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김훈 교수 프로필

여성 건강에 직면한 고민과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합니다. 이번에 소개할 분은 바로, 이런 어려움을 함께 헤쳐나갈 수 있는 전문가, 서울대학교병원 상부인과 김훈 교수입니다.

김훈 교수 프로필
이름김훈
소속서울대학교병원
진료과산부인과
진료분야다낭성난소증후군, 무월경, 불임, 폐경, 골다공증, 미성년 여성질환, 자궁내막증, 월경이상, 자궁기형, 가임력보존
학력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대표경력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금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김훈 교수는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교수로 재직중 입니다.

상세정보

 

김훈 교수는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기금교수로 활동하며, 산부인과 분야에서 국내외로 인정받는 전문가입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과를 졸업한 후 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이후 다양한 병원과 의료원에서 진료와 연구에 헌신하였습니다.

국내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 인천광역시의료원, 지방공사 남원의료원(공중보건의)에서 활동하였으며, 이 외에도 존스홉킨스대학 보건대학원 역학교실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풍부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김훈 교수는 다양한 학회에서 활동하며 학문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대한노인여성의학회 학술위원장, 대한폐경학회 산학협력위원장, 대한산부인과학회 사무총장, 대한골다공증학회 기획위원장 등 다양한 학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학술지 Reproductive Sciences 편집 위원으로서 국제적인 학문 교류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처럼 김훈 교수는 다양한 경험과 탁월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산부인과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그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주요 저서로는 ‘부인과내분비학’이 있습니다. 이 책은 김훈 교수가 공동 저자로 참여하였으며, 군자출판사에서 2012년에 출간되었습니다.

진료시간

 

오전진료진료
오후진료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정보

기간학력
2008 ~ 2010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2002 ~ 2004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1993 ~ 1999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경력 및 연수

기간경력 및 연수
2023. 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금교수
2019. 9. ~ 2021. 9.존스홉킨스대학 보건대학원 역학교실 방문연구원
2016. 3. ~ 2023. 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기금부교수
2015. 9. ~ 2016. 2.서울대학교병원 임상부교수
2015. 3. ~ 2015. 8.서울대학교병원 진료부교수
2012. 9. ~ 2015. 2.서울대학교병원 진료조교수
2010. 3. ~ 2012. 8.인천광역시의료원 산부인과
2007. 5. ~ 2010. 2.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임상강사
2004. 5. ~ 2007. 4.지방공사 남원의료원 산부인과 (공중보건의)
2000. 3. ~ 2004. 2.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전공의
1999. 3. ~ 2000. 2.서울대학교병원 인턴

학회활동

기간학회활동
2023. 2. ~ 현재대한노인여성의학회 학술위원장
2023. 2. ~ 현재대한폐경학회 산학협력위원장
2022. 3. ~ 현재국제학술지 Reproductive Sciences 편집 위원
2021.10. ~ 현재대한산부인과학회 사무총장
2021.10. ~ 현재대한골다공증학회 기획위원장
2016.12. ~ 2018.12.대한노인여성의학회 총무이사
2016.11. ~ 2018.11.대한골다공증학회 부총무이사
2015.11. ~ 2017.10.대한심신산부인과학회 총무이사
2015. 5. ~ 2017. 4.대한피임생식보건학회 총무이사
2014. 1. ~ 2016. 1.대한자궁내막증학회 총무이사
2013. 3. ~ 2015. 2.대한보조생식학회 총무이사
2012.11. ~ 2014. 9.대한산부인과내분비학회 학술위원회 간사
2011.11. ~ 2013.10.대한산부인과학회 편집위원회 위원
2011.11. ~ 2013.10.대한산부인과학회 정보위원회 위원
2010.11. ~ 2012.10.대한폐경학회 학술위원회 위원
2008. 1. ~ 2012. 8.대한산부인과내분비학회 간사
2007. 4. ~ 2008. 11.대한폐경학회 간사

주요저서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1. 언론 – 양쪽 소음순 달라붙은 여아, 에스트로겐 연고 바른 효과 검증됐다
  2. 언론 – ‘소음순 협착’, 에스트로겐 연고 바르면 안전하고 효과적
  3. 언론 – 만 13세까지 가슴 발달·초경 없으면 검사받아야 [아이가 행복입니다]
  4. 언론 – 폐경,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
  5. 언론 – 가임기 암 환자, 난자채취 ‘열쇠’ 찾았다
  6. 언론 – 임신 앞둔 유방암 환자, 안전한 가임력 보존 방법 찾았다
  7. 언론 – 유방암 환자 암 악화 막는 과배란 유도법 찾았다
  8. 언론 – 35세 여성, 난자 質 크게 저하… 출산 계획 미리 세워야 후회 없다
  9. 언론 – 사후피임약, 한번만 먹어도 부작용… 남용하면 난임 위험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