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은 암 중에서도 치료가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은 암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췌장암의 초기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조기 발견이 어렵고, 또한 췌장이 몸속 깊숙이 위치해 있어 치료가 복잡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췌장암은 종종 “침묵의 암”으로 불리우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췌장암의 치료와 연구에 전념하는 의학자들 덕분에 매년 새로운 진단법과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서울아산병원의 김송철 교수는 췌장암 치료에 헌신하며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어지는 내용에서는 김송철 교수의 노력과 업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송철 교수 프로필 | |
이름 | 김송철 |
소속 | 서울아산병원 |
진료과 | 간담도췌외과 |
진료분야 | 췌장 및 담도질환 |
학력 | 서울대학교 (의학 박사) |
대표경력 | 서울아산병원 조교수, 부교수, 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송철 교수는 현재 서울아산병원 간담도췌외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췌장암 명의 김송철 교수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김송철 교수는 의학 학사, 의학 석사, 의학 박사의 학위를 모두 취득하였다. 김송철 교수는 원래 신장, 췌장 등 장기이식 전문가로 활동하였으나, 췌장암으로 인한 높은 사망률과 췌장암 환자 관리의 부족함을 직접 목격하였다. 이에 김송철 교수는 자신의 전문 분야를 췌장암으로 전환하였다.
이후 김송철 교수는 복강경을 이용한 췌장암 수술을 개척하였고, 이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치료 가능성을 모두에게 보여주었다. 또한 로봇수술을 시작하여 새로운 치료 방법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이 모든 것보다 김송철 교수를 독특하게 만드는 것은 그의 환자에 대한 무한한 신뢰와 애정이다. 김송철 교수는 벼랑 끝에 내몰린 췌장암 환자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의사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김송철 교수는 환자들로부터 진정한 명의로 인정받고 있다.
김송철 교수의 노력과 전문성은 췌장암 치료에 있어 중요한 자원임을 입증하고 있다. 김송철 교수의 지식과 경험은 건강 문제에 대한 고민을 가진 환자나 보호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김송철 교수의 이러한 열정과 전문성은 김송철 교수의 환자들에게 좋은 영향을 미칠 것임을 확신한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
오후 | 진료 |
프로필
학력
- 1995 .03 ~ 1997 .02서울대학교 의학 박사
- 1993 .03 ~ 1995 .02서울대학교 의학 석사
- 1981 .03 ~ 1987 .02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경력
- 2008 .03 ~ 2009 .02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PI실 진료담당
- 2002 .02Training on 1st workshop for Human pancreas islet isolation and transplantation techniques , University of Miami, USA
- 2000 .07 ~ 2001 .06미국 미네소타 의과대학 연구 교수
- 1999 .03 ~서울아산병원 조교수, 부교수, 교수
- 1995 .03 ~ 1997 .02서울아산병원 전임의
- 1991 .03 ~ 1995 .02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 1990 .05 ~ 1991 .02서울대학교병원 인턴
논문
- Analysis of Plasma Circulating Tumor DNA in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Treated with Neoadjuvant Modified FOLFIRINOX: Clinical Relevance of DNA Damage Repair Gene Alteration Detection
- Evaluation of postoperative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distal pancreatectomy for left-sided pancreatic tumors based on the modified frailty index: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Extranodal extension influences prognosis in pancreatic head cancer: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Laparoscopic versus open pancreaticoduodenectomy with major vein resection for pancreatic head cancer
- Mixed adeno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ampulla of Vater: Three case reports and a literature review
- Outcomes of Distal Pancreatectomy With Celiac Axis Resection for Pancreatic Cancer
- Survival Benefit of Adjuvan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Who Underwent Surgery Following Neoadjuvant FOLFIRINOX
- Comparing survival rate and appropriate surgery methods according to tumor location in T2 gallbladder cancer
- Comparison of endoscopic ultrasound-guided drainage and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of postoperative fluid collection after pancreaticoduodenectomy
- Effect of resection margin status on recurrence pattern and survival in distal pancreatectomy for left-sided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명의가 뽑은 명의 김송철 교수의 췌장암2탄]췌장암 이제야 희망을 말할 수 있다.
- 영상 – 췌장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끝 없는 연구 – (2018.4.4_642회 방송) 취장암, 희망은 있다
- 영상 – [명의가 뽑은 명의 김송철 교수의 췌장암1편]췌장암 초기 증상은 없다. 하지만 이것 두가지 생기면 의심하라
- 항암치료로 암세포 크기-수 줄인뒤 수술… 생존율 높여
- 서울대병원 9명-서울아산병원 9명… 초대형 병원 명성 여전
- [헬스 파일] 서울아산병원, 로봇수술 1만례 돌파
- [And 건강] 위암 덕에 ‘조기발견’ 살아난 남자… 췌장암을 이긴 사람들
- “췌장암 수술 후 5년 생존율, 15년 새 2배↑”
- ‘복강경 췌담도암 수술 메카’… 세계 최다 수준 1000건 돌파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