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학은 의학의 핵심 분야로, 전염병부터 만성 질환까지 모든 연령, 성별, 신체 부위의 질병을 다루는 과입니다. 이 분야는 환자 개개인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예방, 진단, 치료, 그리고 재활에 이르는 전 과정을 관리하게 됩니다. 무엇보다 가정의학은 환자를 통째로 보는 ‘전인적 접근’을 중시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동시에 챙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가정의학과는 그 어떤 의학과도 대체할 수 없는 필수적인 분야입니다. 환자의 건강을 총체적으로 책임지는 가정의학과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정의학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실천하는 의사들이 있기에 우리의 건강이 보장될 수 있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의 이정아 교수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이정아 교수 프로필 | |
![]() | |
이름 | 이정아 |
소속 | 서울아산병원 |
진료과 | 가정의학과 |
진료분야 | 비만, 생활습관병관리, 성인병, 암생존자 건강관리 , 건강증진 |
학력 | 울산대학교 의학 박사 |
대표경력 |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의국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이정아 교수는 현재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교수
울산대학교를 졸업한 이정아 교수는 의학 학사, 석사 그리고 박사의 학위를 모두 취득하였다.
2006년부터 서울아산병원에서 수련의로 시작된 이정아 교수의 의학 여정은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쌓아오는 계기가 되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임상강사, 임상전임강사, 임상조교수를 역임하면서 이정아 교수의 전문성은 더욱 깊어졌다.
이정아 교수는 2020년부터 강북삼성병원 건강의학본부 기업건강연구소에서 임상조교수 및 임상부교수로 활동하였다. 이 기간 동안 이정아 교수는 기업의 건강 문제에 대해 심도있게 연구하고, 이를 통해 더 넓은 분야에서 이정아 교수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였다.
2023년부터 현재까지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에서 임상부교수와 의국장으로 활동 중인 이정아 교수는 이정아 교수의 전문성과 리더십을 동시에 발휘하고 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이정아 교수는 건강 문제에 대한 고민을 가진 환자나 보호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정아 교수의 꾸준한 노력과 전문성은 이정아 교수가 가정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자원임을 입증하고 있다. 이정아 교수의 지식과 경험은 건강 문제에 대한 고민을 가진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진료 |
프로필
학력
- 2012 .03 ~ 2014 .03울산대학교 의학 박사
- 2009 .03 ~ 2012 .02울산대학교 의학 석사
- 2000 .03 ~ 2006 .02울산대학교 의학 학사
경력
- 2023 .09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의국장
- 2023 .03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임상부교수
- 2021 .03 ~ 2023 .02강북삼성병원 건강의학본부 기업건강연구소 임상부교수
- 2020 .03 ~ 2021 .02강북삼성병원 건강의학본부 기업건강연구소 임상조교수
- 2017 .03 ~ 2019 .02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임상조교수
- 2014 .03 ~ 2017 .02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임상전임강사
- 2011 .03 ~ 2014 .02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임상강사
- 2007 .03 ~ 2010 .02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전공의
- 2006 .03 ~ 2007 .02서울아산병원 수련의(인턴)
논문
- Colonoscopic Screening and Risk of All-Cause and Colorectal Cancer Mortality in Young and Older Individuals
- The association between the restriction of daily life and depres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a nationwide based survey
- The smoking population is not hardening in South Korea: a study using the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from 2010 to 2018
- Heated tobacco product use and its relationship to quitting combustible cigarettes in Korean adults
- Use of heated tobacco products where their use is prohibited
- Discordance Between Apolipoprotein B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Progression of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n Middle Age
- Spousal Concordance regarding Lifestyle Factors and Chronic Diseases among Couples Visiting Primary Care Providers in Korea
- Impact of family communication on self-rated health of couples who visited primary care physicians: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Family Cohort Study in Primary Care
- Short report: depressive mood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and self-rated health in married couples
- Factors Affecting Adherence to Antihypertensive Medication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언론 – 주말에 날잡아 운동 해볼까…”고강도로 몰아하면 효과적”
- 언론 – ‘비만’은 질환, 적극 치료해야 하는 이유 [e건강~쏙]
- 언론 – 운동 열심히 했는데, 왜 살 안 빠지나요? [Q&A]
- 언론 – 비만은 고혈압과 당뇨의 원인…하루 20분씩 빨리 걸어보세요
- 언론 – ‘진짜’ 비만이라면 효과 확실한 다이어트법, 전문의 추천은…
- 언론 – [콕!건강]오늘은 ‘부부의날’…함께 금연·절주해봐요
- 언론 – [콕!건강]‘부부의 날’ 맞아, 만성질환 없는지 부부 간 확인해요
- 언론 – “비싸도 효과 좋은 걸로 주세요” ‘무분별 처방’ 고가 비만약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