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의 김태효 교수님은 비뇨기계 질환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교수님입니다. 김 교수님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연구와 임상 경험을 쌓아왔으며, 비뇨기계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노력하고 계십니다. 이 글을 통해 김태효 교수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태효 교수 프로필 | |
이름 | 김태효 |
소속 | 동아대학교병원 |
진료과 | 비뇨의학과 |
진료분야 | 전립선, 비뇨기종양, 로봇수술, 복강경, 남성의학 |
학력 |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
대표경력 |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비뇨의학과 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태효 교수는 현재 동아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김태효 교수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비뇨의학과의 김태효 교수는 전립선, 비뇨기종양, 로봇수술, 복강경, 남성의학 등의 분야에서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김태효 교수는 1987년부터 1990년까지 사직 고등학교를 졸업하였고, 그 후 1992년부터 2001년까지 동아대학교 의과대학을 수료하였다. 2002년에는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석사과정을 수료하며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김태효 교수의 의료 경력은 2001년 동아대학교병원에서 인턴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동아대학교병원 비뇨기과에서 전공의로 활동하며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였다. 그 이후로는 동아대학교 의료원 비뇨기과에서 임상강사, 임상특임전임강사로 활동하였고, 2010년부터는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2016년부터 2022년까지는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비뇨의학과에서 부교수로 활동하였고, 2022년 9월부터는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비뇨의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태효 교수는 대한비뇨기과학회, 대한 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 대한 Endourology & ESWL 학회, 대한 비뇨기종양학회 등에서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미국 비뇨기과학회에서는 International faculty로 활동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프로필
소속 | 비뇨의학과 | ||
---|---|---|---|
진료분야 | 전립선, 비뇨기종양, 로봇수술, 복강경, 남성의학 | ||
학력 | 1987. 3 ~ 1990. 2 사직 고등학교 졸업 1992. 3 ~ 2001. 2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수료 2002. 3 ~ 2004. 2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및 석사학위 취득 2007. 3 ~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박사과정 | ||
경력 | 2001. 3 ~ 2002. 2 동아대학교병원 인턴 수료 2002. 3 ~ 2006. 2 동아대학교병원 비뇨기과 전공의 수료 및 전문의 취득 2006. 3 ~ 2009. 2 동아대학교 의료원 비뇨기과 임상강사 2009. 3 ~ 2010. 2 동아대학교 의료원 비뇨기과 임상특임전임강사 2010. 3 ~ 2016. 2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조교수 2016. 3 ~ 2022. 8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비뇨의학과 부교수 2022. 9 ~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비뇨의학과 교수 대한비뇨기과학회 정회원 대한 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 정회원 대한 Endourology & ESWL 학회 정회원 대한 비뇨기종양학회 정회원 미국 비뇨기과학회 International faculty | ||
학회활동 및 사회활동 | ◆ 국내학회발표 2002. 11. 15 – 제 54차 대한비뇨기과 추계 학술대회 <복강경 및 관혈적 정계정맥류수술 방법에 의한 6년간 수술성적분석>, <소아요석의 원인분석 및 치료경험>, <실험토끼에서 선택적 신동맥 카테터를 통한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의 새로 개발된 효율적인 주입법> 2003. 11. 13 – 제 55차 대한비뇨기과 추계학술대회 <양측 신종양 모델에서 고주파열치료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RFA) 법의 평가: 실험 토끼의 양측 VX2 신종양 모델의 연구>, <상부요관결석의 요관경하배석술에서 결석의 근위부 이동방지를 위한 Stone Basket의 이용>, <복압성요실금에서 질전벽 슬링수술과 TVT 술식의 3년 이상 추적결과 비교>, <복강경하 근치적 신적출술: 경복막적 접근법> 2004. 11. 10 – 제 56차 대한비뇨기과 추계학술대회 <비뇨기과 영역에서 소형동물을 이용한 복강경 술기 습득을 위한 지침>, <항콜린제의 단기사용으로 술 후 복압성 요실금과 동반된 과민성 방광 증상의 호전유무를 알 수 있는가?>, <하대정맥 후 요관의 복강경하 단단문합술 – 초기경험> 2005. 11. 16 – 제 57차 대한비뇨기과 추계학술대회 <비뇨기과 전공의를 위한 복강경 술기 훈련 지침서>, <과민성 방광을 동반한 뇌질환 환자에서 Tolterodine 사용 후 인지기능의 변화>, <외음부동맥에 기저를 둔 하복부 지방피판을 이용한 음경확대술> 2006. 11. 22 – 제 58차 대한비뇨기과 추계학술대회 <신종양에서 복강경하 및 경피적 고주파파괴술의 단기 추적관찰>, <복강경하 근치적 전립선적출술과 로봇을 이용한 복강경하근치적 전립선적출술의 비교>, <복강경을 이용한 근치적 방광적출술: 임상경험 16례> ◆ 국외학회발표 2004. 10월 – Laparoscopic radical cystectomy with extracorporeal ileal conduit. The Asian Congress of Urology, Hong Kong 2005. 2월 – Laparoscopic Training Protocol Using Small Animal Model in Urology. The 1st Ease Asia Society of Endourology, Okayama, Japan 2006. 8월 – Early experience of radiofrequency ablation of RCC. 24th World Congress of Endourology with SWL, Clevel and clinic, USA 2007. 10월 – Short term outcomes of laparoscopic radical cystectomy with extacorporeal ileal conduit. 25th World Congress of Endourology with SWL, Cancun, Mexico 2008. 5월 – Oncolytic virotherapy using Vaccinia virus AUA,orlando, USA 2008. 12월 – Initial Experiences of Robot Assisted Radical Prostatectomy using a daVinci system. The Safety and Efficacy of Radiofrequency Ablation of Renal Tumor : 6 months follow up biopsy 25th World Congress of Endourology with SWL, Shanghai, China |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사람을 치료하는 로봇수술!!
- 언론 – [4세대 다빈치 로봇 수술] 작은 구멍으로 ‘흉터 더 작게’ 3D영상 보며 ‘더 정밀하게’…진화하는 ‘수술 로봇’
- 언론 – <인터뷰> 김태효 동아대의대 교수 “부산의료원에 ‘노인 배뇨감염 안전센터’ 두자”
- 언론 – 고령자 배뇨장애, 언제까지 방치할 것인가
- 언론 – 아랫배 힘주며 소변보는 습관, 방광 노화·배뇨질환 부추긴다
- 언론 – 남성의 고민 ‘전립선 비대증’… 소변 약해지면 병원 찾아라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