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담췌 질환 명의 노명환 교수 (동아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오늘 여러분에게 간담췌 질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노명환 교수님 (동아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을 소개하게 되어 기쁩니다. 노명환 교수님의 이름을 들어본 적이 있거나, 아니면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부터 교수님의 업적과 전문성, 그리고 환자들을 위해 헌신하는 노력에 대해 알게 되시면, 분명히 교수님의 전문가로서의 가치를 인정하게 될 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 노명환 교수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명환 교수 프로필
이름노명환
소속동아대학교병원
진료과소화기내과
진료분야담석, 담도암, 췌장암, 췌장염
학력부산대학교 의학박사
대표경력동아대학교병원 진료부원장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노명환 교수는 현재 동아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명의 노명환

 

동아대병원 소화기내과에서 활동 중인 노명환 교수님은 복잡하고 위험성이 높은 췌장 담도 내시경 시술에 탁월한 전문성을 가지고 계십니다. 노명환 교수님의 뛰어난 기술력과 경험으로 인해 시술 합병증은 현저히 낮아지고, 안전한 시술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부산과 경남 지역에서는 특히 어려운 케이스나 불완전하게 시술을 마친 환자의 자문 의사로서 자주 참여하시는데요.

또한, 췌장암과 담도암 환자에게 시술과 함께 항암치료를 제공하여, 통합적인 치료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노명환 교수님의 항암 약물치료에 대한 풍부한 경험은 환자들에게 더 큰 희망을 제공합니다. 노명환 교수님은 이처럼 담도 결석치료와 담도암, 췌장암 관련 시술을 15,000례 이상 진행한 바 있습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부산경남지역 췌장담도학회 회장으로서 후진 양성에 기여하고 지역 의료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앞장섰습니다.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부산울산경남 이사장을 역임한 것 또한 노명환 교수님의 성취 중 하나입니다. 더불어, 2011년에는 미국소화기병학회 정회원으로 활동하며, 국내에서 손꼽히는 미국소화기병학회 우수전문의(AGAF)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겼습니다.

진료시간

 

오전진료진료
오후진료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소속소화기내과
진료분야담석, 담도암, 췌장암, 췌장염
학력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박사
내과 전문의
대한소화기내과 분과 전문의
대한소화기내시경 전문의
경력동아대학교병원 진료부원장
동아대학교병원 내과 주임교수, 과장, 진료부장
동아대학교병원 내시경실장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 UCSD Basic Cancer Research Center 연수
AGAF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Fellowship)
학회활동 및
사회활동
대한 내시경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 이사장
대한 췌담도학회 부산울산경남지회 회장
대한 췌담도학회 감사
대한 소화기암학회 감사
대한 내과학회 평의원, 대한 소화기학회 평의원, 대한 소화기암학회 평의원
대한 소화기내시경학회 평의원, 대한 췌담도학회 평의원
미국 소화기병학회(AGA) 정회원 및 Fellow(AGAF)
유럽 소화기암학회(ESDO) 정회원
세계 췌장학회 (IAP) 정회원
Journal of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Research 편집위원
기타주요시술 – 췌장담도 내시경 처치술(결석 제거술 포함), 10,000예 이상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1. 언론 – [의사가 추천하는 부산 명의] 3. 간암(간이식)·담도암·췌장암
  2. 언론 – 마르퀴즈 후즈후·ABI·IBC 삼관왕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