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최연호 교수

많은 분들이 힘들게 겪고 계신 질병과의 싸움, 그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의료의 세계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소개를 통해 삼성서울병원 최연호 교수님의 전문성이 여러분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최연호 교수 프로필
이름최연호
소속삼성서울병원
진료과소아청소년 소화기영양분과
진료분야크론병, 궤양성대장염, 복통, 구토, 변비, 설사, 혈변, 헬리코박터감염, 거대결장, 황달, 간염, 간이식, 소아영양, 소아내시경
학력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대표경력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최연호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소아청소년과 최연호 교수

 

연호 교수님은 현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동시에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의 정회원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최연호 교수님의 학력은 서울대학교에서 의학과 석사, 박사를 취득하였으며, 1988년에 의학사를 졸업하였다.

최연호 교수님의 전문적인 경력은 1988년 서울대학병원 인턴을 시작으로 이어져 왔다. 서울대학병원 소아과 전공의를 거친 후, 1992년부터 1995년까지 국군의 군의관으로 복무하였다. 그 후 인하대학병원 소아과에서 전임강사 및 조교수로 활약하였다. 2004년에는 미 UCLA, Dept. of Membrane Physiology에서 연수를 받았다. 최연호 교수님은 2001년부터 현재까지 성균관의과대학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며, 다양한 관리직을 맡아왔다.

최연호 교수님의 연구 분야는 소아청소년 크론병 특이 phenotyping에 따른 SNP 분석과 개인별 맞춤치료에 집중하고 있다. 소아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은 전세계적으로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것이 최연호 교수님의 주요 연구 목표이다.

현재 최연호 교수님은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학술이사, 대한헬리코박터 및 상부위장관 연구학회 학술위원, 대한소아소화기 영양학회 재무이사 등을 역임하며 학계에 기여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최연호 교수님의 업적과 노력을 알리고, 소아청소년 크론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진료시간

 

오전진료진료
오후진료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

1999.02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1992.02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
1988.0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경력

2019.01 ~현재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
2018.0101 ~현재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학장
2001.03 ~현재성균관의과대학 교수
2001.03 ~현재영양관리위원회 위원
2016.0101 ~ 2017.12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무부학장
2012.1101 ~ 2016.01삼성서울병원 환자행복추진실 차장/Happy spirit 팀장
2011.0201 ~ 2015.12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육부학장
2010.01 ~ 2011.12삼성국제진료센터기획단 신규사업팀장
2009.09 ~ 2011.08삼성서울병원 홍보실 실차장
2004.08 ~ 2005.08미 UCLA, Dept. of Membrane Physiology 연수
1996.03 ~ 2001.02인하대학병원 소아과 전임강사 및 조교수
1995.05 ~ 1996.02서울대병원 소아과 소화기영양 전임의
1992.04 ~ 1995.04육군(군의관)
1989.03 ~ 1992.02서울대학병원 소아과 전공의
1988.03 ~ 1989.02서울대학병원 인턴

연구분야

소아청소년 크론병 특이 phenotyping에 따른 SNP 분석과 개인별 맞춤치료
소아청소년기에 나타나는 크론병과 궤양성대장염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매우 급격히 발생율이 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소아청소년 크론병 및 궤양성 대장염 클리닉을 개설했고 환자의 증상별 맞춤치료 특히 면역억제제와 생물학적 주사제를 조기에 도입하여 매우 좋은 치료 성공율을 보이고 있다. 현재 이 분야에 대해 우리나라 소아청소년과에서 가장 업데이트된 치료법과 양질의 SCI 연구논문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아래와 같은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1) 크론병 특이 phenotyping에 따른 SNP 분석 2) Infliximab의 top down strategy의 우월성 확인 3) Infliximab과 VSL#3의 병용치료에 대한 장기추적 조사 4) Infliximab 투여 후 2주 ESR이 장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 조사

학회활동

2013.10 ~ 2015.10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학술이사
2007.03 ~ 2012.12대한헬리코박터 및 상부위장관 연구학회 학술위원
2005.10 ~ 2007.09대한소아소화기 영양학회 재무이사

