa대학 정형외과 교환방문교수 (절골술, 관절경 수술) | |
미국 시카고 Northwestern Memorial Hospital 방문교수 (최소침습및 네비게이션 관절수술) | |
이탈리아 Pavia대학 정형외과 방문교수 (최소침습 인공 슬관절 수술) | |
일본 Okayama대학 정형외과 Post-Doc (인공관절분야) | |
일본 Kyushu대학 정형외과 방문교수 (대퇴골 절골술) | |
독일 Zentrum Centre 하지 연장수술 (Fitbone) 방문교수 | |
독일 Ludwig-Maximilian대학 (뮌헨의대) 다리 교정 및 연장수술 연수 | |
미국 일리노이 Sarah Bush Lincoln Bonutti Clinic 연수 (최소침습 인공 슬관절수술) |
활동
현재 | 대한정형외과학회 이사 |
---|---|
현재 | 대한정형외과학회 수련교육위원회 직능이사 |
현재 | 대한슬관절학회 편집위원장 |
현재 | 대한슬관절학회 평의원 |
현재 | 대한골절학회 평의원 |
현재 | 대한정형외과연구학회 평의원 |
현재 | 대한줄기세포,조직재생학회 이사 |
현재 | 대한운동계줄기세포재생의학회 평의원 |
현재 | 대한골절학회 학술위원 |
현재 | 국제학술지 Journal of Arthroplasty, Editorial Board |
현재 | 국제학술지 Knee Suregry and Related Research, Editor-in-Chief |
현재 | 국제학술지 Arthroplasty, Editorial Board |
현재 | 보건복지부 국민연금재심사위원회 의학자문위원 |
현재 | 경희대학교 총동문회 이사 |
2017~ 2020 | 대한정형외과학회 고시위원장 |
2010~ 2011 | 대한정형외과학회 총무 |
대한고관절학회 편집위원 | |
대한골절학회 감사 | |
대한류마티스학회 감사 | |
대한골다공증학회 임원 | |
근로복지공단 산재보상 심사위원 | |
KBS ‘건강365’ 정형외과 담당교수 역임 | |
미국 정형외과학회 (AAOS) 회원 | |
아시아태평양 인공관절학회 (APAS) 정회원 | |
아시아태평양 정형외과학회 (APOA) 정회원 | |
국제정형외과 및 외상학회 (SICOT) 정회원 | |
미국고관절∙슬관절학회 (AAHKS) 회원 | |
미국정형외과학회(AAOS)회원 |
여담 및 관련기사
- 언론 – [국민일보] 무릎 관절염 새 줄기세포치료제 실용화 절실…“환자 선택권 넓어져야”
- 언론 – ebs 명의 15년 – 퇴행성관절염, 다시 걷는 사람들
- 언론 – 강동경희대병원 김강일 교수, EBS 명의 출연
- 언론 – [명의 스페셜] 수술이 답? – 무릎, 척추 통증을 잡아라!
- 언론 – 계단 오르기 힘들고 다리 변형 심하면 ‘인공관절수술’ 받아야
- 언론 – 무릎 인공관절 수술의 골든타임을 찾아서…EBS1 ‘명의’
- 언론 – 인공관절수술 많이 들어봤는데… 구체적인 수술 과정은?
- 언론 – 고혈압·당뇨 앓는 노모, 무릎인공관절 수술 괜찮을까
- 언론 – [KCBN 특집다큐]대암의 후예들 그 빛을 발하다 3부 솔롱고스 100년의 빛을 발하다
- 더 많은 자료를 원한다면 메디제인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암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