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서울병원 신장내과 강덕희 교수

반갑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대서울병원의 강덕희 교수님을 모셔보겠습니다. 교수님의 전문 지식과 교육 배경, 주요 업적을 살펴보며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지금부터 강덕희 교수님을 만나보세요.

강덕희 교수 프로필
이름강덕희
소속이대서울병원
진료과신장내과
진료분야만성신장병, 고혈압, 거품뇨, 혈뇨, 사구체신염, 고요산혈증, 통풍, 투석
학력의학박사, 이화여대 의과대학 의학과
대표경력이화여대 의과대학 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강덕희 교수는 현재 이대서울병원 신장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강덕희 교수는 이대서울병원 신장내과 교수로,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사, 의학석사,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며 의학적 전문성을 쌓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현재 교수로 재직 중이며, Baylor College of Medicine과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연구강사로 활동하며 국제적인 연구 경험을 쌓았다. 또한, UC Irvine에서 교환교수로 근무하며 연구와 교육 활동을 이어갔다.

강 교수는 신장내과와 투석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아 1998년 투석전문의와 1997년 신장내과 분과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였다. 학술 활동에서도 활발히 참여하며 대한신장학회 재무이사와 총무이사, 홍보이사로서 학회 운영에 기여했으며, 대한신장학회 최우수 연구자상을 포함한 다수의 학술상을 수상하며 연구 역량을 인정받았다.

초청연자로서 국제 학술대회에서 다수의 강연을 진행하였으며, 주요 발표 주제로는 만성신장질환(CKD) 진행에서 요산의 역할, 투석 환자의 영양 문제, 신장 질환 예방에 대한 아시아 지역 경험 등이 있다. 대표적인 강연 이력으로는 World Congress of Nephrology, Asian Nephrology Conference, International Society of Hemodialysis 등이 있다. 특히, 요산이 만성 신장 질환과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는 국제 학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오전진료
오후진료진료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학력사항

  • 의학박사, 이화여대 의과대학 의학과
  • 의학석사, 이화여대 의과대학 의학과
  • 이화여대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 (의학사)

🚨 교육 및 연구경력

  • 2018-2019  | UC Irvine 교환교수
  • 2008-현재  | 이화여대 의과대학 교수
  • 2003-2008  | 이화여대 의과대학 부교수
  • 2000-2001  | Baylor College of Medicine 수석연구강사
  • 1999-2000  | University of Washington 연구강사
  • 1997-2003  | 이화여대 의과대학 조교수
  • 1998  | 투석전문의
  • 1997  | 신장내과 분과전문의
  • 1995-1997  | 이화여대 의과대학 전임강사
  • 1993-1995  | 이화여대 부속병원 신장내과 연구강사
  • 1992-1993  | 세브란스 병원 신장내과 연구강사
  • 1992  | 내과 전문의 취득
  • 1989-1992  | 이화여대 부속병원 내과 전공의 수료

🚨 기타 학술 관련 경력

  • 2018  | Uric acid sympoisum, Boligna, Italy “Role of uric acid in progression in CKD 초청연자
  • 2017  |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hinese Rheumatologists (ICCR) 2017, Hong Kong, “Management of Gout in CKD” 초청연자
  • 2017  | Asian Renal Association –Asian Nephrology Conference, Ningxia Yinchun, China, “ER stress as a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peritoneal fibrosis” 초청연자
  • 2016-2018  | 대한신장학회 재무이사
  • 2016  | International Congress of Renal Nutrition and Metabolism, Okinawa, Japan, “Uric Acid Paradox: Dual role as pro- and anti-oxidant” 초청연자
  • 2015  | 16th Asian Nephrology Conference, Kaosihung, Taiwan, “Asian Experience of Renal Disease Prevention: Experience in Korea” 초청연자
  • 2015  | The pre-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n Renal Nutrition and Metabolism (ICRNM2016), Okinawa, Japan 초청연자
  • 2014-2016  | 대한신장학회 총무이사
  • 2013  | International Society of Hemodialysis, Kuala Lumpur, Malaysia,“Nutritional problems in Asian PD patients” 초청연자
  • 2013  | Japanese Society of Nephrology,“Peritoneal EMT by ER stress modulation”, Yokohama, Japan 초청연자
  • 2013  | World Congress of Nephrology, Hong Kong 초청연자
  • 2012-2014  | 대한신장학회 홍보이사
  • 2015  | 대한신장학회 최우수연구자상
  • 2012  | International Society of Hemodialysis, “Treatment of hyperkalemia in dialysis patients”, Taipei, Taiwan 초청연자
  • 2010  | Asian-Pacific Congress of Clinical Biochemistry,“ Role of vascular endothelium in AKI”, Hong Kong 초청연자
  • 2009  | World Congress of Nephrology, Milan, Italy, “Role of vascular disease as a culprit of progression of renal disease” 초청연자
  • 2008  | Asian Congress of Pediatric Nephrology, Bangkok, “VEGF and its receptors in chronic kidney disease” 초청연자
  • 2008  | Asian Pacific Congress of Nephrology, Kuala Lumpur, Malaysia, “Uric acid as a novel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CKD patients” 초청연자
  • 2007  | Asian Peritoneal Dialysis College, Hong Kong, “Basic Research in PD Area” 초청연자
  • 2006  | 대한여의사회 중외연구자상
  • 2005  | World Congress of Nephrology, Singapore,“VEGF as a moderator of renal disease progression” 초청연자
  • 2005  |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Philadelphia, USA, “Vascular injury and regenera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 Role of angiogenesis-modulating therapy” 초청연자
  • 2004  | 2nd Japan-Korea Nephrology Forum, Tokyo, Japan, “Essential Hypertension : Is it a disease of the kidney?” 초청연자
  • 2004  | 분쉬의학상 젊은연구자상
  • 2004  | 대한신장학회 젊은 연구자상
  • 2004  | Annual Meeting of Italian Society of Nephrology, Rome, Italy, “Hyperuricemia as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and renal disease” 초청연자
  • 2003  | 대한내과학회 청람연구자상
  • 2003  | World Congress of Nephrology, Berlin, Germany, “Loss and restoration of microvasculature in CRF” 초청연자
  • 2002  | Japan Nephrology Basic Science Meeting, Gifu, Japan, “Hypoxia and progression of renal disease” 초청연자
  • 2002  | Transplantation and Vascular Biology Symposium, Hannover, Germany, “Prevention of peritubular rarefaction improves renal function” 초청연자
  • 2001  |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San Francisco, USA “Changes in renal vasculature from capillary rarefaction to obliterative arteriopathy” 초청연자
  • 2001  | 미국신장학회 ISN fellow 최우수 초록상
  • 1996  | 대한신장학회 최우수 초록상
  • 1995  | 대한신장학회 최우수 초록상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1. 📺 영상 [이대서울병원 명의 이야기] ‘고혈압, 신장질환 명의’ 신장내과 강덕희 교수
  2. 📰 언론 [에너지경제] 봄철 나른하면 콩팥병? 당뇨·고혈압이 천적
  3. 📰 언론 [JTBC] ‘소변의 색’으로 콩팥의 이상 신호를 확인하라!
  4. 📰 언론 [의학신문] 만성신장병 환자 합병증 연구, 세계서 인정받다
  5. 📰 언론 [헬스조선] 요산 많은 신장질환자, 요산 낮추는 치료 해야 신장 기능 저하 지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어려운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준비하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로 연락 주시면 신속히 답변드리겠습니다.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

아래 댓글창을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좋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익명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