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이진우 교수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하대병원의 이진우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이 글을 통해 교수님의 전문 분야, 학력, 그리고 중요한 성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함께 읽어보시죠.

이진우 교수 프로필
이름이진우
소속인하대병원
진료과소화기내과
진료분야간 질환, 간암, 간경변증, 간염, 간이식, 지방간 클리닉
학력인하대학교 (의학박사) 내과학
대표경력인하대병원 감사실장
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과장 겸 소화기센터장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이진우 교수는 현재 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이진우 교수인하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내과학 분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소화기내과 전문의로서 탄탄한 학문적 배경을 갖췄다. 현재 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과거 소화기내과 과장 겸 소화기센터장을 역임하며 소화기 질환 진료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인하대병원 감사실장대학건강센터 소장으로서 병원 운영과 관리에도 기여한 바 있다.

이 교수는 미국 브라운의대 간연구소에서 Research Fellowship을 수료하며 국제적인 연구 역량을 쌓았으며, 비알코올성 지방간 연구회의 회장을 역임하며 지방간 질환 연구에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 현재도 대한간학회대한간암학회에서 학술위원과 보험위원, 전산위원 등의 직책을 맡아 활발히 활동하며 학문적 기여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한국항공우주의학협회 연구이사 및 자문위원으로서 우주 환경과 건강 관련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진우 교수는 간 질환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소화기 질환의 진단과 치료 연구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방면에서 소화기내과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선도적 의료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오전진료진료진료
오후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학력

  • 2001.02인하대학교 (의학박사) 내과학
  • 1998.02인하대학교 (의학석사) 내과학
  • 1991.02인하대학교 의학

주요경력

  • 2019.07 ~ 2021.12인하대병원 감사실장
  • 2019.03 ~ 2023.02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과장 겸 소화기센터장
  • 2012.09 ~ 현재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 2008.01 ~ 2014.01인하대학교 대학건강센터 소장
  • 2007.09 ~ 2012.08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부교수
  • 2006.01 ~ 2007.01미국 브라운의대 간연구소 Research Fellowship
  • 2003.09 ~ 2007.08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조교수
  • 2001.09 ~ 2003.08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전임강사
  • 1999.05 ~ 2001.08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전임의
  • 1997.04 ~ 1999.04이천의료원 내과
  • 1992.03 ~ 1996.02인하의료원 내과 레지던트
  • 1991.03 ~ 1992.02인하의료원 인턴

학회활동

  • 비알코올성 지방간 연구회 위원
  • 한국항공우주의학협회 연구이사/자문위원
  • 대한간암학회 학술위원
  • 대한간학회 전산위원
  • 대한간학회 보험위원
  • 대한간학회 학술위원
  • 대한간학회 감사
  • 대한간학회 평의원
  • 대한간암학회 평의원
  • 前 비알코올성 지방간 연구회 회장

주요 논문 및 저서

  • 2014Kwon SY, Park SH, Yeon JE, Jeong SH, Kwon OS, Lee JW,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acute hepatitis a in Korea: a nationwide multicenter study. J Korean Med Sci. 2014 Feb;29(2):248-53. doi: 10.3346/jkms.2014.29.2.248. Epub 2014 Jan 28.
  • 2014Jin YJ, Lee JW, Choi YJ, Chung HJ, Kim YS, Lee KY, Ahn SI, Shin WY, Cho SG, Jeon YS. Surgery versus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for solitary large hepatocellular carcinoma of BCLC stage A. J Gastrointest Surg. 2014 Mar;18(3):555-61. doi:10.1007/s11605-013-2440-x. Epub 2014 Jan 14.
  • 2014Jin YJ, Lee JW, Lee OH, Chung HJ, Kim YS, Lee JI, Cho SG, Jeon YS, Lee KY, Ahn SI, Shin WY.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versus surgery/radiofrequency ablation for recurrent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or without microvascular invasion. J Gastroenterol Hepatol. 2014 May;29(5):1056-64. doi: 10.1111/jgh.12507.
  • 2014Lai CL, Ahn SH, Lee KS, Um SH, Cho M, Yoon SK, Lee JW, et al. Phase IIb multicentred randomised trial of besifovir (LB80380) versus entecavir in Asia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Gut. 2014 Jun;63(6):996-1004. doi: 10.1136/gutjnl-2013-305138.
  • 2014Yim HJ, Lee HJ, Suh SJ, Seo YS, Lee JI, Lee JW, et al. Adefovir and Lamivudine Combin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Entecavir-Resistant Chronic Hepatitis B: Antiviral Responses and Evolution of Mutations. Intervirology. 2014 Jun 28;57(5):239-247.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1. 📰 언론 인하대병원, ‘A형 간염 발병’ 추이 발표
  2. 📰 언론 방심했던 ‘A형간염’ 갈수록 는다
  3. 📰 언론 [건강 나침반] 만성 B형간염 치료 ‘빨리’보다 ‘제대로’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아래 댓글창을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좋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익명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