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최영식 교수

안녕하세요! 세브란스병원의 최영식 교수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교수님의 전문 분야와 학력, 그리고 주요 업적을 통해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함께 알아보시죠!

최영식 교수 프로필
이름최영식
소속세브란스병원
진료과산부인과
진료분야불임 및 생식내분비, 배란장애 및 무월경, 내시경수술(복강경 및 자궁경수술), 폐경
학력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산부인과학 박사
대표경력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최영식 교수는 현재 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최영식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학사(1997), 석사(2006), 박사(2014)를 취득하였다. 서울대병원에서 인턴(1997-1998)을 마치고, 육군 군의관으로 복무(1998-2001)한 후, 서울대병원 산부인과학교실 전공의(2001-2005)와 전임의(2005-2007)를 거쳤다. 이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 전임강사(2008-2009), 조교수(2009-2014), 부교수(2014-2020)를 역임한 후, 현재 교수로 재직 중이다(2020-현재).

최 교수의 전문 진료 분야는 불임 및 생식내분비, 배란장애 및 무월경, 내시경수술(복강경 및 자궁경수술), 폐경이다. 난임, 가임력 보존 및 임신 관련 상담은 난임클리닉에 문의가 필요하며, 자궁경부암세포 이상에 대한 예약은 불가하다.

최 교수는 대한산부인과학회, 대한생식의학회, 대한보조생식학회, 대한내분비학회, 대한폐경학회 등 다양한 학회에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생식내분비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학술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오전진료진료
오후진료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진료분야

  • 불임 및 생식내분비, 배란장애 및 무월경, 내시경수술(복강경 및 자궁경수술), 폐경

참고사항

  • 난임, 가임력보존, 임신관련상담은 난임클리닉 문의필요, 자궁경부암세포이상 예약불가

학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1997)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산부인과학 석사 (2006)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산부인과학 박사 (2014)

경력

  • 1997.03 – 1998.02 서울대병원 인턴
  • 1998.02 – 2001.04 육군 군의관
  • 2001.05 – 2005.02 서울대병원 산부인과학교실 전공의
  • 2005.03 – 2007.02 서울대병원 산부인과학교실 전임의
  • 2008.02 – 2009.0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전임강사
  • 2009.03 – 2014.0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조교수
  • 2014.03 – 2020.0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부교수
  • 2020.03 – 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교수

학술활동

  • 대한산부인과학회
  • 대한생식의학회
  • 대한보조생식학회
  • 대한내분비학회
  • 대한폐경학회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1. ✏️ 후기 까먹기전에 주절주절 해보는 복강경수술_2.(feat.신촌 세브란스 최영식교수님)
  2. 📰 언론 [인사]연세대학교의료원 세브란스병원 최영식 임상시험센터 의료기기임상시험부장 외
  3. 📰 언론 습관성유산·절박유산 똑똑한 대처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아래 댓글창을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좋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익명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