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정신의학 분야 명의 이소희 교수 (국립중앙의료원)

소아청소년 정신의학은 아이들과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 문제를 다루는 의학 분야입니다. 이 분야는 발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정서적, 행동적, 학습적 문제들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초점을 맞추며, 이를 통해 아이들이 건강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런 중요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이소희 교수님은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분야의 선두적인 역할을 하고 계십니다. 교수님의 연구와 노력은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보다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이소희 교수님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이소희 교수 프로필
이름이소희
소속국립중양의료원
진료과정신건강의학과
진료분야일반정신의학, 여성정신의학, 소아청소년정신의학
학력한양대 의대 박사 학위
대표경력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화 전문의, 과장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분야 명의로 알려진 이소희 교수는 현재 국립중앙의료원 과장으로 재직중이다.

명의 이소희 교수

 

이소희 교수님은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분야에서의 탁월한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장으로 활동하고 계십니다. 한양대 의대를 졸업하신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획득하셨습니다. 또한 그녀의 학문적 열정은 미국 샌디에고 주립대의 ‘Center for Behavioral Teratology’에서의 연수를 포함하여 꾸준히 발전되어 왔습니다.

교수님은 특히 소아청소년 행동학에 큰 흥미를 가지고 계시며, 이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청소년모바일상담센터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청소년특임이사,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교정신건강이사, 한국학교정신건강의학회 총무이사,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국제협력이사 등 다양한 직책을 맡으시며 전문성을 인정받았습니다.

교수님은 ‘애착장애, 소아정신의학’, ‘문화적 재적응이 필요한 가정, 소아정신의학’ 등의 저서를 작성하셨으며, 이를 통해 실천적인 지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소희 교수님은 앞으로도 소아청소년 환자들에게 지속적인 사랑과 관심을 쏟으며, 그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실 것입니다. 이런 교수님의 열정과 헌신이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진료시간

 

오전진료진료진료
오후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경력

  • 강북삼성병원 전공의
  • 강북삼성병원 전문의(전임의)
  • 국립서울병원 의무사무관
  • 국립중앙의료원 공공의료사업단 북한이탈주민진료팀장
  • 서울시강동구정신건강복지센터 센터장
  • 국립중앙의료원 통일보건의료센터 센터장
  • 국립중앙의료원 공공의료사업단 부단장
  • 국립중앙의료원 중앙난임우울증상담센터 부센터장
  • 서울중부해바라기센터 소장
  • 현재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의료사고감정단 자문위원
  • 현재 국가트라우마센터 자문위원
  • 현재 금융감독원 금융분쟁조정위원회 전문위원
  • 현재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중앙노인학대사례판정위원회 위원
  • 현재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 심사청구 의학자문단 자문의
  • 현재 통일부 납북피해자보상및지원심의위원회 위원
  •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제20기 자문위원
  • 현재 중앙행정심판위원회 비상임위원
  •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심사평가위원회 비상근심사위원
  • 현재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화 전문의, 과장
  • 현재 국립중앙의료원 미래기획센터 센터장
  • 현재 국립중앙의료원 중앙난임우울증상담센터 부센터장

학회활동

  • 현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청소년특임이사
  • 현재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교정신건강 이사
  • 현재 한국학교정신건강의학회 총무 이사
  • 현재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국제협력 이사
  • 현재 통일보건의료학회 대외협력 이사

연수

  • 스웨덴 웁살라 대학병원 정신과(2008)
  • 미국샌디애고주립대 Center For Behavioral Teratology(2009~2010)

연구분야

  • ○ Noh JW, Kim J, Heo M, Lee SH.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mental health among disabled population over the three-year follow-up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Reports, Volume 10, 2022,100422.
  • ○ Kim Y, Kim SE, Kim T, Yun KW, Lee SH, Lee E, Seo JW, Jung YH, Chong YP. Preliminary Guidelines for the Clinical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Long COVID. Infect Chemother. 2022 Sep;54(3):566-597.
  • ○ Bae H, Kim J, Lee SH, Lee JY, Lee JY, Park HY, Kim Y, Kwon KT. Difficulties of healthcare workers encountered under cohort isolation in a psychiatric hospita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qualitative study. Psychiatry Res. 2022 Jul;313:114615.
  • ○ Lee KS, Sung HK, Lee SH, Hyun J, Kim H, Lee JS, Paik JW, Kim SJ, Sohn S, Choi YK. Factors Related to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During COVID-19: A Web-Based Cross-Sectional Survey. J Korean Med Sci. 2022 Jun 27;37(25):e199.
  • ○ Ahn SH, Kim JL, Lee SH, Park HY, Lee JJ, Lee H. Association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depression and stigma in MERS-CoV survivors during the recovery period. Medicine (Baltimore). 2022 Jun 24;101(25):e29440.
  • ○ Lee SH, Noh JW, Kim Y, Ryoo HW, Park KH, Park SY, Lee S, Cheong HS, Heo ST, Hong KJ, Kim KB, Kwon KT. Expert Consensus on Measures to Promo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mong COVID-19-Related Healthcare Workers in Korea using Delphi Technique. Infect Chemother. 2022 May 2.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1. 영상 – 학교 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은 어떻게 도와줄까?!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 과장님 [명의시리즈: 청소년 정신건강 1편]
  2. 영상 – 학교폭력에 노출된 아이들, 부모가 어떻게 도와줘야할까?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 과장님 [명의시리즈: 청소년 정신건강 3편]
  3. 영상 – 02 의료인 보호와 의료인의 책무-이소희
  4. 영상 – HIV 감염인의 정신과적 이해 – 이소희 교수님
  5. 영상 – 이소희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장 (2022.11.01/뉴스특보/MBC)
  6. 영상 – 국립중앙의료원 규모 확대·발전 방안 필요해 | NMC 전문의협의회 이소희 회장
  7. 언론 – “최선의 치료는 예방입니다”…국립중앙의료원, 마약 예방‧중독 치료 앞장
  8. 언론 – “정신과 진료받는데 HIV 감염 사실 왜 알려야 하느냐고요?”
  9. 언론 – 코로나 19 집단감염 배경 설명하는 이소희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장
  10. 언론 – [종합] ‘아침마당’ 이소희 과장-조성진 교수 출연…’나도 혹시 코로나 블루?’ 강연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