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장윤실 교수

많은 분들이 힘들게 겪고 계신 질병과의 싸움, 그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의료의 세계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소개를 통해 삼성서울병원 장윤실 교수님의 전문성이 여러분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장윤실 교수 프로필
이름장윤실
소속삼성서울병원
진료과소아청소년 신생아분과
진료분야위험신생아, 미숙아, 자궁내발육지연, 기타신생아질환
학력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대표경력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장윤실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소아청소년과 장윤실 교수

 

장윤실 교수님은 현재 삼성서울병원에서 미래의학연구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장, 세포치료연구센터장, 모아집중치료센터장으로 활동하며,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장윤실 교수님의 학력은 서울대학교에서 의학과 석사, 박사를 취득하였고, 1989년에 의학사를 졸업하였다.

장윤실 교수님의 전문적인 경력은 1989년 서울대학교병원 인턴으로 시작하였다. 그 후 서울대학교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서 소아과 전임의로 근무하였고, 1994년에 소아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였다. 장윤실 교수님은 1997년부터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에서 교수로 활동하였으며, 이후 다양한 관리직을 맡아왔다.

장윤실 교수님은 학회 활동에서도 활발하게 활약하고 있다. 현재 한국신생아네트워크(Korean Neonatal Network) 실행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또한, 여러 차례에 걸쳐 남양학술상, 석천학술상 등을 수상하며 학계에 기여하였다.

진료시간

 

오전진료
오후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

1997.02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1994.02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
1989.0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1985.02서울대학교 문리과 의예과 수료

경력

2021.04 ~현재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장
2021.04 ~현재삼성서울병원 미래의학연구원 세포치료연구센터장
2019.04 ~현재삼성서울병원 모아집중치료센터장
2012.03 ~현재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교수
2009.04 ~현재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1996.03 ~현재삼성서울병원 소아과 전문의 (신생아학)
2019.04 ~ 2021.03삼성서울병원 줄기세포재생의학연구소장
2003.04 ~ 2009.03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부교수
2003.08 ~ 2004.08미국 UCSF 연수 (신생아 뇌손상 연구)
1999.04 ~ 2003.03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조교수
1997.03 ~ 1999.03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과 전임강사
1995.01 ~ 1996.02삼성서울병원 소아과 전임의 (신생아학)
1994.03 ~ 1994.12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 전임의 (신생아학)
1994.03소아과 전문의 자격 취득
1990.03 ~ 1994.02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 레지던트 과정 수료
1989.03 ~ 1990.02서울대학교병원 인턴과정 수료

학회활동

2019.03 ~ 현재한국신생아네트워크(Korean Neonatal Network) 실행위원장
2013.04 ~ 2019.02한국신생아네트워크(Korean Neonatal Network) 간사
2013.10 ~ 2017.11Neonatal Medicine (대한신생아학회 공식학회지) 편집장
2011.10 ~ 2013.09대한신생아학회 조사통계위원장

수상이력

2020.12보건복지부장관 표창 (보건복지부)
2020.12국무총리표창 (행정안전부)
2015.10남양학술상 국내논문부문 (대한신생아학회)
2014.10석천학술상 논문부문 (대한소아과학회)
2012.12남양학술상 (대한주산의학회)
2011.10매일진암학술상 해외논문부문 (대한신생아학회)
2007.10남양학술상 국내부문 (대한신생아학회)
2001.10석천학술상 해외부문 (대한소아과학회)
2000.10석천연구상 해외부문 (대한소아과학회)

