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데 있어, 우리의 뇌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 중에서도 뇌전증은 뇌의 정상적인 활동을 방해하며, 환자들에게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하는 질병입니다. 뇌전증은 뇌세포의 동기화된 이상한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발작, 감각 장애, 실신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처럼 무서운 질병인 뇌전증에 맞서 싸우고 있는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삼성서울병원 신경과의 손영민 교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손영민 교수 프로필 | |
이름 | 손영민 |
소속 | 삼성서울병원 |
진료과 | 신경과 |
진료분야 | 뇌전증, 뇌전증신경조절술, 뇌전증수술, 뇌전증중첩증, 뇌염 |
학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
대표경력 |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손영민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신경과 손영민 교수
삼성서을병원 손영민 교수는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인턴과정을 수료한 후, 삼성서울병원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거쳤다. 그 후 삼성서울병원에서 뇌전증 및 수면장애 분야의 전임의로 활동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그가 이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손영민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에서 신경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로 활동하면서 연구와 교육에 헌신하였고, 미국 메이요클리닉에서 연수를 받으며 국제적인 시각도 넓혔다. 현재는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로 활동하며, 뇌전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그는 다양한 학회에서 활동하며 뇌전증에 대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대한신경과학회, 대한뇌전증학회,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에서 활동하며, 여러번의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손영민 교수의 이러한 이야기는 그의 뛰어난 학문적 업적과, 뇌전증 분야에서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을 통해 얻은 성과를 보여준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클리닉 | ||||
오후 | 진료 | 진료 |
프로필
학력
2006.02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
---|---|
2001.02 | 충북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 |
1993.0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
경력
2023.04 ~현재 | 미래의학연구원 스마트헬스케어연구소장 |
---|---|
2021.04 ~현재 | 미래의학연구원 의공학연구센터장 |
2016.03 ~현재 |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
2001.03 ~현재 | 신경과 전문의 자격 취득 |
2015.04 ~ 2016.02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교수 |
2012.06 ~ 2015.03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부교수 |
2009.09 ~ 2012.05 |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 신경과 부교수 |
2008.09 ~ 2009.08 | 미국 메이요클리닉 (Mayo Clinic Rochester) Neuroengineering Lab 연수 |
2005.04 ~ 2009.08 |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신경과 조교수 |
2003.03 ~ 2005.03 |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신경과 전임강사 |
2002.03 ~ 2003.02 |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신경과 임상강사 |
2001.03 ~ 2002.02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전임의 (뇌전증, 수면장애 분야) |
1997.05 ~ 2001.02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레지던트 과정 수료 |
1993.03 ~ 1994.02 | 서울대학교병원 인턴과정 수료 |
학회활동
2002.03 ~ 현재 |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회원 (現감사, 前학술위원) |
---|---|
2001.03 ~ 현재 | 대한뇌전증학회 회원 (現연구이사, 前학술이사) |
1997.03 ~ 현재 | 대한신경과학회 회원 (前학술위원, 前보험부위원장) |
수상이력
2016 |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우수논문상 (최다인용상) |
---|---|
2012 | 유럽뇌전증학회 (10th European Congress on Epileptology, London) best poster award |
2011 | 대한신경과학회 우수포스터상 |
2005 | 대한뇌전증학회 최우수논문상 |
논문
- J CLIN MED 2023 10.3390/jcm12134284Exploring Autonomic Alterations during Seizures in Temporal Lobe Epilepsy: Insights from a Heart-Rate Variability AnalysisYou, SM; Cho, BH; Bae, HE; Kim, YK; Kim, JR; Park, SR; Shon, YM; Seo, DW; Kim, IYView PubMed
- EPILEPSY BEHAV 2023 10.1016/j.yebeh.2023.109291Safety and effectiveness of perampanel monotherapy after adjunctive therapy through retention rate in subjects with focal-onset seizures with or without focal to bilateral tonic-clonic seizures: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in KoreaLim, SC; Lee, WG; Kim, DW; Kim, KK; Shon, YM; Park, J; Lee, YA; Seo, DWView PubMed
- PLOS ONE 2023 10.1371/journal.pone.0288054Identifying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surgery in patients with lateral temporal lobe epilepsyKim, JR; Jo, H; Park, B; Park, YH; Chung, YH; Shon, YM; Se, DW; Hong, SB; Hong, SC; Seo, SW; Joo, EYView PubMed
- IEEE T CIRCUITS-I 2023 10.1109/TCSI.2023.3268686A Multi-Channel Neural Recording System With Neural Spike Scan and Adaptive Electrode Selection for High-Density Neural InterfaceLee, HS; Eom, K; Park, M; Ku, SB; Lee, K; Kim, T; Kim, T; Shon, YM; Park, H; Lee, HMView PubMed
- NAT COMMUN 2022 10.1038/s41467-022-35540-7Closed-loop direct control of seizure focus in a rodent model of temporal lobe epilepsy via localized electric fields applied sequentiallyKang, WN; Ju, CY; Joo, J; Lee, JH; Shon, YM; Park, SMView PubMed
- IEEE ACCESS 2022 10.1109/ACCESS.2022.3198980Fabrication of a Flexible Three-Dimensional Hybrid Directional Lead for Deep Brain Stimulation and Control of Micturition Reflex in RatsJu, C; Park, E; Ye, E; Kim, YG; Kim, T; Kang, M; Shon, YM; Lee, KS; Park, SMView PubMed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대한뇌전증학회] 뇌전증 수술: 새로운 개념 및 수술 방법 안내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손영민,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신원철
- 영상 – EP.30 뇌전증 수술 방법
- 영상 – 뇌전증에 대한 오해와 진실-삼성서울병원 손영민 교수에게 듣는다 [퀸TV(Queen)]
- 영상 – [건강 인사이드] 허공을 응시하거나 입맛을 다시는 행동, 뇌전증일 수 있다?!
- [언론기사]뇌전증에 대한 오해와 진실-삼성서울병원 손영민 교수에게 듣는다 [퀸TV(Queen)]
- [언론기사][건강 인사이드] 허공을 응시하거나 입맛을 다시는 행동, 뇌전증일 수 있다?!
- [언론기사]내가 걸린지도 잘 모른다? 소크라테스, 고흐, 차이코프스키가 모두 앓았다는 병
- [언론기사]’뇌전증’ 오해와 진실-삼성서울병원 손영민 교수에게 듣는다
- [언론기사]약발 안 듣는 난치성 뇌전증, 전기 치료로 발작 증상 확 줄인다
- [언론기사]치매로 오해하기 쉬운 뇌전증, 약물로 치료 가능
- [언론기사]”뇌심부자극술, 간질환자 기억, 언어 기능 높여”
- [언론기사]말하고 쓰도록 하라. – 역발상 게임중독치료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