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인하대병원의 이정섭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교수님의 전문 분야, 학력, 그리고 주요 경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이정섭 교수님을 더 깊이 알아보시죠.
이 글은 광고 목적이 아닌 정보제공 목적입니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메디제인이 되겠습니다. 😊
이정섭 교수 프로필 | |
![]() | |
이름 | 이정섭 |
소속 | 인하대병원 |
진료과 | 정신건강의학과 |
진료분야 | ADHD, 틱장애, 청소년 우울장애, 청소년조현병, 자폐스펙트럼장애, 언어장애·학습장애 클리닉 |
학력 | 서울대학교 (의학박사) 의학 |
대표경력 | 발달장애인 거점병원 행동발달증진센터 센터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이정섭 교수는 현재 인하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인하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섭 교수는 현재 발달장애인 거점병원 행동발달증진센터 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며, 인하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의학 석사, 의학 학사를 취득한 후, 오랜 기간 동안 정신건강 분야에서 다양한 경력을 쌓아왔습니다.
그는 Harvard Medical School에서 Visiting Professor로 근무하였으며, 국립의료원 정신과 의무사무관을 역임하였습니다. 또한, 서울대병원과 인하대병원에서 전임의, 부교수, 과장, 주임교수로 활동하며 뛰어난 의료 전문성을 발휘하였습니다.
이정섭 교수는 다수의 학회에서 활발히 활동 중입니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 대한청소년정신의학회 정회원, 미국청소년정신의학회(AACAP) 정회원 등의 역할을 맡아왔으며,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의 간행이사겸 편집장, 총무이사, 학술이사로도 활약하였습니다.
* 페이지 하단의 댓글을 통해 교수님에 대한 후기와 정보를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프로필
학력
- 2000.08서울대학교 (의학박사) 의학
- 1991.02서울대학교 (의학석사) 의학
- 1987.02서울대학교 의학
주요경력
- 2019.10 ~ 현재발달장애인 거점병원 행동발달증진센터 센터장
- 2004.01 ~ 현재인하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 2008.01 ~ 2010.01인하대병원 정신과 주임교수
- 2004.08 ~ 2008.03인하대병원 정신과 과장
- 2003.01 ~ 2008.01인하대병원 정신과 부교수
- 2002.08 ~ 2004.01Harvard Medical School의 Visiting Professor
- 1995.01 ~ 1997.01국립의료원 정신과 의무사무관
- 1994.01 ~ 1995.01서울대병원 정신과 전임의
학회활동
-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
- 대한청소년정신의학회 정회원
- 미국청소년정신의학회(AACAP) 정회원
-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간행이사겸 편집장
-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총무이사, 학술이사 역임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 언론 인하대병원, 서울대병원과 발달장애 치료 ‘국제 PACT 심포지엄’ 개최 (11/17)
- 📰 언론 인하대병원, 발달장애인 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 개소
- 📰 언론 [인천/경기/굿모닝 건강칼럼]아동학대 피해땐 바로 전문의 치료 받아야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아래 댓글창을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좋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익명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인하대병원 지도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