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암 수술 명의 – 강석호 교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방광암은 비뇨의학과 내에서도 가장 어려운 수술 중 하나이며, 의사들도 기피하는 수술이다. 방광적출술은 기준으로 하여 수술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합병증과 생존율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어떤 의사를 만나느냐가 매우 중요한 수술이다. 이 글은 직접 수술을 관찰한 경험이 있거나, 라이브 써저리를 보거나, 주변 의료진들이 강력 추천한 신뢰할 만한 의사를 소개하고자 한다. 오늘은 방광암 수술의 명의 고려대 안암병원 강석호 교수를 소개하고자 한다.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글을 정성스럽게 작성하였습니다.

강석호 교수
이름강석호
소속고려대 안암병원
진료과비뇨의학과
진료분야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최소침습로봇복강경수술
학력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대표경력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로봇수술 센터장
링크프로필 – 출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개요

 

우리나라 방광암 명의로 현재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방광암 명의 강석호

 

우리나라의 방광암 성적을 보면 세계적으로도 좋은 치료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심에는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강석호 교수가 있다. 그는 로봇 근치적 방광절제술을 22년 기준 200례 및 총체내요로전환술 140례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이러한 성과를 달성했다.

근치적 방광절제술은 크게 3가지 방법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그 중 가장 어려운 분야가 강석호 교수가 하는 방법이다. 방광절제술 뿐만아니라 총 체내요로전환술 자체를 로봇으로 하는 것은 의사의 능력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수술적인 부분에서는 비뇨의학회내에서도 인정받는다. 매우 섬세하고, 한 끝차이를 만들어내는 명의이다. 또 강석호 교수는 임파선 절제를 골반 주위만이 아닌 대동맥 분지부 상방까지 이르는 ‘확장형 임파선절제’를 아시아 최초로 성공했다. 임파선절제부위는 환자의 생존기관과 직접적으로 관계돼 있어 중요하다.’

현재의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열정과 전문성을 겸비한 강석호 교수의 의료 성취는 앞으로도 많은 환자들에게 힘이되고, 방광암 치료의 길잡이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프로필

 

학력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학사
  • 고려대학 의학과 석사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박사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의학과 인턴
  • 해외연수. Research Scholarship, Institute of Urology,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임상강사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조교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국제진료센터장 역임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로봇수술센터장 역임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적정진료관리부장 역임
  • 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기획실장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과장 역임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임상조교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수술실장 역임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부교수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전공의
  • 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비뇨의학과 교수

학회

  • 대한비뇨의학회재단 사무차장 역임
  • 대한비뇨내시경로봇학회 정회원
  • 현 대한비뇨기초의학회 정회원
  • 미국비뇨기과학회 국제회원
  • 세계내시경로봇학회 국제회원

여담 및 관련기사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암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