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브란스병원의 김다함 교수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교수님의 전문 분야와 학력, 그리고 주요 업적을 통해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함께 알아보시죠!
김다함 교수 프로필 | |
이름 | 김다함 |
소속 | 세브란스병원 |
진료과 | 내분비내과 |
진료분야 | 갑상선 결절 및 암, 갑상선 기능 이상 및 관련 대사 이상 |
학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박사 |
대표경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임상조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다함 교수는 현재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김다함 교수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과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인턴과 내과 레지던트 과정을 마친 후,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조교(기초전공의)로 근무하였다. 이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강사와 임상연구조교수, 진료교수를 거쳐 현재는 임상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 교수의 진료분야는 갑상선 결절 및 암, 갑상선 기능 이상 및 관련 대사 이상으로, 특히 갑상선 질환과 관련된 전문적인 진료를 제공하고 있다.
학술활동으로는 2017년 대한의사협회 기초의학신진학술상과 2021년 대한내분비학회 향설젊은연구자상을 수상하였다. 대한내분비학회, 대한당뇨병학회, 대한갑상선학회, 대한골다공증학회, 대한임상초음파학회 등의 평생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2023-2024 대한내분비학회 국제협력위원회 간사와 연구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김 교수의 진료철학은 “섬세한 개별화 진료”로, 각 환자의 개별적인 상황과 필요에 맞춘 진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갑상선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기여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
오후 | 암 | 암 | 본관 | 암 |
프로필
진료분야
- 갑상선 결절 및 암, 갑상선 기능 이상 및 관련 대사 이상
학력
- 2001-2007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학사
- 2009-201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석사
- 2012-2017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박사
경력
- 2007-200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인턴
- 2008-201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내과 레지던트
- 2012-2017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분자생물학교실 조교(기초전공의)
- 2017-201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강사
- 201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임상연구조교수
- 2018-2020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진료교수
- 2020-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임상조교수
학술활동
- 2017 대한의사협회 기초의학신진학술상
- 2021 대한내분비학회 향설젊은연구자상
- 대한내분비학회 평생회원
- 대한당뇨병학회 평생회원
- 대한갑상선학회 평생회원
- 대한골다공증학회 평생회원
- 대한임상초음파학회 평생회원
- 2023-2024 대한내분비학회 국제협력위원회 간사
- 2023-2024 대한내분비학회 연구위원회 위원
진료철학
섬세한 개별화 진료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여러분의 많은 제보를 기다리며, 여러분의 소중한 정보로 글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아래 댓글창을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좋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익명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세브란스 지도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