논문

  • APPL MICROBIOL BIOT 2023 10.1007/s00253-023-12771-2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 for screening congeni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newbornsPark, H; Kim, DR; Shin, A; Jeong, E; Son, S; Ahn, JH; Ahn, SY; Choi, SJ; Oh, SY; Chang, YS; Kim, YJ; Kang, MHView PubMed
  • THORAX 2023 10.1136/thorax-2022-219622Five-year follow-up of phase II trial of stromal cells for bronchopulmonary dysplasiaAhn, SY; Chang, YS; Lee, MH; Sung, S; Kim, A; Park, WSView PubMed
  • J KOREAN MED SCI 2023 10.3346/jkms.2023.38.e249The Multifacete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ngeni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From Pregnancy to Long-Term OutcomesKim, Y; Kim, YM; Kim, DR; Kim, HG; Sung, JH; Choi, SJ; Oh, SY; Kim, YJ; Chang, YS; Kim, D; Kim, JS; Moon, I; Roh, CRView PubMed
  • PEDIATR INFECT DIS J 2023 10.1097/INF.0000000000003931Microbiologic Epidemiology of Early-onset Sepsis in Neonates Born at & GE;35 0/7 Weeks’ Gestation in Korea During 2009-2018Yoon, Y; So, H; Lee, JK; Kim, D; Jo, KJ; Kim, HH; Kim, YJ; Lee, JA; Jo, DS; Kim, YK; Park, SE; Chang, YS; Kim, YJView PubMed
  • INT J MOL SCI 2023 10.3390/ijms24098256SOCS3 Protein Mediates the Therapeutic Efficacy of Mesenchymal Stem Cells against Acute Lung InjuryKim, YE; Sung, DK; Bang, Y; Sung, SI; Yang, MS; Ahn, SY; Chang, YSView PubMed
  • SEMIN PERINATOL 2023 10.1016/j.semperi.2023.151726Stem cells for neonatal brain injury-Lessons from the benchAhn, SY; Chang, YS; Park, WSView PubMed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1. [언론기사]삼성서울병원, 저체중 출생아의 선천성 동맥관개존증 ‘비수술적 폐쇄’ 성공2022.01.31
  2. [언론기사]미숙아 동맥관열림증 ‘수액 조절 보존치료’가 뜬다2020.07.09
  3. [언론기사]메디포스트 ‘뉴모스템’, 유망의료기술 선정2015.11.02
  4. [언론기사]메디포스트 ‘뉴모스템’ 미국 임상시험 착수2015.03.25
  5. [언론기사]여성 의사 숫자 크게 증가, 병원계에 점점 세지는 여풍(女風) 당당2015.01.15
  6. [언론기사]경향신문 여의열전(女醫列傳), 한국의 최고 여의사들을 발굴하다2014.12.23
  7. [TV&동영상]엄마 품의 기적, ‘캥거루 육아’로 미숙아 생존률 높인다2014.12.15
  8. [언론기사][우먼센스]이른둥이 전문 명의를 만나다2014.12.01
  9. [TV&동영상]노산… 미숙아는 급증, 신생아 중환자실은 부족2014.09.11
  10. [언론기사][여의열전]바야흐로 ‘여의사 시대’2014.04.10
  11. [언론기사][월간암]미숙아 만성폐질환, 줄기세포 임상시험 성공2014.02.28
  12. [언론기사]맞춤형 줄기세포 치료제는 한국이 앞서…33개 임상단계2014.02.20
  13. [언론기사]미숙아 만성폐질환 치료 줄기세포 추출 임상 성공2014.02.10
  14. [언론기사]이른둥이 출산율 증가…퇴원 후가 더 문제2013.11.22
  15. [언론기사]이른둥이 치료 최고 기록 ‘신생아학 대모’2014.01.23
  16. [언론기사]건강한 아기 원하면 8월에 ‘사랑’하세요2013.07.12
  17. [언론기사]선천성 기형 급증… 이유는?2013.05.27
  18. [언론기사]152일만에 태어난 초미숙아 살렸다2013.05.06
  19. [언론기사]0.5㎏ 신생아의 기적…극소 저체중아 국내 첫 생존2013.04.26
  20. [언론기사]메디포스트, 폐질환 치료제 2차 임상시험 실시2013.03.13
  21. [언론기사]새 생명에게 희망의 숨을 불어넣어주는 미숙아 치료의 대모(大母), 소아청소년과 장윤실 교수2013.02.28
  22. [언론기사]폐질환 치료제 ‘뉴모스템’ 임상시험 신청2012.06.18
  23. [언론기사]메디포스트 뉴모스템 임상2상 신청2012.06.01
  24. [언론기사]1270g 준혁이를 살려낸 250명의 기적2012.03.17
  25. [언론기사]임신 22주 미숙아 건강2008.06.25
  26. [언론기사]모유수유2008.07.31
  27. [언론기사]22주 440g 초미숙아 기적의 생명2008.06.25
  28. [언론기사]줄기세포로 폐질환치료 나선다2006.02.0
  29. [언론기사]세계 모유 수유 주간 수유 성공 전략2005.08.05
  30. [언론기사][테마] 439g 미숙아 희망이의 첫 어린이날2005.05.04
  31. [언론기사]뜻깊은 돌잔치2005.05.04
  32. [언론기사]다섯 엄지 공주들의 어린이날2005.05.04
  33. [언론기사]483g 미숙아, 2kg 건강한 아이로2006.05.03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