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명의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

오늘 소개할 의사는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의 최의근 교수님 입니다. 부정맥 및 심장 질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전문가로 전문 지식과 풍부한 임상 경험은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해주고 있습니다. 그럼 더욱 자세히 최의근 교수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의근 교수 프로필
이름최의근
소속서울대학교병원
진료과순환기내과
진료분야부정맥, 두근거림, 빈맥, 심방세동, 발작성심실상성빈맥, WPW증후군, 심전도이상, 심정지, 서맥, 실신
학력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대표경력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법인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최의근 교수는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에서 활약 중인 최의근 교수는 부정맥과 심장 질환의 선도적인 전문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원에서 의학석사와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심장학 분야에 대한 깊은 전문 지식과 연구 역량을 쌓아왔다.

최 교수는 2009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에서 임상조교수로 시작하여 임상부교수, 임상교수를 거쳐 현재는 법인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러한 경력을 통해 최 교수는 순환기 내과 분야에서의 임상 경험과 교육, 연구 역량을 겸비한 의료 전문가로 성장했다.

진료 분야에서는 부정맥, 두근거림, 빈맥, 심방세동, 발작성심실상성빈맥, WPW증후군, 심전도이상, 심정지, 서맥, 실신 등 다양한 심장 질환을 다루며, 환자들에게 정밀한 진단과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최 교수는 특히 심장 질환의 조기 발견과 예방, 그리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 개발에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학회 활동 면에서도 최 교수는 대한부정맥연구회, 대한심장학회, 대한내과학회의 정회원으로 활동하며, 국내외 심장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학회들에서의 활동을 통해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다른 전문가들과의 지식 교류를 통해 심장 질환 치료법의 혁신을 모색하고 있다.

진료시간

 

오전진료진료
오후진료진료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정보

기간학력
2005 ~ 2008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2000 ~ 2002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1992 ~ 1998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경력 및 연수

기간경력 및 연수
2021. 9.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법인교수
2019. 3. ~ 2021. 8.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임상교수
2013. 1. ~ 2019. 2.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임상부교수
2009. 9. ~ 2013. 9.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임상조교수

학회활동

기간학회활동
2008 ~ 현재대한부정맥연구회 정회원
2006 ~ 현재대한심장학회 정회원
2002 ~ 현재대한내과학회 정회원

논문

총 : 246 건

제목Acute and long-term efficacy of ablation index-guided higher power shorter duration ablation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 prospective registry
발표지J Arrhythm발표년월2021
공동연구자Lee SR, Park HS, Choi EK (corresponding author), Lee E, Oh S
제목Risk of Atrial Fibrillation in Young Adults With Isolated Diastolic, Isolated Systolic, and Systolic-Diastolic Hypertension
발표지Hypertension발표년월2021
공동연구자Lee SR, Han KD, Choi EK (corresponding author), Ahn HJ, Oh S, Lip GYH
제목Risk of Atrial Fibrillation According to Cancer Typ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발표지JACC CardioOncol발표년월2021
공동연구자Yun JP, Choi EK (corresponding author), Han KD, Park SH, Jung JH, Park SH, Ahn HJ, Lim JH, Lee SR, Oh S
제목Comparing Warfarin and 4 Direct Oral Anticoagulants for the Risk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발표지Stroke발표년월2021
공동연구자Lee SR, Choi EK (corresponding author), Park SH, Jung JH, Han KD, Oh S, Lip GYH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1. 영상 – (eng)심방세동, 증상이 없어도 꼭 치료해야 하는 이유|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 Atrial fibriillation without sympytoms needs treatment
  2. 영상 – Maven Customer Story #001 서울대학교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
  3. 영상 – 1분 내 심장 이상, 부정맥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 | 건강톡톡 EP.300 서울대병원 최의근 교수
  4. 영상 – 아이언맨? 부정맥 시술 제대로 알려드립니다 | 건강톡톡 EP.301 서울대병원 최의근 교수
  5. 영상 – 느리게 뛰는 심장, 빨리 뛰는 심장 중 더 위험한 것은? 부정맥 궁금증 | 건강톡톡 Ep.302 서울대병원 최의근 교수
  6. 서울대병원, CSP 인공심박동기 삽입술 200례 달성
  7. 당뇨 환자, 심방세동 주의…당뇨발 악화로 절단 위험 4배 ↑
  8. “설렐 일 없는데 두근두근? 부정맥 확인부터” 전문의 경고[건강 팁]
  9. ‘이 질환’ 앓는 20∼30대, 심혈관 발생 위험↑
  10. “당뇨병 환자, 꾸준한 운동이 심방세동 위험 낮춘다”
  11. 20~30대라도 매일 술 한 잔 이상 마시면 뇌졸중 위험 20% 높아져
  12. 젊은 층도 과음하면 심방세동 위험 47% 증가
  13. “젊은 층 과도한 음주땐 심방세동 위험 47% 높아”

본 글은 함께 근무하는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한 작업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이나 메일로 연락 주시면, 빠른 시일 내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검증 후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들의 건강 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는 유익한 자료가 되길 바랍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