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김은선 교수팀, GUSS 활용한 ‘흡인예방 QI 프로그램’ 임상 효과 확인

분당서울대학교 김은선 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종합내과 김은선 교수 연구팀이 급성기 내과 질환으로 입원한 고령 환자들을 대상으로 GUSS(Gugging Swallowing Screen)를 활용한 ‘흡인예방 품질개선(QI) 프로그램’의 임상적 효과를 입증했다.

흡인성 폐렴은 음식물이나 침 등이 기도로 잘못 들어가 발생하는 폐렴으로, 노인 환자에게 특히 치명적이다. 노화로 인해 삼킴 장애가 흔히 발생하며, 이로 인해 흡인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급성기 내과 질환으로 입원한 많은 노인 환자들은 이미 흡인의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어, 적절한 시기에 흡인 여부를 확인하고 맞춤형 식이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에 흡인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비디오투시연하검사(VFSS)가 사용되지만, 이 검사는 검사 의뢰부터 최종 확인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방사선 노출과 높은 비용 등의 한계가 있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검사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반면, GUSS는 삼킴 장애를 4단계로 평가하는 비침습적 스크리닝 검사로, 침 삼킴, 침 흘림, 목소리 변화, 기침 등을 평가하여 병상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흡인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검사는 주로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 평가에만 사용되어 왔으며, 급성기 내과 질환 환자에게 적용한 연구는 부족했다.

김은선 교수 연구팀은 2021년 4월부터 2023년 3월까지 급성기 내과 질환으로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GUSS를 이용한 흡인예방 QI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96명과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두 그룹 간 금식 기간, 영양 상태, 입원 기간, 병원 내 사망률, 그리고 90일 이내 폐렴으로 인한 재입원률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흡인예방 QI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들은 금식 기간, 영양 상태, 입원 기간, 병원 내 사망률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90일 이내 폐렴으로 인한 재입원률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약 12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은선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급성기 내과 질환 환자에서 GUSS 검사가 의료진의 주관적인 판단을 보완하는 객관적인 지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를 기반으로 한 흡인예방 QI 프로그램은 VFSS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GUSS 프로그램이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평가하고,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효과를 검증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에 최근 게재되었다.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