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힘들게 겪고 계신 질병과의 싸움, 그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의료의 세계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소개를 통해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방오영 교수님의 전문성이 여러분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방오영 교수 프로필 | |
이름 | 방오영 |
소속 | 삼성서울병원 |
진료과 | 신경과 |
진료분야 | 뇌경색, 뇌졸중, 경동맥협착증, 일과성허혈발작, 모야모야병 |
학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의학사) 아주대학교 대학원 의학과(박사) |
대표경력 | 심장뇌혈관병원 뇌졸중센터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방오영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신경과에 재직중이다.
신경과 방오영 교수
방오영 교수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시작되어, 석사와 박사 학위를 아주대학교에서 취득하였다. 그 후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신경과 레지던트 과정을 수료하였고, 2002년부터 아주대학교병원에서 신경과 조교수로 활동하였다.
그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에서 신경과 연수를 받은 뒤, 국내에서 다시 활동을 시작하여 현재는 심장뇌혈관병원의 뇌졸중센터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성균관대학 의과대학과 삼성융합의과학원에서 교수 및 겸임교수로, 그리고 삼성서울병원에서 신경과 전문의로 활동하며 환자들을 진료하고 있다.
방오영 교수님은 다양한 학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그 중 대한뇌졸중학회와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에서는 이사 및 학술이사로 활동하였다. 국제적으로도 미국 Stroke지에서 assistant editor로 활동하였고, 유럽 뇌졸중학회의 편집인을 역임하였다.
그의 업적을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하였는데,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정회원 선정, 보건복지부장관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연구분야 우수교수 등을 수상하였다.
이처럼 방오영 교수는 뇌졸중 분야에서 명의로서, 학문적 성취와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프로필
학력
2002.02 | 아주대학교 대학원 의학과(박사) |
---|---|
1996.02 |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석사) |
1992.02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의학사) |
경력
2023.04 ~현재 | 심장뇌혈관병원 뇌졸중센터장 |
---|---|
2014.04 ~현재 | 성균관대학 의과대학 교수 |
2010.03 ~현재 | 성균관대학 삼성융합의과학원 겸임교수 |
2006.03 ~현재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전문의 |
2008.03 ~ 2014.03 | 성균관대학 의과대학 부교수 |
2009.03 | 중환자의학 전문의 자격 취득 |
2006.03 ~ 2007.12 |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UCLA) 신경과 연수 |
2002.03 ~ 2006.02 | 아주대학교병원 신경과 조교수 |
2000.07 ~ 2002.02 | 아주대학교병원 신경과 전임의 |
1998.03 | 신경과 전문의 자격 취득 |
1993.03 ~ 1997.02 |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신경과 레지던트과정 수료 |
1992.03 ~ 1993.02 | 연세대학교 신촌세브란스병원 인턴과정 수료 |
학회활동
2022.03 ~ 현재 | 한국엑소좀학회 부회장 |
---|---|
2021.03 ~ 현재 |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본부 (책임)전문위원 |
2009.03 ~ 현재 |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 회원 |
1998.05 ~ 현재 | 대한 뇌졸중학회 회원 |
1997.03 ~ 현재 | 대한 신경학학회 회원 |
2022.03 ~ 2023.12 |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지원산업단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비 평가위원단 위원 |
2016.03 ~ 2022.09 | Precision & Future Medicine 편집장 |
2015.08 ~ 2020.12 | 유럽 뇌졸중학회 Cerebrovascular disease 편집인 |
2018.03 ~ 2020.02 | 대한뇌졸중학회 학술이사 |
2013.03 ~ 2018.08 | Journal of Stroke 지 부편집장 |
