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질환의 복잡성과 다양성은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요구하는 분야로,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의 임종필 교수는 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물 중 하나입니다. 궤양성대장염, 크론병, 대장암 등 다양한 대장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임종필 교수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그의 전문성은 많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삶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임종필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임상 경험, 그리고 대장질환 치료에 대한 그의 접근 방식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임종필 교수 프로필 | |
![]() | |
이름 | 임종필 |
소속 | 서울대학교병원 |
진료과 | 소화기내과 |
진료분야 | 대장질환, 궤양성대장염, 크론병, 대장암, 직장암, 대장폴립과 조기대장암 치료내시경, 장결핵, 소장, 점막하종양 |
학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
대표경력 | 서울대학교병원 진료운영실장, 입원의학센터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임종필 교수는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서울대학교병원의 대장질환 전문가로 널리 알려진 임종필 교수는 의학 분야에서 깊이 있는 학문적 기반과 풍부한 임상 경험을 겸비한 인물이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과 학사 학위를 취득한 뒤, 같은 대학의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 석사 학위를, 의과대학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러한 탄탄한 학문적 배경은 임 교수가 대장질환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임종필 교수는 현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진료운영실장 및 입원의학센터장을 겸임하고 있으며, 소화기내과에서 임상교수로 활동 중이다. 2009년부터 소화기내과에서 임상조교수, 임상부교수를 거쳐 현재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임 교수는 꾸준히 환자 치료에 전념하며 임상 경험을 쌓아왔다. 또한,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한 경험은 국제적인 연구 활동에도 기여하며 임 교수의 전문 분야에 대한 식견을 넓혔다.
학회 활동에 있어서도 임종필 교수는 대한소화기학회, 대한헬리코박터 및 상부위장관연구학회, 대한장연구학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대한내과학회 등 다양한 학회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특히 ‘Gut and Liver’ 저널의 부편집장으로서 학술적 기여도를 인정받고 있다.
임 교수의 진료 분야는 대장질환에 특화되어 있으며, 궤양성대장염, 크론병, 대장암, 직장암, 대장폴립 및 조기대장암 치료내시경, 장결핵, 소장, 점막하종양 등의 질환을 다룬다. 특히 대장암과 조기대장암의 치료내시경 분야에서는 임 교수의 심도 깊은 연구와 임상 경험이 환자 치료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임종필 교수의 학문적 업적과 임상 경험은 대장질환 치료 분야에서 그를 두드러지게 만든다. 환자들에게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그의 끊임없는 노력과 연구는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의 활동이 대장질환 치료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프로필
학력정보
기간 | 학력 |
---|---|
2010 ~ 201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
2004 ~ 2006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석사 |
1993 ~ 1998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경력 및 연수
기간 | 경력 및 연수 |
---|---|
2023. 3. ~ 현재 | 서울대학교병원 진료운영실장, 입원의학센터장 |
2018. 9. ~ 현재 |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임상교수 |
2013. 1. ~ 2018. 8. |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임상부교수 |
2009. 9. ~ 2013. 9. |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임상조교수 |
2009. 3. ~ 2009. 8. |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헬스케어시스템 진료교수 |
2008 ~ 2009 | Case Western Reserve Univ. Research associate |
2006 ~ 2008 |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임상강사 |
학회활동
기간 | 학회활동 |
---|---|
2018. 3. ~ 현재 | Gut and Liver Deputy editor |
2009 ~ 현재 | 대한소화기학회 |
2009 ~ 현재 | 대한헬리코박터및상부위장관연구학회 |
2007 ~ 현재 | 대한장연구학회 |
2007 ~ 현재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2003 ~ 현재 | 대한내과학회 |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언론 – 항암-자폐증 치료 효과…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나온다
- 언론 – [리빙톡] 한달 넘게 시도때도 없이 배가 아프다면 혹시?
- 언론 – 85도에서 1분 이상 익히세요
- 언론 – 설사·복통 동반하는 여름철 급성 장염…
- 언론 – 冬장군이 몰고온 천식·피부건조증… “물 많이 마시고 잦은 목욕 피하세요”
- 언론 – 겨울철 식중독 주범은 십중팔구 노로바이러스
- 언론 – 독감 예방접종 아직? 지금이라도 맞으세요
- 언론 – 살모넬라, 대표적 식중독균…주로 육류 통해 감염
- 언론 – 끈질긴 ‘이것’…겨울에도 음식 조심해야하는 이유는?
- 언론 – 추운 겨울’ 뜻밖의 불청객… 식중독·가와사키병(임종필, 김기범 교수)
- 언론 – 돼지고기 푹 익혀 먹었는데 식중독이라고?
- 언론 – 위염 완치약 없어… 증상만 줄일 뿐
본 글은 함께 근무하는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한 작업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이나 메일로 연락 주시면, 빠른 시일 내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검증 후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들의 건강 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는 유익한 자료가 되길 바랍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