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전가원 교수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하대병원에서 활약하고 계신 전가원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이 글에서는 교수님의 전문 분야, 교육 이력, 그리고 주요 업적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알아보세요.

전가원 교수 프로필
이름전가원
소속인하대병원
진료과소아청소년과
진료분야신생아, 미숙아
학력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박사
대표경력인하대병원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장
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전가원 교수는 현재 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전가원 교수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소아청소년과 특히 신생아 분야에서 깊이 있는 전문성을 쌓았다. 현재 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과거에는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장을 역임하여 신생아 중증 질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부교수로서 다양한 신생아 집중치료 관련 경험을 쌓았으며, UCSF Neonatal Brain Disorders Center에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연구를 수행하여 신생아 뇌 손상 치료에 대한 국제적 전문 지식을 습득했다.

전 교수는 학술적으로도 큰 업적을 이루어 왔다. 대한주산의학회 우수논문상학술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등을 수상하며 연구 분야에서의 탁월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또한,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간행위원대한신생아학회와 대한주산의학회 논문심사위원으로 활동하며 학문적 기여를 지속하고 있다. 대한신생아학회 Neonatal Resuscitation Program task force의 일원으로서 신생아 심폐소생술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대한모유수유의학회 교육이사로서 모유 수유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전가원 교수는 신생아 집중치료 및 저출생체중아 연구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으며, 다수의 학회 활동과 연구를 통해 신생아와 소아청소년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선도적인 의료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오전
오후진료진료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학력

  • 2009.08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박사
  • 2006.08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석사
  • 2001.02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 주요경력

  • 2023.03 ~ 현재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2023.05 ~ 2024.03인하대병원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장
  • 2022.03 ~ 2023.02인하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임상교수
  • 2015.04 ~ 2022.02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부교수
  • 2017.09 ~ 2019.02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장
  • 2016.09 ~ 2017.08University of California in San Francisco (UCSF), Neonatal Brain Disorders Center laboratory, 해외연수,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연구
  • 2010.04 ~ 2015.03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조교수
  • 2008.03 ~ 2010.03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전임강사
  • 2006.03 ~ 2008.02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생아분과 임상강사
  • 2002.03 ~ 2006.02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 2001.03 ~ 2002.02삼성서울병원 인턴

📌 학회활동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간행위원
  • -한국신생아네트워크 (Korean Neonatal Network, KNN) 실행위원
  • -대한신생아학회 Neonatal Resuscitation Program task force
  • -대한신생아학회 간행위원/논문심사위원
  • -대한주산의학회 간행위원/논문심사위원
  • -대한신생아학회 법제위원
  •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정회원
  • -대한신생아학회 정회원
  • -대한주산의학회 정회원
  • -대한모유수유의학회 정회원
  • -대한모유수유의학회 교육이사

📌 수상경력

  • 2023.11대한주산의학회 제22회 우수논문상(논문명 : Comparison of Neonatal Outcomes among Patients Undergoing Cesarean Delivery under General or Spinal Anesthesia)
  • 2023.11대한주산의학회 제15회 학술상
  • 2023.07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3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논문명:Risk factors and screening timing for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in preterm infants. (Clin Exp Pediatr 2022.)
  • 2022.11대한주산의학회 우수구연상 (논문명 :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산전 마그네슘 투여가 장기적인 신경발달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 2022.10대한신생아학회 리뷰어상
  • 2018.05대한신생아학회 제3회 젊은 미래 학술상 (논문명:Hypoxia-inducible factor:role in cell survival in superoxide dismutase overexpressing mice after neonatal hypoxia-ischemia)

📌 주요 논문 및 저서

  • 2023A thickened formula reduces feeding-associated oxygen desaturation and bradycardia in preterm infants. Lee G, Lee J, Jeon GW, Jun YH. Clin Exp Pediatr 2023;66(1):32-7.
  • 2023Proper Depth of Percutaneous Central Venous Catheter via the Great Saphenous Vein for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A Single-Center, Prospective Cohort Study. Kim JH, Jeon GW, Kim HH, Kim JK. J Korean Med Sci 2023;38(4):e23.
  • 2022Serial Long-Term Growth and Neurodevelopment of Very-Low-Birth-Weight Infants: 2022 Update on the Korean Neonatal Network. Jeon GW, Lee JH, Oh M, Chang YS. J Korean Med Sci 2022;37(34):e263.
  • 2022Serial Short-Term Outcomes of Very-Low-Birth-Weight Infants in the Korean Neonatal Network From 2013 to 2020. Jeon GW, Lee JH, Oh M, Chang YS. J Korean Med Sci 2022;37(29):e229.
  • 2022Neonatal Abusive Head Trauma without External Injuries: Suspicion Improves Diagnosis. Yoon S, Lee J, Jun YH, Jeon GW. Children (Basel) 2022;9(6):808.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인하대병원 2022년 신임 전문의를 소개합니다! – 소아청소년과 전가원 교수

  1. 📰 언론 인하대병원 신생아집중치료센터, 퇴원 환아 초청 ‘홈커밍데이’ 개최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아래 댓글창을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좋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익명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