논문

  • BIOMEDICINES 2023 10.3390/biomedicines11092575Efficacy of Combined Initial Treatment of Methotrexate with Infliximab in Pediatric Crohn’s Disease: A Pilot StudyKim, YZ; Kang, B; Kim, ES; Kwon, Y; Choe, YH; Kim, MJView PubMed
  • FRONT MED-LAUSANNE 2023 10.3389/fmed.2023.1231066Impact of the histologic grade of acute gastrointestinal graft-versus-host disease on outcomes in pediatric patients treated with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Kim, ES; Kwon, Y; Choe, YH; Kim, MJ; Yoo, KHView PubMed
  • ANN DERMATOL 2023 10.5021/ad.21.060Dual Biological Therapy for Ulcerative Colitis with Intractable Pyoderma GangrenosumLee, HC; Kwon, Y; Kim, ES; Ahn, S; Choe, YH; Kim, MJView PubMed
  • THER ADV GASTROENTER 2023 10.1177/17562848231170948Free antibodies-to-infliximab are biomarker for predicting the effect of dose intensification in pediatric Crohn’s disease patients with secondary loss of responseKim, ES; Kwon, Y; Choe, YH; Kim, MJView PubMed
  • FRONT IMMUNOL 2022 10.3389/fimmu.2022.996875Increased monocyte abundance as a marker for relapse after discontinuation of biologic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with deep remissionKwon, Y; Kim, YZ; Choe, YH; Kim, MJView PubMed
  • BIOMEDICINES 2022 10.3390/biomedicines10102372Cytokine Profile at Diagnosis Affecting Trough Concentration of Infliximab in Pediatric Crohn’s DiseaseKwon, Y; Kim, ES; Kim, YZ; Choe, YH; Kim, MJView PubMed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1. 영상 – 걱정 많고, 예민한 사람이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사는 방법 (최연호 교수)
  2. 영상 – 점점 ‘도태되는 사람’과 ‘성장하는 사람’의 차이 (최연호 교수)
  3. 영상 – [마음처방전] 부모가 만드는 아이의 질병! 병이 아니라 기억의 문제?! | 신간소개 최연호 교수의 기억 안아주기 1편
  4. 영상 – [ExCampus] 내일의 나쁜 기억(성균관대학교 의학과 최연호 교수)
  5. 영상 – [휴먼닥터] EP.02 입 짧고 밥 안 먹는 우리 아이, 밥 먹일 수 있는 방법은 따로 있습니다
  6. 영상 – [휴먼닥터] EP.08 병원에서 괜찮다는데 계속 아프다는 아이, 꾀병일까? 병 아닌 병, 신체화 증상의 원인과 치료법
  7. 영상 – 직감이 사람의 목숨을 좌우하기도 합니다 | 삼성서울병원 성균관의대 최연호 교수
  8. 영상 – ‘통찰지능’을 아시나요?…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힘 (최연호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JTBC 상암동 클라스
  9. [언론기사]의학 교과서는 틀렸다…내가 책 펴내는 이유2022.06.27
  10. [언론기사]세상살이 문해력 높이려면 필요한 ‘통찰지능’… 높이려면?2022.06.16
  11. [언론기사]설사·복통 반복… 과민성 대장증후군 아닌 ‘이 질환’ 의심2022.05.19
  12. [언론기사]겁에 질린 엄마 “혹시 난치병인가요?”…실은 검색이 낳은 ‘두려움병’2022.04.05
  13. [언론기사]”소아 변비, 병 아냐… 아이 믿어주면 저절로 나아”2022.01.31
  14. [언론기사]소아크론병 2년간 관해 보인 환자, ‘면역억제제 투여 중단 가능성’2022.01.25
  15. [언론기사][책읽아웃] 작지만 확실히 나쁜 기억, ‘소확혐’2021.01.14
  16. [언론기사]소아청소년 크론병 명의 최연호 교수 `기억 안아주기` 펴내2020.12.08
  17. [언론기사]’소확혐’, 나쁜 기억이 병을 만든다… 책 《기억 안아주기》2020.12.08
  18. [언론기사]’소확혐’ 신간 ‘기억 안아주기’ 저자 인터뷰 (홍혜걸 의학전문기자 & 성균관의대 학장 소아청소년과 최연호 교수)2020.12.04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