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은 우울한 기분,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체력 감소 등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는 정신과적 질환입니다. 이는 일상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아무런 조치 없이는 사람의 생활 질을 저하시키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심각한 경우 자해나 자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이는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서울대학교병원의 김재원 교수님을 소개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습니다. 교수님은 우울증의 진단과 치료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을 가지고 계시며, 많은 환자들에게 그들이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게 도와주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우울증 명의 서울대병원 김재원 교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재원 교수 프로필 | |
이름 | 김재원 |
소속 | 서울대학교병원 |
진료과 | 소아청소년 정신과 |
진료분야 | 우울증, 불안증, 자해/자살 위험, 기분조절문제, 조울병, 우울증 클리닉 |
학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정신과학 박사 |
대표경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우울증 명의 김재원 교수는 현재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소아청소년 정신과 김재원 교수
서울대학교병원의 김재원 교수는 우울증과 청소년 정신건강 분야의 전문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전문 분야는 소아청소년 정신과로, 이 분야에서 깊은 학문적 배경과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최상의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김재원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과 학사, 정신과학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97년 서울대학교 병원 인턴으로 의료 경력을 시작하였고, 이후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신경정신과 전공의, 소아정신과 전임의, 임상교수로 활동하였다.
그의 경력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에서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현재는 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2014년부터는 서울해바라기센터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재원 교수의 노력은 2022년 국무총리 표창으로도 인정받았다.
김재원 교수는 대한청소년정신의학회 총무,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위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총무간사 등 다양한 학회에서 활동하였다. 또한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에서 Visiting Scholar로 연수 경험도 가지고 있다.
김재원 교수는 우울증, 청소년 정신건강에 관한 다양한 저서를 통해 전문 지식을 널리 전파하고 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우울과 자살 위기의 청소년 치료’, ‘아이를 외국 학교에 보내기로 했다면’, ‘소아정신의학’, ‘청소년정신의학’ 등이 있다.
이처럼 김재원 교수는 우울증과 청소년 정신건강 분야에서 뛰어난 전문성과 헌신을 통해 많은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
오후 | 진료 |
프로필
학력정보
기간 | 학력 |
---|---|
2005 ~ 2007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정신과학 박사 |
2000 ~ 200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정신과학 석사 |
1991 ~ 1997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학사 |
경력 및 연수
기간 | 경력 및 연수 |
---|---|
2022 | 국무총리 표창 (여성 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헌신 공로) |
2018 ~ 현재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 |
2014 ~ 현재 | 서울해바라기센터 소장 |
2012 ~ 2018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부교수 |
2012 ~ 2014 |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 (UPMC) Visiting Scholar |
2008 ~ 201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조교수 |
2007 ~ 2008 |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임상교수 |
2006 ~ 2012 | 서울 중구 정신보건센터장 |
2005 ~ 2007 |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 전임의 |
1998 ~ 2002 |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전공의 |
1997 ~ 1998 |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
학회활동
기간 | 학회활동 |
---|---|
2015 ~ 2020 | AACAP Program Committee Member |
2013 ~ 현재 |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AACAP) Member |
2010 ~ 2012 | 대한청소년정신의학회 총무 |
2009 ~ 2012 |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학술위원 |
2007 ~ 2009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총무간사 |
2005 ~ 2007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학술위원 |
주요저서
- 우울과 자살 위기의 청소년 치료
학지사
2016 - 아이를 외국 학교에 보내기로 했다면
웅진서가
2015 - 소아정신의학
학지사
2014 - 생물소아정신의학
시그마프레스
2014 - 청소년정신의학
시그마프레스
2012 - 학교 위기개입
학지사
2010 - 아동청소년 임상면담
학지사
2010 - 두근두근 불안불안
학지사
2019 - 팩트체크, 아이 정신건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출판부
2019 - 밥보다 진심
책밥상
2021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심야식당] 아이를 키울 때 이것만은 피해라! | 소아청소년정신과 김재원 교수!
- 영상 – 밖에 나가기 싫어하는 아이, 신묘한 해결법은? | 정상회담 EP.3
- 언론 – “공부 잘하는 약 구해요”…수능 앞두고 약물 오남용 주의보
- 언론 – 아이가 갑자기 짜증 늘었다? 2주 넘으면 의심해야 할 병
- 언론 – 세대 불문 ‘우울증’ 주의보…증상은 달라요
- 언론 – “사춘기인 줄 알았는데 ‘우울증’, 다른 특징은…” [헬스조선 명의]
- 언론 – “우울증 치료제 효과 본 청소년, 뇌 속 ‘이것’ 부피 증가”
- 언론 – 항우울제 치료에 반응하는 우울증 청소년, 신경 세포 회복 가능성 ↑
- 언론 – 아이들 극단선택 갈수록 느는데… 상담교사 있는 초교 26%뿐
- 언론 – “공부 잘하게 해준대서”…마약음료 낳은 ‘ADHD의 유혹’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