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백용한 교수

세상에는 다양한 질병이 존재하고,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의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간질환은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는 주요 질병 중 하나입니다. 오늘 우리가 주목할 전문가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이자 간암센터장인 백용한 교수님입니다. 그는 간질환 분야에서 권위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업적을 통해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백용한 교수대해 더욱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용한 교수 프로필
이름백용한
소속삼성서울병원
진료과소화기내과
진료분야간암, 간경화, 급성간염, 만성간염, 지방간, 간질환
학력연세대학교 의학박사
대표경력삼성서울병원 간암센터장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백용한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에 재직중이다.

소화기내과 백용한교수

 

백용한 교수는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이자 간암센터장으로, 간질환 분야의 권위자입니다.

백 교수는 1994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2004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후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소화기내과 임상강사,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 현재까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학교실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백 교수는 간암, 간경화, 급성간염, 만성간염, 지방간 등 다양한 간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 독보적인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간암의 조기 발견 및 치료에 있어 세계적인 권위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백 교수는 간질환 분야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습니다. 간암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간질환에 대한 대중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백용한 교수는 간질환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우수한 의료진입니다. 그의 연구와 노력을 통해 간질환 환자들이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진료시간

 

오전진료진료
오후진료진료
2023년 11월 기준 진료일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

2004.02연세대학교 의학박사
1998.02연세대학교 의학석사
1994.02연세대학교 의학과

경력

2023.04 ~현재삼성서울병원 간암센터장
2016.03 ~현재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기획실장
2015.03 ~현재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교수
2011.09 ~현재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겸임교수
2011.09 ~ 2015.02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부교수
2009.02 ~ 2011.08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부교수
2008.08 ~ 2010.07Univ. of California San Diego Research Scientist
2005.03 ~ 2009.02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조교수
2003.03 ~ 2005.02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전임강사
2001.05 ~ 2003.02Univ. of North Carolina Research Fellow
1999.03 ~ 2001.02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강사
1995.03 ~ 1999.02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레지던트
1994.03 ~ 1995.02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인턴

학회활동

2017.08 ~ 2018.07아시아태평양간암학회 (APPLE) 학술위원장
2016.11 ~ 2017.10간경변증 복수연관 합병증 가이드라인 개정위원회 위원장
2015.11 ~ 2017.10대한간학회 연구기획위원장
2014.07 ~ 2015.06대한간암학회 학술위원장
2013.07 ~ 2014.06대한간암학회 재무위원장
2011.07 ~ 2013.06대한간학회 학술위원
2011.03 ~ 2011.122011년 B형간염 치료가이드라인 개정위원회 위원
2011.03 ~ 2011.12간경변증 진료가이드 개정위원회 위원
2011.03 ~ 2011.12간경변증 진료가이드라인 개정위원회 위원
2010.01 ~ 2011.12대한간학회 간행위원
2008.03 ~ 2008.122008년 서울 APASL(아시아태평양간학회) 조직위원회 학술위원
2007.03 ~ 2008.02B형간염 치료가이드라인 개정위원회 위원
2007.03 ~ 2008.02대한간암연구회 학술 및 간행위원
2007.03 ~ 2007.12B형간엽 치료가이드라인 개정위원회 위원
2006.03 ~ 2007.02대한간학회 학술위원
2006.03 ~ 2007.02대한소화기학회 학술 및 간행위원
2005.03 ~ 2005.12간경변증 치료가이드라인 제정위원
2003.03 ~ 2005.02대한간학회 간행위원

논문

  • JHEP REP 2023 10.1016/j.jhepr.2023.100810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and the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Song, BG; Choi, SC; Goh, MJ; Kang, WS; Sinn, DH; Gwak, GY; Paik, YH; Choi, MS; Lee, JH; Paik, SWView PubMed
  • SCI REP-UK 2023 10.1038/s41598-023-36668-2Improved on-treatment fibrosis-4 during antiviral therapy and lower hepatocellular carcinoma risk in cirrhotic patients with hepatitis BOh, JH; Park, Y; Goh, MJ; Sinn, DH; Ahn, SB; Kang, WS; Gwak, GY; Paik, YH; Choi, MS; Lee, JH; Paik, SWView PubMed
  • LIVER INT 2023 10.1111/liv.15632Validation of non-invasive diagnosis of CSPH in patients with compensated advanced chronic liver disease according to Baveno VIISong, BG; Goh, MJ; Kang, W; Gwak, GY; Paik, YH; Choi, MS; Lee, JH; Paik, SW; Sinn, DHView PubMed
  • GUT LIVER 2023 10.5009/gnl220420Clinical Outcomes and Validation of Ursodeoxycholic Acid Response Scores in Patients with Korean Primary Biliary Cholangitis: A Multicenter Cohort StudyChang, JI; Kim, JH; Sinn, DH; Cho, JY; Kim, KM; Oh, JH; Park, Y; Sohn, W; Goh, MJ; Kang, W; Gwak, GY; Paik, YH; Choi, MS; Lee, JH; Koh, KC; Paik, SWView PubMed
  • LIVER CANCER 2023 10.1159/000529635Impact of Intrahepatic External Beam Radiotherapy in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Treated with Tyrosine Kinase InhibitorsGoh, MJ; Park, HC; Yu, JI; Kang, WS; Gwak, GY; Paik, YH; Lee, JH; Koh, KC; Paik, SW; Sinn, DH; Choi, MSView PubMed
  • GUT LIVER 2023 10.5009/gnl220337Pretransplant Functional Status Predicts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CirrhosisGoh, MJ; Kim, J; Chang, WH; Sinn, DH; Gwak, GY; Paik, YH; Choi, MS; Lee, JH; Koh, KC; Paik, SW; Kim, JM; Kang, WSView PubMed
  • CLIN MOL HEPATOL 2023 10.3350/cmh.2022.0411Correspondence on Editorial regarding Impact of nationwide hepatocellular carcinoma surveillance on the progn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ohn, W; Paik, YHView PubMed
  • CLIN MOL HEPATOL 2022 10.3350/cmh.2022.0037Impact of nationwide hepatocellular carcinoma surveillance on the prognosi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ohn, W; Kang, D; Kang, M; Guallar, E; Cho, J; Paik, YHView PubMed

여담 및 관련기사

 

  1. 언론 – 난치성 간암 면역항암치료 가능성 밝혀냈다
  2. 언론 – “높은 반응률 렌비마, 간암환자 생존기간 연장 기여”
  3. 언론 – [Health&Beauty]간암의 원인 80%는 ‘B형 간염’, 정기검진 통한 체크, 완치율 높여
  4. 언론 – B형간염, 완치를 꿈꾸다
  5. 언론 – “평생 먹는 B형간염 치료제, 약값 절반 줄여도 같은 효과”
  6. 언론 – ’40~50대 男 사망원인 1위’ 간암, 경제적 부담 2조4552억원
  7. 언론 – 비리어드-페그인터페론 병용, B형 간염 완치 가능성 확인
  8. 언론 – C형 간염 백신도 나온다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