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박혜윤 교수

많은 분들이 힘들게 겪고 계신 질병과의 싸움, 그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의료의 세계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소개를 통해 삼성서울병원 박혜윤 교수님의 전문성이 여러분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박혜윤 교수 프로필
이름박혜윤 교수
소속삼성서울병원
진료과호흡기내과
진료분야만성폐쇄성폐질환, 만성기도질환
학력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대학원 (박사)
대표경력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부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박혜윤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에 재직중이다.

호흡기내과 박혜윤 교수

 

박혜윤 교수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인턴 과정을 거쳐 삼성서울병원에서 내과 레지던트로 근무하였으며, 다양한 학술 대회에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에서는 호흡기내과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진료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천식, 폐렴, 폐암 등의 호흡기 질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UBC James Hogg Research Center 및 The Institute for Heart and Lung Health에서의 연구활동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지속적으로 논문을 발표하고 있으며, 청년 슈바이처 상, LG 생명과학 미래 의학자 상등을 수상하면서 그 업적을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풍부한 경험과 뛰어난 실력을 바탕으로 환자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진료시간

 

오전
오후
연수 복귀 후 업그레이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11월 기준 진료일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

2011.08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대학원 (박사)
2009.02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대학원 (석사)
2003.02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경력

2018.0401 ~현재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부교수
2014.0301 ~ 2018.03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조교수
2013.1001 ~ 2014.02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임상전임강사
2011.0701 ~ 2013.09UBC James Hogg Research Center & the Institute for Heart and Lung Health
2009.0301 ~ 2013.09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임상강사
2004.0901 ~ 2008.08삼성서울병원 내과 레지던트
2003.0301 ~ 2004.02서울대학교병원 인턴

수상이력

2013.05LG생명과학 미래의학자상
2010.12최우수 임상강사 발표상 (삼성서울병원)
2009.06청년 슈바이처상
2007.05Travel Award at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Conference
2006.11Best Poster Award at the 11th Congress of the Asian Pacific Society of Respirology
2005.02우수 내과 레지던트상 (삼성서울병원)
2004.02우수 인턴상 (서울 대학교 병원)

논문

  • EUR RESPIR J 2023 10.1183/13993003.00462-2023Can we call all obstructive lung diseases COPD?Lee, H; Shin, SH; Park, HY; Lim, AYView PubMed
  • THER ADV CHRONIC DIS 2023 10.1177/20406223231176175Air pollution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cohort study in South KoreaKang, SA; Hong, YS; Park, J; Kang, D; Kim, H; Lee, J; Kim, W; Kang, SW; Guallar, E; Cho, J; Park, HYView PubMed
  • J KOREAN MED SCI 2023 10.3346/jkms.2023.38.e68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Viral Infection in Severe Acute Exacerbation of Chronic Obstructive DiseaseChoi, J; Shim, JJ; Lee, MG; Rhee, CK; Joo, H; Lee, JH; Park, HY; Kim, WJ; Um, SJ; Kim, DK; Min, KHView PubMed
  • ALLERGY ASTHMA IMMUN 2023 10.4168/aair.2023.15.1.83Impacts of Asthma in Patients With Bronchiectasis: Findings From the KMBARC RegistryMoon, SM; Choi, H; Kang, HK; Lee, SW; Sim, YS; Park, HY; Kwon, YS; Kim, SH; Oh, YM; Lee, HYView PubMed
  • SCI REP-UK 2022 10.1038/s41598-022-24627-2The impact of driving pressure on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 in patients with different respiratory spirometryOh, EJ; Kim, BG; Park, S; Han, S; Shin, B; Lee, H; Shin, SH; Kim, J; Choi, D; Choi, EA; Park, HYView PubMed
  • THER ADV CHRONIC DIS 2022 10.1177/20406223221123979Trend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nfluenza vaccination in subjects with asthma: analysi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between 2010 and 2019Kim, SH; Park, HY; Jung, H; Zo, S; Kim, S; Park, DW; Park, TS; Moon, JY; Kim, SH; Kim, TH; Sohn, JW; Yoon, HJ; Lee, H; Shin, SHView PubMed
  • ANN AM THORAC SOC 2022 10.1513/AnnalsATS.202111-1257OCNon-Cystic Fibrosis Bronchiectasis Increases the Risk of Lung Cancer Independent of Smoking StatusChoi, H; Park, HY; Han, K; Yoo, J; Shin, SH; Yang, B; Kim, Y; Park, TS; Park, DW; Moon, JY; Ra, SW; Kim, SH; Kim, TH; Oh, YM; Yoon, HJ; Sohn, JW; Lee, HView PubMed
  • FRONT MED-LAUSANNE 2022 10.3389/fmed.2022.982121Editorial: The heterogeneity in COPD phenotypesTanabe, N; Rhee, CK; Park, HY; Suzuki, MView PubMed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1. 영상 – 2022 추계학술대회 Session III-2. 박혜윤 (삼성 서울)
  2. 언론 – COPD 환자, 적정 체중보다 살 빠지면 병 악화 위험↑
  3. 언론 – [건강 일문일답] 담배 피우면 가래 왜 생길까
  4. 언론 – “미세먼지 가볍게 보면 안돼요”…마스크 선택과 세척·세안이 관건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