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강철인 교수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강철인 교수는 감염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국내 최고의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세균성 패혈증과 같은 감염질환의 원인균 분석과 치료법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그의 연구 결과는 감염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강철인 교수 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철인 교수 프로필
이름강철인
소속삼성서울병원
진료과감염내과
진료분야불명열, 폐렴, 임파선염, 폐외결핵, 면역저하자감염
학력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졸업 (의학 박사)
대표경력성균관 의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강철인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에 재직중입니다.

감염내과 강철인 교수

 

강철인 교수는 감염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국내 최고의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세균성 패혈증과 같은 감염질환의 원인균 분석과 치료법 연구에 주력하고 있으며, 그의 연구 결과는 감염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강철인 교수는 폐렴, 불명열, 임파선염, 폐외 결핵, 요로감염 등의 감염질환 진료에 있어 뛰어난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에 맞는 최적의 치료법을 제시하고, 감염질환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1998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였고, 이후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서울대학교병원 감염내과 전임의를 거쳐 국군 수도병원 감염내과 과장, 국군 양주병원 내과 과장으로 군의관 복무를 하였습니다. 1
  • 2007년 9월부터 2009년 2월까지 미국 미네소타주 메이요 클리닉 연수를 다녀왔으며, 이후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임상 조교수, 성균관 의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2019년 4월부터 현재까지 성균관 의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 감염내과 전문의로서 세균, 바이러스, 진균, 결핵 등의 감염 질환을 다루고 있으며, 특히 신종 전염병과 과거에 유행했던 전염병의 재출현에 대응하여 그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진료시간

 

오전진료
오후진료진료
2023년 10월 기준 진료일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

2011.02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졸업 (의학 박사)
2003.02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졸업 (의학 석사)
1998.0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경력

2019.0401 ~현재성균관 의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
2013.04 ~현재성균관 의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부교수
2009.03 ~ 2013.03성균관 의대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조교수
2007.09 ~ 2009.02미국 미네소타주 메이요 클리닉 연수
2007.05 ~ 2009.02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임상 조교수
2005.05 ~ 2007.04국군 수도병원 감염내과 과장 (군의관)
2005.07대한내과학회 감염분과 분과전문의 자격취득
2004.04 ~ 2005.04국군 양주병원 내과 과장 (군의관)
2003.03 ~ 2004.02서울대학교병원 감염내과 전임의
1999.03 ~ 2003.02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레지던트)
1998.03 ~ 1999.02서울대학교병원 수련의 (인턴)

여담 및 관련기사

 

  1. 언론 – 봄 나들이 ‘야생 진드기’ 주의보…감염땐 치사율 최고 30%
  2. 언론 – [긴급진단-감염내과 전문의가 말하는 메르스 공포] 강철인 삼성서울병원 교수 “폐 등 만성질환자 취약”
  3. 언론 – 전문가들 “치사율 10% 이내, 폐렴과 비슷… 공기 전염도 희박”
  4. 언론 – [의약물질의 습격, 물이 앓고 있다] [1] 주요 병원균의 항생제 내성률… 우리나라, OECD 국가 중 최고
  5. 언론 – 무서운 폐렴… 어르신, 예방접종 꼭 받으세요
  6. 언론 – 복지부 “CPE, 슈퍼 박테리아 아니다”
  7. 언론 – [건강] 장마철 건강ㆍ질병관리 어떻게?
  8. 언론 – 당신이 몰랐던 항생제 `오해와 진실`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