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힘들게 겪고 계신 질병과의 싸움, 그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의료의 세계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소개를 통해 삼성서울병원 김지연 교수님의 전문성이 여러분들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김지연 교수 프로필 | |
![]() | |
이름 | 김지연 |
소속 | 삼성서울병원 |
진료과 | 혈액종양내과 |
진료분야 | 유방암, 원발부위불명암 |
학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박사 졸업 |
대표경력 |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조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지연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혈액종양내과 김지연 교수
김지연 교수는 삼성서울병원의 혈액종양내과 교수이자 성균관대학교의 교수이다.
2004년 KAIST(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를 졸업하고 2008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를 졸업했다. 이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경력으로는 2021년 3월부터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조교수로 근무중이며 이전에는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진료조교수,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상조교수,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상강사 등을 역임했다. 유방암, 원발부위불명암 등의 분야에서 전문적인 진료를 제공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프로필
학력
2020.0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박사 졸업 |
---|---|
2008.0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 졸업 |
2004.02 | KAIST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학사 졸업 |
경력
2021.03 ~현재 |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조교수 |
---|---|
2020.03 ~ 2021.02 |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진료조교수 |
2015.03 ~ 2020.02 |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상조교수 |
2013.03 ~ 2015.02 |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임상강사 |
2009.03 ~ 2013.02 |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과정 수료 |
2008.03 ~ 2009.02 |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과정 수료 |
논문
- THER ADV MED ONCOL 2023 10.1177/17588359231189421Pretreatment endocrine symptoms and recurrence-free survival among young premenopausal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 prospective cohort studyKang, DB; Cho, JH; Park, S; Kim, HJ; Kim, SW; Lee, JE; Yu, JH; Lee, SK; Kim, JY; Nam, SJ; Park, YHView PubMed
- CANCERS 2023 10.3390/cancers15133431Real World Experience of Second-Line Treatment Strategies after Palbociclib and Letrozole: Overall Survival in Metastatic Hormone Receptor-Positive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Negative Breast CancerKim, JY; Shin, J; Ahn, JS; Park, YH; Im, YHView PubMed
- EXP MOL MED 2023 10.1038/s12276-023-01030-zGenomic characteristics of triple negative apocrine carcinoma: a comparison to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Kim, JY; Park, S; Cho, EY; Lee, JE; Jung, HH; Chae, BJ; Kim, SW; Nam, SJ; Cho, SY; Park, YH; Ahn, JS; Lee, S; Im, YHView PubMed
- GENOME MED 2023 10.1186/s13073-023-01201-7Longitudinal multi-omics study of palbociclib resistance in HR-positive/HER2-negative metastatic breast cancerPark, YH; Im, SA; Park, K; Wen, J; Lee, KH; Choi, YL; Lee, WC; Min, A; Bonato, V; Park, S; Ram, S; Lee, DW; Kim, JY; Lee, SK; Lee, WW; Lee, J; Kim, M; Kim, HS; Weinrich, SL; Ryu, HS; Kim, TY; Dann, S; Kim, YJ; Fernandez, DR; Koh, J; Wang, SG; Park, SY; Deng, SB; Powell, E; Ravi, RK; Bienkowska, J; Rejto, PA; Park, WY; Kan, ZYView PubMed
- CANCERS 2023 10.3390/cancers15133435Progesterone Receptor Expression Level Predicts Prognosis of Estrogen Receptor-Positive/HER2-Negative Young Breast Cancer: A Single-Center Prospective Cohort StudyKwak, Y; Jang, SY; Choi, JY; Lee, H; Shin, DS; Park, YH; Kim, JY; Ahn, JS; Chae, BJ; Yu, J; Lee, JE; Kim, SW; Nam, SJ; Ryu, JMView PubMed
- J BREAST CANCER 2023 10.4048/jbc.2023.26.e17Prognostic Impact of Elevation of Cancer Antigen 15-3 (CA15-3) in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With Normal Serum CA15-3 LevelRyu, JM; Kang, DB; Cho, JH; Lee, JE; Kim, SW; Nam, SJ; Lee, SK; Kim, YJ; Im, YH; Ahn, JS; Park, YH; Kim, JY; Lee, HYJ; Kang, MR; Yu, JHView PubMed
- CANCER MED-US 2023 10.1002/cam4.5953TP53 mutations predict poor response to immun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solid tumorsKim, JY; Jung, J; Kim, KM; Lee, J; Im, YHView PubMed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