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강북삼성병원의 양아람 교수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교수님의 전문 분야, 학력, 주요 업적을 통해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양아람 교수 프로필 | |
![]() | |
이름 | 양아람 |
소속 | 강북삼성병원 |
진료과 | 소아청소년과 |
진료분야 | 소아내분비 질환 (저신장, 성조숙, 비만, 당뇨, 갑상선, 뇌하수체,부신기능 이상), 리소좀 축적질환 (뮤코다당증, 폼페병, 파브리병 등), 터너 증후군, 프래더윌리 증후군, 골이형성증, 그외 희귀난치성 유전질환, 유전상담 |
학력 | 성균관대학교 의학과 박사 |
대표경력 |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조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양아람 교수는 현재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양아람 교수는 충남대학교 의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성균관대학교 의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삼성서울병원에서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를 수료하고, 소아청소년과 내분비, 유전, 대사 분야 전임의를 거친 후 인하대학교병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현재는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조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양 교수는 다양한 학회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대한소아내분비학회, 대한의학유전학회,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대한비만학회, Asia Pacific Pediatric Endocrine Society (APPES)의 정회원으로서 학문적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대한소아내분비학회 진료지침위원회 부간사, 홍보위원, 대한비만학회 소아청소년위원회 위원, APPES Fellow School Committee 위원, 대한의학유전학회 간행위원회 위원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맡고 있다.
양아람 교수는 소아내분비, 유전 및 대사 질환 분야에서 풍부한 임상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많은 환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진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학술 활동을 통해 소아청소년과 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프로필
학력
- 충남대학교 의학과 학사
- 성균관대학교 의학과 석사
- 성균관대학교 의학과 박사
경력
-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내분비, 유전, 대사 분야 전임의
- 인하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조교수
- 現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조교수
학회활동
- 대한소아내분비학회 정회원
- 대한의학유전학회 정회원 및 임상유전학 인증의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정회원
- 대한비만학회 정회원
- Asia Pacific Pediatric Endocrine Society (APPES) 정회원
- 現 대한소아내분비학회 진료지침위원회 부간사
- 現 대한소아내분비학회 홍보위원
- 現 대한비만학회 소아청소년위원회 위원
- 現 APPES Fellow School Committee 위원
- 現 대한의학유전학회 간행위원회 위원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 언론 – 노벨파마, 국제뮤코다당증학회서 산필리포증후군 A형 치료제 비임상 결과 발표
- 📰 언론 – 경향신문아이 ‘작은 키’ 고민?…“의학적 치료 필요한 경우는 따로 있답니다”
- 📰 언론 – 세계일보“노력하는 만큼 더 클 수 있어요”… 전문가들이 말하는 키성장 비결
- 📰 언론 – 헬스경향키 작고 중이염 자주 앓는 우리 딸…‘터너증후군’일 수도
- ✏️ 칼럼 – 우리 아이에게 성장장애가? 더 늦기 전 ‘성장호르몬 주사’ 저신장이 의심될 때 알아보기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시작한 작업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을 통해 연락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이 글이 여러분의 건강 정보를 이해하는 데 유익한 자료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