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은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입니다. 그렇기에 신장과 관련된 질환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신장내과 의사의 역할은 무척 중요합니다. 그들은 신장 질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의 건강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그 중에서도 이정은 교수님은 특히 뛰어난 의료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이제, 이정은 교수님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 볼까요?
이정은 교수님 프로필 | |
이름 | 이정은 |
소속 | 삼성서울병원 |
진료과 | 신장내과 |
진료분야 | IgA신증, 신증후군, 사구체신질환, 당뇨성신질환, 혈액투석, 복막투석, 다낭성신장, 아밀로이드증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
대표경력 | 삼성서울병원 신장내과 분과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이정은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신쟁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신장내과 이정은 교수
현재 삼성서울병원 신장내과에서 분과장으로 활동하시면서 많은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이정은 교수는 1998년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과를 졸업하신 후, 2003년에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의학석사 학위를, 2005년에는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이정은 교수는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레지던트 및 신장내과 전임의로, 삼성서울병원에서는 신장내과 임상전임강사 및 임상조교수로 활동하시면서 신장내과 전문의로서의 경험을 쌓았다.
또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미국 보스톤에 위치한 Joslin Diabetes Center와 Harvard Medical School에서 연수를 받았다. 이러한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교수로, 삼성서울병원에서는 신장내과 분과장으로 활동하고 계신다.
이정은 교수님은 환자에게 친절하게 설명을 잘해주시는 의사님으로 알려져 있다. 상세한 설명 덕분에 많은 환자들에게 이름이 많이 거론되는 의사이다. 이렇게 환자 중심의 치료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신뢰와 존경을 받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프로필
학력
2005.08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
---|---|
2003.08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석사 |
1998.0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경력
2023.04 ~현재 | 삼성서울병원 신장내과 분과장 |
---|---|
2019.04 ~현재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수 |
2005.03 ~현재 | 삼성서울병원 신장내과 전문의 |
2013.04 ~ 2019.03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부교수 |
2009.03 ~ 2013.03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조교수 |
2011.03 ~ 2013.02 | 미국 보스톤 Joslin Diabetes Center, Harvard Medical School 연수 |
2007.03 ~ 2009.02 | 삼성서울병원 신장내과 임상조교수 |
2005.03 ~ 2007.02 | 삼성서울병원 신장내과 임상전임강사 |
2003.03 ~ 2005.02 | 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전임의 |
1999.03 ~ 2003.02 | 서울대학교병원 레지던트 |
1998.03 ~ 1999.02 |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
연구분야
당뇨 신질환의 임상 역학 연구 및 새로운 예후 인자 발굴 |
당뇨 신질환은 당뇨병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으로 당뇨 환자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인데, 당뇨병의 증가와 당뇨 환자의 생존률 향상에 따라 그 유병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의학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당뇨 신질환에서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위험도는 크게 호전되지 못하였음이 여러 역학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당뇨 신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의 개발은 현대 의학의 시급한 과제이다.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어려움 중 하나는 당뇨 신질환의 자연 경과가 다양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질병의 자연 경과를 보다 더 잘 이해하고 고위험군을 분류해 내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인은 하버드 의과대학 부속 조슬린 당뇨 센터에서 2년간 연수하면서 당뇨 신질환의 역학 연구와 여러 가지 다양한 바이오마커들의 예후인자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현재는 한국인에서의 당뇨 신질환의 역학 연구 진행을 위해 계획 수립 중이며, 당뇨 신질환의 신생검 조직에서 바이오마커들의 표현 정도를 분석하여 질병의 발생 기전에 대한 연구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
논문
- RENAL FAILURE 2023 10.1080/0886022X.2022.2157285The impact of preoperative kidney replacement therapy on kidney outcome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Jeon, H; Jeon, J; Lee, K; Kim, D; Cho, YH; Lee, JE; Choi, JO; Huh, W; Kim, YG; Jeon, ES; Jang, HRView PubMed
- ANN LAB MED 2023 10.3343/alm.2023.43.6.565Effect of Two Cystatin C Reagents and Four Equations on Glomerular Filtration Rate Estimations After StandardizationLee, HS; Bae, GE; Lee, JE; Park, HDView PubMed
- FRONT MED-LAUSANNE 2023 10.3389/fmed.2023.1222973Prediction tool for renal adaptation after living kidney donation using interpretable machine learningJeon, J; Yu, JY; Song, Y; Jung, W; Lee, K; Lee, JE; Huh, W; Cha, WC; Jang, HRView PubMed
- TRANSPL P 2023 10.1016/j.transproceed.2023.03.005Effects of Treating Subclinical Rejection 2 Weeks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as Determined by Analyzing 1-Year Histologic OutcomesLee, O; Kim, MJ; Lee, JE; Kwon, GY; Hwang, NY; Kim, K; Park, JB; Lee, KWView PubMed
- TRANSPL P 2023 10.1016/j.transproceed.2023.01.029The Protective Role of Protocol Biopsy for Allograft Kidney Maintenance in Kidney TransplantationLee, OK; Kim, MJ; Lee, JE; Hwang, NY; Kim, K; Lee, KW; Park, JBView PubMed
- SCI REP-UK 2023 10.1038/s41598-023-32305-0Prognostic significance of albuminuria in elderly of various ages with diabetesHwang, S; Lee, KYH; Park, J; Kim, D; Jeon, J; Jang, HR; Hur, KY; Kim, JH; Huh, W; Kim, YG; Lee, JEView PubMed
- CL LYMPH MYELOM LEUK 2023 10.1016/j.clml.2022.10.010Single Center Experience of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Systemic Light Chain Amyloidosis in KoreaKim, HR; Yoon, SE; Kim, D; Choi, JO; Min, JH; Kim, BJ; Kim, JS; Lee, JE; Choi, JY; Jeon, ES; Kim, SJ; Kim, KView PubMed
- NEPHROL DIAL TRANSPL 2023 10.1093/ndt/gfad016Acute kidney injury in bortezomib-treated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Song, SM; Jeon, J; Jang, HR; Kim, K; Huh, W; Kim, YG; Lee, JEView PubMed
여담 및 관련기사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