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합니다! 이번에는 강북삼성병원의 김흥동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교수님의 전문 분야, 학력 및 주요 업적을 통해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드리고자 합니다.
김흥동 교수 프로필 | |
이름 | 김흥동 |
소속 | 강북삼성병원 |
진료과 | 소아청소년과 |
진료분야 | 뇌전증 |
학력 |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
대표경력 | 대한 뇌전증학회 회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흥동 교수는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김흥동 교수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의학석사와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신경학 연구강사로 경력을 시작한 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에서 소아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과장 및 책임교수로 재직하며 소아신경학 분야에서 깊이 있는 임상 경험과 연구 역량을 쌓았다. 이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부교수와 교수로 재직하며 신촌세브란스병원과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에서 많은 환자들에게 진료를 제공했다.
김 교수는 미국 펜실바니아대학 부속 필라델피아 소아병원에서 소아신경학 및 소아뇌전증 연구원으로 활동하였고, 미국 뇌전증재단 선정 William G. Lennox 국제 뇌전증 연구원으로 두 차례 선정되었다. 또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장애아동연구소 소장과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신경과 과장 등을 역임하며 소아신경학과 뇌전증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학회활동에서도 두드러진 활동을 보였다. 대한 뇌전증학회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미국 뇌전증학회 정회원, 대한 뇌전증학회 정회원, 대한 소아신경학회 정회원, 대한 소아과학회 정회원으로서 학문적 기여를 지속하고 있다.
김흥동 교수는 소아청소년과 진료과에서 뇌전증을 전문으로 하며, 풍부한 임상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많은 환자들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학술 활동을 통해 소아 뇌전증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프로필
학력
- 1994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 1986연세대학교 대학원 의학석사
- 1983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학사
경력
- 1990-1991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신경학 연구강사
- 1991-1993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과 전임강사
- 1993-1999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과 조교수
- 1999-2003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과 부교수
- 2001-2003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소아과 과장 및 책임교수
- 2003-2006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부교수(신촌세브란스병원)
- 2006-2023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교수(세브란스 어린이병원)
- 1994-1996미국 펜실바니아대학 부속 필라델피아 소아병원 소아신경학 및 소아뇌전증 연구원
- 1995-1996미국 뇌전증재단 선정 William G. Lennox 국제 뇌전증 연구원
- 2003미국 뇌전증재단 선정 William G. Lennox 국제 뇌전증 연구원
- 2006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장애아동연구소 소장
- 2009.2-2009.7University of Pennsylvania, Children”s Hospital of Philadelphia
- 2011.3-2017.2.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신경과 과장
학회활동
- 2001-2013대한 뇌전증학회 회장
- 1998-현재미국 뇌전증학회 정회원
- 1997-현재대한 뇌전증학회 정회원
- 1993-현재대한 소아신경학회 정회원
- 1987-현재대한 소아과학회 정회원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 영상 – 6회차 부모교육_양성뇌전증과 일상생활관리 1부
- 📺 영상 – [자막뉴스] ‘효과 있지만 엄두 못 내요’… 희망 잃은 뇌전증 환자 / YTN
- 📺 영상 – 14회차 부모교육 _ 질의응답
- 📺 영상 – 11회차 부모교육_질의응답 (김흥동교수님)
- 📰 언론 – 소아 뇌전증 권위자 김흥동 교수, 강북삼성병원에 둥지
- 📰 언론 – [신간] 뇌전증 이야기
- 📰 언론 – 스포츠월드“질환 편견‧차별 사라지도록 앞장”… 한국뇌전증협회, 인식개선 서포터즈 18기 출범
- 📰 언론 – 의학신문뇌전증협회, 뇌전증 인식개선 서포터즈 “We are Epilizer” 17기 출범
- 📰 언론 – 의협신문뇌전증 인식 개선…”더 이상 숨지 않아요”
- 📰 언론 – 의학신문뇌전증협회, 중증소아청소년뇌전증 가정위한 ‘컴포트 파티’ 개최
- 📰 언론 – 스포츠조선남산서울타워 보라빛으로 바뀐 이유 아시나요?
- 📰 언론 – 문화일보“1년에 20분 발작 증상… 평생을 편견에 시달려”
- 📰 언론 – 헤럴드경제한국뇌전증협회, 뇌전증 인식개선 캠페인 “퍼플데이”‘진행
- 📰 언론 – 이투데이김흥동 한국뇌전증협회장, “지원법 없는 뇌전증, 환자들 숨기 바쁘다”
- 📰 언론 – 메디칼업저버2024년 세계 뇌전증의 날 기념식 및 토론회 개최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시작한 작업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을 통해 연락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이 글이 여러분의 건강 정보를 이해하는 데 유익한 자료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