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정옥 교수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이정옥 교수님에 대한 정보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교수님의 전문 분야와 경력, 그리고 주요 업적 등을 통해, 여러분께 신뢰할 수 있는 의료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함께 이정옥 교수님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정옥 교수 프로필
이름이정옥
소속분당서울대학교병원
진료과혈액종양내과
진료분야혈액암 (림프종, 급성림프모구백혈병, 만성백혈병),조혈모세포이식, 혈액질환
학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종양학 박사
대표경력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이정옥 교수는 현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2003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를 졸업하고, 2009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분자종양의학 석사, 2017년 분자종양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인턴(2004-2005)과 내과 전공의(2005-2009)를 거쳐 혈액종양내과 전임의(2009-2010)로 근무한 바 있다. 이후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전임강사(2010-2011), 조교수(2011-2016), 부교수(2016-2021)를 역임하고, 2021년부터 현재까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2019년부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겸임부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전문 분야에서의 활발한 활동으로 대한혈액학회,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한국혈전지혈학회, 미국혈액학회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대한혈액학회 만성골수성백혈병연구회 운영위원교과서편찬위원회 위원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오전진료진료
오후진료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직위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교수
📌 학력
  • 2003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학사
  • 200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종양의학 석사
  • 201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종양학 박사
📌 경력
  • 2004 – 2005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 2005 – 2009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 2009 – 2010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전임의
  • 2010 – 2011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전임강사
  • 2011 – 2016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조교수
  • 2016 – 2021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부교수
  • 2021 – 현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 2019 – 현재 서울대학교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겸임부교수
📌 활동
  • 대한혈액학회 회원
  •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회원
  • 한국혈전지혈학회 회원
  • 미국혈액학회 회원
  • 대한혈액학회 만성골수성백혈병연구회 운영위원학회 만성골수성백혈병연구회 운영위원
  • 대한혈액학회 간행 교과서편찬위원회 위원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1. 📰 언론 심평원 암질심 10기 활동 시작…내일 2차 회의 참여
  2. 📰 언론 만성골수성백혈병에 대한 오해와 진실
  3. 📰 언론 [생생 건강정보] 만성 골수성 백혈병, 불치병 아니다…”치료약 복용 중요”
  4. 📰 언론 만성 골수성 백혈병 –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닙니다.
  5. 📰 언론 이정옥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자포자기 복약 중단 안돼”
  6. 📰 언론 [인터뷰]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정옥 교수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아래 댓글창을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좋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익명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