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으로 시작하기에 앞서, 특별한 인물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이 인물은 바로 소아청소년과 분야에서 아토피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천식, 알레르기 비염, 면역 결핍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업적을 보여주고 있는 안강모 교수님입니다. 안 교수님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아토피 피부염 분야의 권위자로, 그의 연구는 이 분야의 발병 원인과 치료법에 대한 이해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안 교수님의 연구는 단순히 이론적인 부분에 그치지 않고, 실제 환자들의 치료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과를 도출해냈습니다. 또한, 그의 연구 범위는 아토피 피부염만이 아닙니다. 식품 알레르기, 천식, 알레르기 비염, 면역 결핍증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끊임없는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의 연구 노력 덕분에, 이러한 질병들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과 예방법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안강모 교수에 대해 더욱 자세히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강모 교수 프로필 | |
![]() | |
이름 | 안강모 |
소속 | 삼성서울병원 |
진료과 | 소아청소년 알레르기호흡기분과 |
진료분야 | 아토피피부염, 식품알레르기, 천식, 알레르기비염, 면역결핍증, 소아호흡기질환, 류마티스질환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
대표경력 | 삼성서울병원 아토피환경보건센터장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센터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아토피 명의 안강모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에 재직중이다.
아토피 명의 안강모교수
안강모 교수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서 아토피 피부염, 식품 알레르기, 천식, 알레르기 비염, 면역 결핍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임상을 활발히 펼치고 있는 소아청소년과 분야의 대표적인 석학이다.
안 교수는 특히 아토피 피부염 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자로 손꼽힌다. 그의 연구 결과는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과 치료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 존재하는 특정 면역 세포가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밝혀낸 연구가 있다. 이 연구 결과는 아토피 피부염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 교수는 또한 식품 알레르기, 천식, 알레르기 비염, 면역 결핍증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그 결과, 식품 알레르기 환자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또한,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의 발병 원인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으며, 면역 결핍증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도 노력하고 있다.
안 교수는 이러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국내외에서 다양한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2016년에는 대통령 표창 수상하였다. 아토피질환에 대해 연구해오며 아토피 질환 관련 식품 안전에 기여하여 국민건강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본 상을 수상하게 됐다. 2017년에는 학생건강증진 분야 유공자로 선정돼 교육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장을 받았다.
안 교수는 뛰어난 연구 실력뿐만 아니라, 소아청소년 환자들을 위한 진료와 교육에도 헌신하고 있다. 그는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과장, 성균관의대 소아청소년과 학교실 주임교수 등을 역임하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양성과 환자 진료에 힘써왔다. 또한, 대한아토피피부염학회 회장, 한국천식알레르기학회 이사 등을 역임하며 소아청소년 알레르기 질환 분야의 발전에도 기여해왔다.
안강모 교수는 소아청소년과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업적과 진료 경험을 바탕으로 소아청소년 환자들의 건강을 지키는 데 앞장서고 있는 소아청소년과 분야의 리더이다. 그의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소아청소년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프로필
학력
2005.02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
---|---|
1994.02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 |
1989.0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
경력
2023.04 ~현재 |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센터장 |
---|---|
2011.09 ~현재 | 삼성서울병원 아토피환경보건센터장 |
2011.04 ~현재 |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2021.04 ~ 2023.03 |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과장 |
2021.04 ~ 2023.03 | 성균관의대 소아청소년과학교실 주임교수 |
2012.03 ~ 2015.03 | 삼성서울병원 연구전략실 연구협력팀장 |
2005.04 ~ 2011.03 |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부교수 |
2005.09 ~ 2006.08 | 미국 뉴욕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연수 |
2000.03 ~ 2005.03 |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조교수 |
1999.03 ~ 2000.02 | 일본 국립소아병원 의료연구센터 알레르기과 연구 전임의 |
1997.05 ~ 1999.02 |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호흡기 및 알레르기 분야 전임의 |
1994.03 |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자격 취득 |
1990.02 ~ 1994.02 |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레지던트 과정 수료 |
1989.03 ~ 1990.02 | 서울대학교병원 인턴과정 수료 |
연구분야
소아 아토피피부염 및 식품알레르기 |
1. 소아 아토피피부염 아토피피부염은 대부분 소아기에 발생하며, 발생 원인은 상당히 다양합니다. 또한 이미 아토피피부염이 발생한 경우 증상이 급속히 나빠지는 악화요인도 개인별로 다릅니다. 이러한 요인들로서는 유전자 이상, 식품 혹은 흡입 알레르겐에의 노출, 사회경제적 상태, 장내 세균의 분포, 공기 및 접촉을 통해 피부에 영향을 주는 각종 오염물질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저희 연구팀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를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2. 소아 식품 알레르기 식품 알레르기도 주로 2세 이하의 소아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연령에 따라 흔한 원인 식품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의심되는 식품을 섭취한 증상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유발검사를 해야 하며, 치료는 해당 식품의 철저한 제한 및 대체식품의 제시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저희 연구팀에서는 이미 과거부터 유발검사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식품알레르기를 진단해오고 있으며, 그들 중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식품알레르기 환자를 선별하여 면역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학회활동
2011.04 ~ 현재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간행이사 |
---|
여담 및 관련기사
- 삼성서울병원 아토피환경보건센터(센터장 안강모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아토피 피부염, 천식, 알레르기비염 등 아토피질환 환자들을 위한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아토피수첩’을 마켓(play스토어)에 오픈해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 영상 – 알레르기 질환 바로 알기_소아청소년과 안강모 교수[의료진 ON Line 강의]
- 영상 – 천식 발작 시 올바른 대처법_소아청소년과 안강모 교수[의료진 ON Line 강의]
- 영상 – 알레르기 비염의 관리 방법_소아청소년과 안강모 교수[의료진 ON Line 강의]
- 영상 – 환경보건콘서트 1 안강모 교수님 : 아토피 피부염 관리
- 영상 – 🔊 알.자.내.몸! 일타강사 [아토피피부염 편]
- 언론 – 아토피피부염 환자들 염증악화…직접적인 원인은 ‘이것’
- 언론 – “새우 먹어도 되나요?”…서울교육청, 온라인 ‘식품 알레르기 캠프’ 개최
- 언론 – (41)삼성서울병원 아토피환경보건센터
- 언론 – 삼성, 서울시와 아토피 치료 위해 손잡다
- 언론 – 예측부터 치료까지 이어지는 연구 성과…아토피피부염 정복 한걸음
- 언론 – 공기질 나쁠수록 아토피 악화 … 고농도 미세먼지·톨루엔 주의
- 언론 – 삼성서울병원, 어린이 식품알레르기 캠프개최
- 언론 – 오존∙미세먼지, 어린이 아토피 증상 악화시켜
- 언론 – “아토피피부염, 폼알데히드 노출시 악화된다”
- 언론 – 오존∙미세먼지, 어린이 아토피 증상 악화시켜
- 언론 – “학생 16%가 식품 알레르기”…심하면 생명 위협
- 언론 – 아토피피부염 어린이 가정, 실내공기 정화가 시급
- 언론 – 급증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치료법은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