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의 진정한 가치는 의학적 지식이나 기술력뿐만 아니라, 환자와의 소통과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얼마나 기여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는 진정으로 환자를 위하는 의료인을 찾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런 의료인,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님을 소개하려 합니다.
신동욱 교수 프로필 | |
이름 | 신동욱 |
소속 | 삼성서울병원 |
진료과 | 가정의학과 |
진료분야 | 암치료후건강관리, 흔한급성질병및만성질병(고혈압,당뇨,대사증후군등), 질병의예방및조기발견(건강검진,예방접종등), 건강위험요인관리(비만,흡연등), 증상의감별진단및관리(피로,흉통등) |
학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의학사) |
대표경력 |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신동욱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에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신동욱 교수님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가정의학과 전문의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다양한 병원에서 근무하며 풍부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특히, 국립암센터에서는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과장으로서 환자들의 통증 완화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고, 삼성서울병원에서는 가정의학과장 및 암병원 암치유센터장으로서 환자들의 건강 증진과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 주임교수로서 후학 양성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제22차 세계가정의학회(WONCA) 학술대회에서 ‘가정의학을 빛낸 우수연구상(The 1st Distinguished Research Making Family Medicine Shine Award, DRA)’을 수상했다. ‘가정의학을 빛낸 우수연구상’은 SCI급 의학학술지 중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가 10 이상인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에게만 지원 자격이 주어지며, 그 중 우수한 논문으로 가정의학의 위상을 높였다고 평가받는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총 30명의 전 세계 지원자 중 9명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중 이기헌, 신동욱 교수만 국내 수상자이며, 나머지 7명은 스웨덴, 중국, 대만, 독일 등에서 각각 수상을 했다.
또한 호스피스완화의료팀장으로서 말기환자와 가족들이 존엄성과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편안하게 임종을 맞을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관련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환자들과의 소통을 중요시하며, 항상 친절하고 세심한 진료로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습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클리닉 | 클리닉 | 외래 | |||
오후 | 클리닉 | 클리닉 |
프로필
학력
2012.02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보건학박사) |
---|---|
2007.08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 석사) |
2001.0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졸업(의학사) |
경력
2023.04 ~현재 |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장 |
---|---|
2023.04 ~현재 |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암치유센터장 |
2023.04 ~현재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 주임교수 |
2022.07 ~현재 | 삼성서울병원 호스피스완화의료팀장 |
2019.03 ~현재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부교수 |
2017.03 ~ 2019.02 |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진료부교수 |
2010.04 ~ 2017.02 |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진료조교수 |
2013.04 ~ 2013.05 | 미국 Johns Hopkins 보건대학원 Visiting Scholar |
2008.11 ~ 2010.03 | 국립암센터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과장/완화의료클리닉/암예방검진센터 의사직 |
2007.08 ~ 2008.11 | 국립암센터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과/완화의료클리닉/암예방검진센터 전임의 |
2006.03 ~ 2007.08 | 한국 노바티스 항암제사업부 Medical advisor |
2006.03 | 가정의학과 전문의 취득 |
2003.03 ~ 2006.02 |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레지던트 과정 수료 |
2002.03 ~ 2003.02 | 서울대학교병원 인턴과정 수료 |
여담 및 관련기사
- 언론 – 삼성서울병원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파킨슨병 발병 위험 높아”
- 언론 – 삼성서울병원 “뇌졸중 ‘첫 해’, 우울증 발병 위험 가장 높아”
- 언론 – 삼성서울병원 연구팀 “음주량에 따라 암 발병 위험 달라져”
- 언론 – 삼성서울병원, 하루 3잔 이상 과음하면 뇌경색 위험성 높아져
- 언론 –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교수, 폐경 후엔 살 빼야 암 예방
- 언론 – 삼성서울병원 연구팀 “대사증후군 개선 시 유방암 발병 위험도 감소”
- 언론 – 삼성서울병원 “장애인 유방암 검진, 형평성 제고 필요”
- 언론 – 삼성서울병원 “부모님 뼈 건강 간단히 확인하세요”
- 언론 – 바보야, 문제는 의사 부족이 아니라, 과소비야!
- 언론 – 삼성서울병원 “장애인 위암 검진, 비장애인과 격차 커졌다”
- 언론 – 삼성서울병원, 빈혈 있으면 치매위험 24% 증가
- 언론 – 삼성서울병원 “위암 경험자들 골다공증 위험 높아”
- 언론 – 삼성서울병원 연구팀, ‘노인 심장질환 발병 위험’ 미리 알 수 있다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암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