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힘들게 겪고 계신 질병과의 싸움, 그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의료의 세계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소개를 통해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원구 교수님의 전문성이 여러분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김원구 교수 프로필 | |
이름 | 김원구 |
소속 | 서울아산병원 |
진료과 | 내분비내과 |
진료분야 | 갑상선질환,갑상선암,내분비암 |
학력 | 울산대학교 (의학 박사) |
대표경력 |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부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원구 교수는 현재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내분비내과 김원구 교수
김원구 교수는 경북대학교 의학 학사를 졸업한 후, 울산대학교에서 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서울아산병원에서 수련의, 전공의, 수석 전공의, 촉탁임상교수 등 다양한 직위를 역임하며 그의 전문성을 더욱 키워왔다.
또한 김원구 교수는 미국 National Cancer Institut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서 박사 후 연구원과 방문 학자로 활동하며 국제적인 경험을 쌓았다. 이러한 국내외 경험을 바탕으로 2018년부터는 울산대학교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부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김원구 교수의 전문분야는 내분비학으로, 특히 내분비계의 이상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에 대한 깊은 이해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들의 건강을 지키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김원구 교수는 그의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최적의 치료 방법을 제공하여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프로필
학력
- 2008 .03 ~ 2010 .02울산대학교 의학 박사
- 2006 .03 ~ 2008 .02울산대학교 의학 석사
- 1995 .03 ~ 2001 .02경북대학교 의학 학사
경력
- 2019 .03 ~ 2020 .02National Cancer Institut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Visiting Scholar
- 2018 .04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부교수
- 2013 ~ 2018 .03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조교수
- 2010 .08 ~ 2013 .01National Cancer Institut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박사 후 연구원
- 2010 .03 ~ 2010 .07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촉탁임상교수
- 2008 .03 ~ 2010 .02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임상강사 (Fellow)
- 2007 .03 ~ 2007 .08서울아산병원 내과 수석 전공의 (Chief Resident)
- 2004 .03 ~ 2008 .02서울아산병원 내과 전공의 (Resident)
- 2001 .03 ~ 2002 .02서울아산병원 수련의 (Intern)
논문
- Clinical implications of age and excellent response to therapy in patients with high-risk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 Death-Associated Protein Kinase 1 Inhibits Progression of Thyroid Cancer by Regulating Stem Cell Markers
- Genetic Profiles of Aggressive Variants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 Immune Profiling of Advanced Thyroid Cancers Using Fluorescent Multiplex Immunohistochemistry
- Mutation Profile of Aggressive Pheochromocytoma and Paraganglioma with Comparison of TCGA Data
- Mutation in Genes Encoding Key Functional Groups Additively Increase Mortality in Patients with BRAF V600E-Mutant Advanc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Real-world experience of lenvatinib in patients with advanced anaplastic thyroid cancer
- Estimating the Growth Rate of Lung Metastases in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or Doubling Time?
- Genetic profile of advanced thyroid cancers in relation to distant metastasis
- High Phosphoglycerate Dehydrogenase Expression Induces Stemness and Aggressiveness in Thyroid Cancer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갑상선암의 치료(김원구 교수)
- 언론 – [건강 팁]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증상과 치료
- 언론 – [건강 팁] 갑상선 결절 어떻게 해야할까
- 언론 – [알립니다]3대 여성암 진단과 치료법
- 언론 – 유독 추위 심하게 타는 당신…혹시 갑상선 이상?
- 언론 – 눈썹 없는 모나리자 ‘이 병’ 때문?…유독 추위 잘 타면 의심해봐야
- 언론 – 목·눈 돌출, 더위 못 참으면 갑상선 질환 의심… 임신부도 약물 치료
- 언론 – 요오드치료 안듣는 갑상선암 환자 ‘유전자 검사’ 해야하는 이유 [Weekend 헬스]
- 언론 – “렌바티닙vs소라페닙 직접 비교…전략 세분화 의미”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