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엽 교수 프로필 | |
![]() | |
이름 | 신동엽 |
소속 | 서울대학교병원 |
진료과 | 혈액종양내과 |
진료분야 | 혈구 수 이상 (증가/감소), 빈혈, 혈소판감소증, 혈액응고장애, 백혈병 |
학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분자종양의학) |
대표경력 |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상부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신동엽 교수는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의 신동엽 교수는 혈액학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경력을 쌓아온 전문가다. 혈구 수 이상, 빈혈, 혈소판감소증, 혈액응고장애, 백혈병 등 다양한 혈액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깊은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다.
신 교수의 학문적 여정은 1994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에서 시작되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를 거쳐, 같은 대학 의과대학원에서 의학석사와 의학박사 학위를 분자종양의학 전공으로 취득하며 이어졌다. 이러한 학문적 배경은 신 교수가 혈액학 분야에서의 깊은 이해와 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임상 경력도 인상적이다. 서울대병원에서 인턴과 전공의 과정을 거친 후, 원자력병원 혈액종양내과 과장을 역임하며 실무 경험을 쌓았다. 이후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에서 임상조교수를 거쳐 현재는 임상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에서 방문 학자로 연구 활동을 펼치며 국제적인 경험도 쌓았다.
학회 활동 역시 활발하다. 대한혈액학회,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대한암학회를 비롯해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Europ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등 국내외 다양한 학회에서 활동하며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있다. 특히 급성골수성백혈병/골수이형성증후군 연구회와 다발골수종 연구회에서의 활동은 신 교수가 해당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본원 진료 | 암병원진료 | ||||
오후 | 암병원진료 | 암병원진료 |
프로필
학력정보
기간 | 학력 |
---|---|
2012 ~ 2015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분자종양의학) |
2010 ~ 201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분자종양의학) |
2002 ~ 2006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1994 ~ 2001 |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경력 및 연수
기간 | 경력 및 연수 |
---|---|
2020. 3. ~ 현재 |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상부교수 |
2019.3 ~ 2020.7 |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Hal E. Broxmeyer Lab), Visiting Scholar |
2016. 3. ~ 2020. 2. |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상조교수 |
2012. 3. ~ 2016. 2. | 원자력병원 혈액종양내과 과장 |
2011. 3. ~ 2012. 2. |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전임의 |
2007. 3. ~ 2011. 2. | 서울대병원 내과 전공의 |
2006. 3. ~ 2007. 2. | 서울대병원 인턴 |
학회활동
기간 | 학회활동 |
---|---|
2020. 7. ~ 현재 | 급성골수성백혈병/골수이형성증후군 연구회 |
2019. ~ 2020. |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
2018. 1. ~ 현재 | 다발골수종 연구회 |
2016. ~ 2019. | 한국임상암학회 |
2016. ~ 2017. | 대한혈전지혈학회 |
2013 ~ 2015 |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
2012. ~ 현재 | 대한혈액학회 |
2012. ~ 현재 |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
2012 ~ 2014 | European Society of Medical Oncology |
2011. ~ 현재 | 대한암학회 |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웨비나] “동종조혈모세포이식(골수이식)이란?” / 동종조혈모세포 이식과정과 합병증 (서울대학교병원 신동엽 교수)
- 영상 – [FOCUS] 골수 세포에 문제가 있다?! 골수이형성증후군의 마지막(?) 치료법은? Treatment for the Myelodysplastic syndrome
- 영상 – [온라인 공개강좌] “골수부전 환자의 수혈과 철과잉증 치료와 MDS, AA 질환 치료” / 질의응답 (삼성서울병원 장준호교수, 이대목동병원 문영철교수, 서울대학교병원 신동엽교수)
- 언론 – 배우 안성기씨가 앓는 ‘혈액암’, 표적ㆍ면역 항암제 등장으로 치료 성적 ‘쑥’
- 언론 – 난치성 백혈병 치료하는 체내 NK세포 10배 배양 기술 확보
- 언론 – 한국 연구진, 조혈 모세포 이식 후 합병증 예방 실마리 찾아
- 언론 – 조혈모세포 이식 합병증 예방 가능해질까?
- 언론 – 조혈모세포 이식 합병증 예방 가능해질까
본 글은 함께 근무하는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한 작업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이나 메일로 연락 주시면, 빠른 시일 내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검증 후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들의 건강 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는 유익한 자료가 되길 바랍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