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민주홍 교수

많은 분들이 힘들게 겪고 계신 질병과의 싸움, 그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의료의 세계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소개를 통해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민주홍 교수님의 전문성이 여러분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민주홍 교수 프로필
이름민주홍
소속삼성서울병원
진료과신경과
진료분야다발성경화증, 시신경척수염, 모그항체질환, 척수염, 시신경염, 뇌염, 근무력증, 신경면역질환
학력서울대학교 뇌신경과학 대학원 (박사)
대표경력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민주홍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신경과 민주홍 교수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민주홍 교수는 2000년 2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이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인턴 과정(2000년 3월∼2001년 2월)과 신경과 레지던트 과정(2001년 3월∼2005년 2월)을 수료하였다.

2005년 서울대학교병원 전임의로 근무하였고, 이후 중앙대학교병원 진료조교수(2006년 4월∼2009년 2월), 관동대학교 명지병원 조교수(2009년 3월∼2011년 2월),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임상조교수/부교수(2011년 3월∼2021년 2월)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이자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민주홍 교수는 미국신경과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정회원이며 유럽다발성경화증학회(European Committee for Treatment and Research in Multiple Sclerosis)로부터 여러 차례 Travel grant를 수상한 경력이 있습니다. 또한 국제임상신경생리학회(International Clinical Neurophysiology Society) Fellowship Grant와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우수포스터상(2006년 5월) 등 다양한 학술상을 수상하며 다발성경화증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진료시간

 

오전클리닉진료
오후진료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

2009.08서울대학교 뇌신경과학 대학원 (박사)
2005.02서울대학교 뇌신경과학 대학원 (석사)
2000.02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경력

2021.03 ~현재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2021.03 ~현재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겸임교수
2015.03 ~ 2021.02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부교수
2018.09 ~ 2019.08미국 UCSF 다발성경화증 센터 객원부교수
2011.03 ~ 2015.02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임상조교수
2009.03 ~ 2011.02관동대학교 명지병원 조교수
2006.04 ~ 2009.02중앙대학교병원 진료조교수
2005.03 ~ 2006.03서울대학교병원 전임의
2005.03신경과 전문의 자격취득
2001.03 ~ 2005.02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레지던트 과정 수료
2000.03 ~ 2001.02서울대학교병원 인턴과정 수료

학회활동

건강보험분쟁조정위원회 다발성경화증 자문위원
대한다발성경화증학회 (신경면역학회) 학술이사
대한다발성경화증학회 간사, 편집위원
대한신경과학회 정회원
대한신경근육질환학회 편집위원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술기특임이사
대한통증자율신경학회 학술이사
미국신경과학회 정회원

수상이력

2017.08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영역 우수교수상
2013.05서울대학교병원 근신경계 연구회 학술상
2011.10유럽다발성경화증학회, Travel grant
2010.10유럽다발성경화증학회, Travel grant
2007.10유럽다발성경화증학회, Travel grant 및 젊은 연구자 구연상
2006.09국제임상신경생리학회 Fellowship Grant
2006.05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우수포스터상

논문

  • ANN LAB MED 2024 10.3343/alm.2024.44.1.56Clinical Usefulness of a Cell-based Assay for Detecting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Antibodies in Central Nervous System Inflammatory DisordersSeok, JM; Waters, P; Jeon, MY; Lee, HL; Baek, SH; Park, JS; Kang, SY; Kwon, O; Oh, J; Kim, BJ; Park, KA; Oh, SY; Kim, BJ; Min, JHView PubMed
  • FRONT AGING NEUROSCI 2023 10.3389/fnagi.2023.1223310Changes in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Parkinson’s diseaseJung, SY; Chun, S; Cho, EB; Han, KYD; Yoo, J; Yeo, YH; Yoo, JE; Jeong, SM; Min, JH; Shin, DWView PubMed
  • SCI REP-UK 2023 10.1038/s41598-023-38271-xDifferentiation between multiple sclerosis and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using a deep learning modelSeok, JM; Cho, W; Chung, YH; Ju, H; Kim, ST; Seong, JK; Min, JHView PubMed
  • FRONT NEUROSCI-SWITZ 2023 10.3389/fnins.2023.1214652The risk of dementia in multiple sclerosis and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Cho, EB; Jung, SY; Jung, JH; Yeo, Y; Kim, HJ; Han, K; Shin, DW; Min, JHView PubMed
  • FRONT NEUROL 2023 10.3389/fneur.2023.1200961Clinical characteristics of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antibody-associated disease according to their epitopesSeok, JM; Jeon, MY; Chung, YH; Ju, H; Lee, HL; Kwon, S; Min, JH; Kang, ES; Kim, BJView PubMed
  • MULT SCLER RELAT DIS 2023 10.1016/j.msard.2023.104796Novel index, neutrophil percentage (%) is a useful marker for disease activity in MOG antibody-associated diseaseBaek, SI; Ro, S; Chung, YH; Ju, H; Kwon, S; Park, KA; Min, JHView PubMed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1. 영상 – [질환포커스] 낯선 병명이지만 젊은 여성을 위협하는 자가면역질환 다발성 경화증 파헤치기 1편
  2. [언론기사]’재발=장애’ 시신경 척수염…고가 허가약, 한 눈 잃은 환자라도 급여를
  3. [언론기사]’다발경화증’ 급여 완화‥’오바지오’ 가치 또 다시 보여줄 때
  4. [언론기사]다발성경화증 치료의 최신 지견
  5. [언론기사]피로·어지럼증·감각이상 … 가벼운 증상 방치하다 영구장애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