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김태민 교수

김태민 교수 프로필
이름김태민
소속서울대학교병원
진료과혈액종양내과
진료분야뇌종양, 임상시험, 정밀의료, 폐암, 림프종
학력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대표경력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임상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김태민 교수는 현재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의 김태민 교수는 뇌종양, 폐암, 림프종 등 다양한 암 분야에서 깊이 있는 전문 지식과 풍부한 임상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의료 전문가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같은 대학원에서 의학석사와 의학박사 학위를 마쳤다. 이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내과 레지던트, 전임의를 거쳐 현재는 내과 임상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 교수는 임상시험과 정밀의료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특히 폐암과 림프종 치료에 있어서 혁신적인 접근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다수의 국제 학회에서 인정받아,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 등 여러 국제 학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대한폐암학회,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한국임상암학회, 대한암학회, 대한내과학회, 대한항암요법연구회 등 다양한 학회에서 활동하며, 암 연구 및 치료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김 교수의 연구와 임상 경험은 암 환자들에게 더 나은 치료 방법을 제공하고, 장기 생존율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의 김태민 교수의 꾸준한 연구와 환자 치료에 대한 헌신은 암 치료 분야에서 더 나은 미래를 향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

진료시간

 

오전암병원암병원
오후암병원암병원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정보

기간학력
2008 ~ 2012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박사
2003 ~ 2005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1996 ~ 2000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경력 및 연수

기간경력 및 연수
2018 ~ 현재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임상교수
2013 ~ 2018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임상부교수
2009 ~ 2013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임상조교수
2008 ~ 2009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임의
2005 ~ 2008공중보건의
2001 ~ 2005서울대학교병원 내과 레지던트

학회활동

기간학회활동
2017 ~ 현재대한폐암학회
2016 ~ 현재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2011 ~ 현재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2011 ~ 현재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
2007 ~ 현재한국임상암학회
2006 ~ 현재대한암학회
2005 ~ 현재대한내과학회
2003 ~ 현재대한항암요법연구회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1. 언론 – [874회] 생로병사의 비밀 – 벼랑 끝 폐암 4기, 싸워볼 만하다
  2. 언론 – 희귀 폐암환자, 표적치료제 있어도 비급여에 ‘한숨’
  3. 언론 – 명의가 뽑은 新명의 열전/① ‘폐암’
  4. 언론 – “폐암 악화시키는 유전자 새로 발견”
  5. 언론 – 암, 유전자 검사로 어디까지 알수 있나요?
  6. 언론 – 우리 몸이 스스로 암을 치료하기 시작했다

본 글은 함께 근무하는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한 작업입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이나 메일로 연락 주시면, 빠른 시일 내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검증 후에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들의 건강 정보에 대한 이해를 돕는 유익한 자료가 되길 바랍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