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은 전 세계적으로 암 사망률이 높은 질병 중 하나로, 그 예방과 치료는 매우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장암 전문가인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태일 교수의 업적은 더욱 주목할 만합니다. 이 글을 통해 김태일 교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태일 교수 | |
이름 | 김태일 |
소속 | 세브란스병원 |
진료과 | 소화기내과 |
진료분야 | 대장암, 직장암, 염증성 장질환, 기타 대장질환, 치료 내시경 |
학력 | 연세대학교 의학과 박사 (2002) |
대표경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대장암 명의로 알려진 김태일 교수는 현재 세브란스병원에 재직중이다.
대장암 명의 김태일 교수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김태일 교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장암 전문가입니다. 유전성 대장암과 가족성 대장암의 연구에 주력해왔으며, 특히 대장암 고위험군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있어 독보적인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김태일 교수는 1992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소화기내과 전문의로 임상 진료를 시작했으며, 2012년부터 현재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김태일 교수는 대한암예방학회 회장, 대한장연구학회 총무이사, 대한소화기학회 학술이사,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섭외이사, 대한소화기암학회 암예방연구회 위원장 등 다양한 학회 활동을 통해 대장암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와 정책을 이끌어 왔습니다.
김태일 교수는 대장암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가암검진을 통한 대장암 조기 발견과 치료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앞장서 왔습니다. 또한, 유전성 대장암의 조기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연구를 통해 대장암 고위험군의 생존율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프로필
진료분야
- 대장암, 직장암, 염증성 장질환, 기타 대장질환, 치료 내시경, 대장직장암 예방
학력
- 연세대학교 의학과 박사 (2002)
경력
- 1999-200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사
- 2002-200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 2008-201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 2012-현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학술활동
- 대한암예방학회 회장
- 대한장연구학회 총무이사
- 대한소화기학회 학술이사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섭외이사, 대장암검진 TFT 위원장
- 대한소화기암학회 암예방연구회 위원장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EBS 명의 대장의 혹, 암일까?
- 영상 – [KBS] [다큐ON] 한국인의 건강 보고서 2부. 팬데믹 시대, 코로나19를 넘어
- 언론 – 국내 암 발생률 3위 ‘대장암’…변비·혈변 등 의심신호 알아두세요
- 언론 – 애브비 ‘린버크’ 크론병·척추관절염 치료제로 추가 승인
- 언론 – 설사·복통으로 화장실 ‘들락날락’… 꾀병 같은 ‘염증성 장 질환’
- 언론 – [암(癌)&앎](4)‘조기 발견’도 암 예방이다
- 언론 – 소화기내시경학회, 대장내시경 검사 유튜브 영상 공개
- 언론 – 대장 용종 떼어 낸 적 있는 고위험군, 3년 후 추적 검사 필요
- 언론 – 대장암 80%, 5~10년 걸쳐 진행… 50세 이상은 5년마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 언론 – 대장암 예방 법칙, 기억하세요 [Weekend 헬스]
- 영상 – 대장암 사망 위암 추월…’불편하다’고 검진율 떨어져
- 영상 – 맥박 빠를수록 대장암의 씨앗 ‘용종’ 잘 생긴다
- 언론 – [yes+ Health] 위암 추월한 대장암 사망률… 50세 이상은 매년 검진 받아야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암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