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합니다! 오늘은 인하대병원의 박현선 교수님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교수님의 전문성, 학력, 주요 경력을 자세히 살펴보며 환자분들께 도움이 될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 이제 시작해 볼까요?
이 글은 광고 목적이 아닌 정보제공 목적입니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메디제인이 되겠습니다. 😊
박현선 교수 프로필 | |
![]() | |
이름 | 박현선 |
소속 | 인하대병원 |
진료과 | 신경외과 |
진료분야 | 뇌동맥류, 뇌혈관기형, 경동맥 협착증, 모야모야병 |
학력 | 연세대학교 (의학박사) 의학 |
대표경력 | 인하대병원 정보전략기획실장 인하대병원 인천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장 인하대병원 권역공공의료정책센터장 인하대병원 신경외과 과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박현선 교수는 현재 인하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박현선 교수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신경외과 분야에서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현재 인하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뇌혈관 수술 분야에서 특히 경동맥 수술, 모야모야병, 뇌동맥류, 뇌혈관 기형 수술 등에 전문성을 보유한 신경외과 수술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과거 신경외과 과장을 역임하며 부서 운영과 진료의 질 향상에 기여했으며, 사이버나이프센터장으로서 최첨단 방사선 치료 기술을 선도했다.
박 교수는 다양한 행정적 역할을 통해 병원 운영에도 기여해 왔다. 인하대병원 정보전략기획실장, 권역공공의료정책센터장, 기획조정실장 등의 직책을 맡아 의료 정책과 병원 기획을 주도했으며, 인천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장으로서 지역사회의 심뇌혈관질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영국 쉐필드대학과 Stanford Hospital Cyberknife Center에서 연수를 통해 국제적 수술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며 전문성을 확장했다.
박현선 교수는 뇌혈관 수술과 방사선 치료 분야에서 환자들에게 최선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다양한 연구와 학술 활동을 통해 신경외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헌신적인 의료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 페이지 하단의 댓글을 통해 교수님에 대한 후기와 정보를 공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센터 | 센터 | 센터 | |||
오후 |
프로필
📌 학력
- 1996.02연세대학교 (의학박사) 의학
- 1988.02연세대학교 (의학석사) 의학
- 1985.02연세대학교 (의학사) 의학
📌 주요경력
- 2020.06 ~ 2021.12인하대병원 정보전략기획실장
- 2019.09 ~ 2022.01인하대병원 권역공공의료정책센터장
- 2013.09 ~ 2020.05인하대병원 기획조정실장
- 2013.09 ~ 2014.05인하대병원 신관기획단장
- 2013.03 ~ 2013.09인하대병원 인천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장
- 2010.01 ~ 2012.04인하대병원 임상연구센터장
- 2006.01 ~ 2013.08인하대병원 신경외과 과장
- 2005.01 ~ 현재인하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 2008.01 ~ 2010.01인하대병원 사이버나이프센터장
- 2008.01 ~ 2009.01Standford Hospital Cyberknife Center, Short-term Visiting Fellow
- 2003.01 ~ 2004.01영국 쉐필드대학 연수
- 2001.01 ~ 2003.01인하대병원 신경외과 과장
- 2000.01 ~ 2004.01인하대병원 신경외과 부교수
- 1997.01 ~ 2000.01인하대병원 신경외과 조교수
- 1996.01 ~ 1997.01연세의대 신경외과 조교수
- 1993.01 ~ 1996.01연세의대 신경외과 강사
- 1991.01 ~ 1993.01국군일동병원 신경외과장
📌 주요 논문 및 저서
- 2009Kim NK, Choi BH, Huang X, Snyder BJ, Bukhari S, Kong TH, Park HS, Park HC, Park SR, Ha Y.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promotes survival of dopaminergic neurons in the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induced murine Parkinson’s disease model Eur J Neurosci. 29(5):891-900, 2009.
- 2009Kong T, Choi JK, Park HS, Choi BH, Snyder BJ, Bukhari S, Kim NK, Huang X, Park SR, Park HC, Ha Y., Reduction in programmed cell death and improvement in functional outcome of transient focal cerebral ischemia after administration of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in rats J Neurosurg. 111(1):155-63, 2009
- 2009Huan X, Kim JM, Kong TH, Park SR, Ha Y, Lim MH, Park HS, Yoon SH, Park HC, Park JO, Min BH, Choi BH; GM-CSF inhibits glial scar formation and shows long-term protective effect after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 277: 87-97, 2009
- 2009Kim JM, Lee MH, Kim KH, Ha Y, Choi JK, Park SR, Park HS, Park HC, Ahn CH, Kim SW, Choi BH;Gene therapy of neural cell injuries in vitro using the hypoxia-inducible GM-CSF expression plasmids and water-soluble lipopolymer (WSLP),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d 133(1) 60-67, 2009
- 2009Kim KH, Kim MH, LimYH, Park SR, Choi, BH, Park HC, Yoon SH, Min BH, Park HS A Comparative Biocompatibility Study of Chondrocyte-derived ECM and Silk Fibroin Scaffolds In Vitro and in Rat Acute Traumatic Brain Injury.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6(14) : 1420-1428, 2009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아래 댓글창을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좋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익명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인하대병원 지도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