2011.03 ~ 2018.02 | 대한뇌졸중학회 간행이사 |
2010.03 ~ 2015.08 | 미국 Stroke지 assistant editor |
2013.03 ~ 2015.02 |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 학술이사 |
수상이력
2020.02 | SKKU-Fellowship 선정 |
---|---|
2019.01 |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정회원 선정 |
2017.02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연구분야 우수교수 |
2016.12 | 보건복지부장관상 |
2012.12 | 경동송천의학연구비 수상 |
2012.10 | 삼성서울병원 best teacher 선정 |
2010.12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상 |
2010.12 | 성균관대 의과대학 연구부문 최고업적상 |
2010.07 | 성균관대 의과대학 교육 우수교수 |
논문
- STROKE 2023 10.1161/STR.0000000000000443Adult Moyamoya Disease and Syndrome: Current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ons: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Gonzalez, NR; Amin-Hanjani, S; Bang, OY; Coffey, C; Du, RS; Fierstra, J; Fraser, JF; Kuroda, S; Tietjen, GE; Yaghi, SView PubMed
- J CLIN NEUROL 2023 10.3988/jcn.2022.0289Stroke-Specific Predictors of Major Bleeding in Anticoagulated Patients With Stroke and Atrial Fibrillation: A Nationwide Multicenter Registry-Based StudyChung, DR; Song, TJ; Kim, BJ; Heo, SH; Jung, JM; Oh, K; Kim, CK; Yu, SW; Park, KY; Kim, JM; Park, JH; Park, MS; Kim, JT; Hwang, YH; Kim, YJ; Chung, JW; Bang, OY; Kim, GM; Seo, WK; Choi, JCView PubMed
- FRONT NEUROSCI-SWITZ 2023 10.3389/fnins.2023.1263693Imaging and clinical predictors of acute constipation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Han, IJ; Lee, JE; Song, HN; Baek, IY; Choi, J; Chung, JW; Bang, OY; Kim, GM; Seo, WKView PubMed
- THROMB RES 2023 10.1016/j.thromres.2023.07.014D-dimer to fibrinogen ratio predicts early neurological deterioration in ischemic stroke with atrial fibrillationNam, KW; Kim, CK; Yu, SW; Oh, K; Chung, JW; Bang, OY; Kim, GM; Jung, JM; Song, TJ; Kim, YJ; Kim, BJ; Heo, SH; Park, KY; Kim, JM; Park, JH; Choi, JC; Park, MS; Kim, JT; Choi, KH; Ha Hwang, Y; Seo, WKView PubMed
- J AM HEART ASSOC 2023 10.1161/JAHA.123.029604Topographical Association Between Left Ventricular Strain and Brain Lesions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and Normal Cardiac FunctionChung, D; Hong, SW; Lee, J; Chung, JW; Bang, OY; Kim, GM; Seo, WK; Park, SJView PubMed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뇌졸중이 생기면 치매가 올 수도 있나요?[1분 메디캠_뇌졸중 편]
- [영상] 뇌졸중이 유전이 되나요?[1분 메디캠_뇌졸중 편]
- [언론기사]뇌졸중, 3시간 내 치료 중요… 전조증상 ‘F·A·S·T’ 체크를
- [언론기사]미세먼지, 뇌졸중부터 심방세동까지… 심혈관계 ‘악영향’
- [언론기사]미세먼지+일교차 뇌졸중 위협? 봄철 저승사자
- [언론기사]2017년 7가지 건강 트렌드·이슈 & 건강 수칙
- [TV&동영상]”겨울철 미세먼지는 고농도” 독성 강해 더 위험
- [언론기사]中 최악 스모그…겨울 미세먼지 더 독하다는데
- [언론기사]춥고 미세먼지 심한 날 뇌졸중 주의
- [언론기사]뇌졸중으로 죽지 않는 8가지 지혜
- [언론기사]두근두근, 어질어질 … 뇌졸중 위험 신호죠
- [TV&동영상]술 한두 잔은 약주?…”뇌졸중 위험 34%높여”
- [언론기사]뇌졸중 성체 줄기세포치료 임상시험 모집
- [언론기사]뇌졸중 후유증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희망을, 세계 최초 줄기세포로 뇌졸중을 치료하는 신경과 방오영 교수
- [언론기사]국정원이 전한 김정일 상태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