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우리 몸의 가장 중요한 기관 중 하나는 우리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심장은 심혈관 질환에 의해 위협받을 때, 그 결과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심혈관 질환에 대한 깊은 이해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들의 건강을 지키는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바로 이때 동아대학교병원의 김영대 교수가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김영대 교수 프로필 | |
이름 | 김영대 |
소속 | 동아대학교병원 |
진료과 | 순환기내과 (심혈관센터) |
진료분야 | 심부전, 심근경색, 심근질환, 관상동맥질환 |
학력 | 서울대학교 의학박사 |
대표경력 | 동아대학교병원 부산·울산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영대 교수는 현재 동아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김영대 교수
김영대 교수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순환기 전임의로 재직한 후 서울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심부전, 심근경색, 심근질환, 관상동맥질환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는 김영대 교수는 학문적 업적뿐만 아니라 임상 경험도 풍부하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미국 하버드 의대 Brigham and Women`s Hospital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미국에서의 연구 경험을 쌓았고, 이후 2003년부터 2006년까지 부산경남 심장학회 이사장,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동아대학교 병원 내과부 진료부장, 그리고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동아대학교병원 부산·울산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장을 역임하며 많은 심혈관 질환 환자들의 치료에 이바지하였다.
또한, 김영대 교수는 대한 내과 학회, 대한 순환기 학회, 한국 지질 동맥경화 학회, 중재 시술 연구회 정회원, 미국 심장 학회 (AHA) 정회원, 미국 심부전 학회 (HFSA) 정회원 등 다양한 학회에서 활동하며 학문적 업적을 쌓아왔다. 현재는 대한 고혈압 학회 회장으로서 회원들의 학문적 성장을 이끌고 있다.
이처럼 김영대 교수는 순환기내과의 전문가로서 환자들의 건강 회복에 기여하고, 연구와 교육을 통해 의학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프로필
소속 | 순환기내과 (심혈관센터) | ||
---|---|---|---|
진료분야 | 심부전, 심근경색, 심근질환, 관상동맥질환 | ||
학력 | 1976 ~ 198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1989 ~ 1990 서울대학교 순환기 전임의 1990 ~ 1995 서울대학교 의학박사 | ||
경력 | 1996 ~ 1998 미국 하버드 의대 Brigham and Women`s Hospital 연구교수 2003 ~ 2006 부산경남 심장학회 이사장 2007 ~ 2009 동아대학교 병원 내과부 진료부장 2012 ~ 2016 동아대학교병원 부산·울산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장 | ||
학회활동 및 사회활동 | 대한 내과 학회 대한 순환기 학회 한국 지질 동맥경화 학회 중재 시술 연구회 정회원 미국 심장 학회 (AHA) 정회원 미국 심부전 학회 (HFSA) 정회원 대한 고혈압 학회 회장 | ||
연구 | 1996 The Change of expression of troponin T and I isoform in the faililng myocardium of rat after myocardial infarction. Korean Circulation J 26:872 1999 Toll4 (TLR4) expression in cardiac myocytes in normal and failing myocardium. J Clin Invest 104:271 2002 Comparison of tissue perfusion measured by ST-segment resolution between thrombolysis and primary stenting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Korean Circulation J 31:581. 2011 The impact of dose of angiotensin-receptor blocker valsartan on the post-myocardial infarction ventricular remodeling :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rials 12:247. 2012 Factors related to prehospital time delay in acute ST-segment elevation infarction. Korean J Med Sci 27:864. | ||
저서 | 2000 Merk Manual, Centennial Edition, 한우리 (한국어판) 2007 심부전 매뉴얼, 엠엠케이커뮤니케이션즈 (대한심장학회 심부전연구회) 2010 순환기학, 일조각 (이영우 편저) |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언론 – 김영대 동아대병원 교수 보건복지부 표창 수상
- 언론 – 심근경색 이겨낸 이용식 씨 홍보대사 됐다
- 언론 – ‘관상동맥 중재술’ 발병 3시간 내 시술해야 효과
- 언론 – 심장·뇌혈관 예방·진료·관리 가능한 원스톱 체제 구축 앞장
- 언론 – 일교차 큰 늦가을, 혈관 건강 주의!
- 언론 – 돌연사를 막아라-2. 119구급차, 손이 모자란다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