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힘들게 겪고 계신 질병과의 싸움, 그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의료의 세계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소개를 통해 삼성서울병원 송진영 교수님의 전문성이 여러분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송진영 교수 프로필 | |
이름 | 송진영 |
소속 | 삼성서울병원 |
진료과 | 소아청소년 심장분과 |
진료분야 | 비수술적결손폐쇄, 심도자치료술(비수술적치료), 소아청소년고혈압, 가와사끼병, 폐동맥고혈압, 태아심장질환, 성인선천성심장질환, 난원공개존 |
학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동국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
대표경력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송진영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송진영 교수
송진영 교수님은 현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에서 교수로 활약하고 있으며, 이전에는 삼성서울병원 QPS팀장으로 활동하였다. 그의 학력은 동국대학교에서 의학과 박사를, 단국대학교에서 의학과 석사를 취득하였고, 1991년에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사를 졸업하였다.
송진영 교수님의 전문적인 경력은 1991년 서울대학교병원 인턴으로 시작하였다. 그 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소아심장분과 전임의로 활동하였고, 1994년에 소아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였다. 이후 다양한 병원과 대학에서 교수 및 분과장으로 활동하였으며, 특히 코트디브와르와 캐나다에서의 외국 연수 경험을 통해 국제적인 시야를 넓혔다.
송진영 교수님의 연구 분야는 폐동맥 고혈압 및 심방중격결손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심방중격결손 환자의 비수술적 폐쇄 방법에 대해 연구하며, 이 방법이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방사선 노출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다.
송진영 교수님은 대한소아과학회 심장분과 학술위원으로 활동하며, 그의 연구 성과는 2014년 대한심장학회 우수논문상, 2013년과 2012년 Cardiovascular Summit TCTAP Best Presenter 등 다양한 수상 경력으로 인정받았다.
이 글을 통해, 송진영 교수님의 업적과 노력을 알리고, 폐동맥 고혈압 및 심방중격결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러한 정보가 건강 문제로 고민이 많은 환자나 보호자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송진영 교수님의 헌신적인 노력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을 기대합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클리닉 |
프로필
학력
2009.06 | 동국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
---|---|
2001.02 | 단국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 |
1991.0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
경력
2019.03 ~현재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교수 |
---|---|
2017.04 ~ 2021.11 | 삼성서울병원 QPS팀장 |
2015.03 ~ 2019.02 |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임상교수 |
2012.0301 ~ 2015.02 |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진료교수 |
2008.1001 ~ 2012.02 | 세종병원 소아과 부장, 소아 심장분과 부장 |
2006.0201 ~ 2008.10 | 한동대학교 선린병원 소아과과장 및 소아심장 분과장 |
2004.0609 ~ 2006.01 | Institut de Cardiologie d’Abidjan, 코트디브와르 소아심장 및 소아 중재술 분과장 |
2001.03 ~ 2004.06 | 세종병원 소아과장 |
2000.03 ~ 2001.02 |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소아과교수, 소아심 장분과장 |
1998.10 ~ 2000.02 |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심장분과 전임의 |
1996.06 ~ 1998.10 | 한국-페루 이끼토스 협력병원 소아과 협력의사 |
1992.03 ~ 1996.03 |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 전공의 |
1991.03 ~ 1992.02 |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
연구분야
폐동맥 고혈압 심방중격결손의 치료 성과 |
심방중격결손의 환자 중 폐동맥 고혈압을 보이는 경우 검사 결과에 따른 치료 행태와 결과를 분석한다. 약물 치료를 한 경우의 치료 |
심방중격결손의 비수술적 폐쇄의 다양한 방법 |
심방중격결손의 폐쇄는 수술적인 방법이 전통적이었으나 최근 비수술적 시술로 치료가 가능하다. 비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폐쇄를 위해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방사선의 노출을 줄이는 방법으로의 시술방법을 고안하고 이것의 효과를 분석한다. |
학회활동
2014.03 ~ 현재 | 대한소아과학회 심장분과 학술위원 |
---|
수상이력
2014.11 | 대한심장학회 우수논문상 |
---|---|
2013.04 | Cardiovascular Sumit TCTAP Best Presenter |
2012.04 | Cardiovascular Sumit TCTAP Best Presenter |
논문
- HEART LUNG 2023 10.1016/j.hrtlng.2023.02.023Effects of time of bed rest on vascular complications after cardiac catheterization in pediatric patien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Cho, EB; Jang, MR; Moon, JR; Kim, MJ; Kim, YM; An, YJ; Kang, IS; Song, JYView PubMed
- KOREAN CIRC J 2023 10.4070/kcj.2022.0336Percutaneous Transcatheter Closure of Congenital Ventricular Septal DefectsSong, JView PubMed
- CARDIOL YOUNG 2022 10.1017/S1047951122003444Severe headache in a middle-aged woman after device closure of a ventricular septal defectLee, J; Song, JYView PubMed
- CHILDREN-BASEL 2022 10.3390/children9091329Long-Term Observational Outcomes after Total Correction of Congenital Heart Disease in Korean Patients with Down Syndrome: A National Cohort StudyKwak, JH; Lee, SW; Cha, HR; Huh, J; Kang, IS; Jun, TG; Yang, JH; Han, MY; Song, JView PubMed
- EUR J CARDIO-THORAC 2022 10.1093/ejcts/ezab558Midterm results of arch augmentation with autologous vascular patch in interrupted aortic archLee, SO; Shin, HJ; Jun, TG; Kang, IS; Huh, J; Song, J; Yang, JHView PubMed
- MINERVA PEDIATR 2022 10.23736/S2724-5276.21.06021-7How can stretched ductus diameter be predicted from angiographic diameter?Kim, H; Song, J; Choi, GJ; Huh, J; Kang, ISView PubMed
- HEART SURG FORUM 2022 10.1532/hsf.4571Outcomes After Transcatheter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 Without Using a Balloon-Sizing Technique: A Randomized Controlled Comparison with Closures Using a Balloon-Sizing TechniqueKim, BJ; Song, J; Huh, J; Kang, ISView PubMed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선천성심장병의 심도자중재술 확장술 편 – 소아청소년과 송진영 교수[의료진 ON Line 강의]
- 영상 – [Dr.송은 심장 진료 중] 열 번째 진료 | 심장에 폐쇄 기구 삽입 시술 후 관리 방법
- 영상 – [Dr.송은 심장 진료 중] 여덟 번째 진료 | 가슴 통증 검사 결과: 이상 없음
- 영상 – [Dr.송은 심장 진료 중] 여섯 번째 진료 |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운동
- 영상 – 콩닥콩닥⚡ 이상한 우리 아이 심장소리, 어떻게 해야 하죠? [건강인사이드]
- 영상 – [Dr.송은 심장 진료 중] 두 번째 진료 | 심장 수술 후 음식 섭취 관리
- 영상 – [Dr.송은 심장 진료 중] 아홉 번째 진료 | 심장 수술을 권고 받은 경우
- 영상 – [Dr.송은 심장 진료 중] 세 번째 진료 | 심내막염 예방 관리
- 영상 – [Dr.송은 심장 진료 중] 네 번째 진료 | 심장 초음파 검사 전 준비 사항
- 영상 – [Dr.송은 심장 진료 중] 다섯 번째 진료 | 심잡음으로 인한 초음파 검사 결과 안내
- 영상 – [선천성심장병] 출생전 ‘태아 심장 초음파 검사’로 철저히 대비한다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