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소개해드릴 교수님은 이남준 교수님입니다. 서울대학교병원 간이식 성적은 세계 유수 병원과 비교해도 훌륭합니다. 서경석 교수를 비롯하여 많은 교수중 이남준 교수님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이남준 교수 프로필 | |
이름 | 이남준 |
소속 | 서울대학교병원 |
진료과 | 간담췌외과 |
진료분야 | 간이식, 전이성간암, 간세포암 |
학력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학위 취득 |
대표경력 |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소아 간이식 명의로 알려진 이남준 교수는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간담췌외과 교수로 재직중입니다.
상세정보
2002년 서울대학교병원 간이식팀에 참여한 이후, 이남준 교수는 현재까지 팀을 이끌며 국내 간이식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뇌사자 간이식이 흔치 않아 국내 간이식의 75%가 생체 간이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남준 교수의 업적은 더욱 주목받을 만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의 생체 간이식 성적은 국내외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Liver Transplantation, 2009), 이남준 교수는 초창기 생체 간이식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남준 교수는 생체 간이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공여자의 안전과 삶의 질 향상이라는 원칙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국내에서 최초로 공여자 삶의 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Liver Transplantation, 2007), 복강경을 이용한 생체 간이식 공여자 수술을 도입하여 안전한 수술을 가능케 했습니다(World Journal of Surgery, 2009).
또한, 세계에서 최초로 인조혈관을 이용한 생체 우엽 간이식을 시행하고 보고하였습니다(Liver Transplantation, 2007). 2000년대 초반부터 이미 사체 간이식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이를 추진하였습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서울대학교병원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사체응급 간이식을 수행하는 병원으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국내 최초의 여성 간이식 전문의로서, 이남준 교수는 간동맥 문합술에 대한 뛰어난 기술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섬세한 솜씨로 간동맥 문합 성적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국내에서 최초로 소아 간이식을 성공시킨 병원이며, 현재까지 가장 많은 소아 간이식 경험을 축적하고 있습니다. 이남준 교수는 국내 최연소 환아에서의 간이식에 주요멤버로 참여하였습니다(대한이식학회지, 2009). 소아 간이식 분야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 분야에서도 이남준 교수의 활약이 기대됩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어린이병원 | |||||
오후 | 본원 |
주의사항
간담췌외과
간암, 전이성 간암, 간이식 환자 진료 (진료 보지 않는 질환: 담낭(쓸개)질환, 지방간, 담도질환, 췌장질환)
소아외과
간이식 상담, 간이식 후 환아 진료 (진료 보지 않는 질환: 기타 소아외과 질환, 급성간부전 초진)
프로필
학력정보
기간 | 학력 |
---|---|
2004 | 의학박사 |
경력 및 연수
기간 | 경력 및 연수 |
---|---|
2022~ 현재 |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장 |
2018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2017 ~ 2018 | Stanford University, Lucile Packard Children’s Hospital |
학회활동
기간 | 학회활동 |
---|---|
2022~현재 | Associate editor of Transplantation |
2016~현재 | International pediatric transplantation association 정회원, communication committee 위원 |
2014 ~ 현재 | The Transplantation Society 정회원 |
2013~ 현재 | International LDLT study group 정회원, 이사 |
2011~ 현재 | 한국장기기증원 자문위원 |
2010 ~ 현재 | 대한임상종양학회 평생회원 |
2007 ~ 현재 | 대한간암연구회 평생회원 |
2004 ~ 현재 | 대한 간학회 평생회원 |
2003 ~ 현재 | International liver transplantation society 정회원, 소아이식위원장 |
2002 ~ 현재 | 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 정회원 |
2002 ~ 현재 | 한국간담췌외과학회 평생회원, 진료지침이사 |
2002 ~ 현재 | 대한이식학회 정회원, 이사, 상임위원장: 소아위원장 |
2000 ~ 현재 | 대한외과학회평생회원,평의원 |
주요저서
- 간담췌외과학 제 4판
2018 - 외과학교과서 아틀라스 제 2판
2020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어린이의 이식 – 외과 이남준 교수
- 영상 – (EP38) 소아/어린이 간이식 Q&A(소아 비만, 성장, 합병증) | 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 이남준 교수, 안혜영 간호사
- 영상 – *감동주의* 가장 기억에 남는 간 기증 환자는? (서울대병원 간이식팀)
- 영상 – [#건강뉴스]간을 이식해 준 공여자의 건강은 괜찮을까? 오랫동안 건강하게 사는 데 문제없을까? | 서울대병원 의학 연구 소식[샤랩]EP.7
- 영상 – (EP177) 급성간부전의 원인, 증상, 간이식과 예후 |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고재성 교수 , 간담췌외과 이남준 교수
- 영상 – (EP183) 우리나라에 고작 10명 있는 희귀병, 진행성 가족성 간내 담즙정체증 |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고재성 교수, 간담췌외과 이남준 교수
- 영상 – (EP176) 소아가 간이식하는 원인 ‘급성간부전’ | 서울대병원 소아중환자실 이봉진 교수 , 간담췌외과 이남준 교수
- 영상 – (EP179) 간이식 후 질문 모음 feat. 임신, 급식, 반려동물 | 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 이남준 교수, 장기이식센터 김옥경 코디네이터
- 영상 – (EP182) 온몸이 노랗게 변하는 희귀병, 알라질 증후군 |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고재성 교수, 간담췌외과 이남준 교수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