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은 골절 위험을 높이는 질환으로, 특히 대퇴골 골절의 경우 1년 내 사망률이 약 30%에 달하는 심각한 질환입니다. 이런 심각한 질환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와 치료 방법을 가진 분이 바로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의 김범준 교수님입니다. 김범준 교수님은 골다공증이 가지는 위험성을 강조하며,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계십니다. 하지만 불행히도 현재 골다공증으로 진단 받은 사람들 중 대부분이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으며, 치료를 시작하더라도 이를 이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에 대한 우려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은 골다공증 치료제가 골절 위험을 최대 70%까지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김범준 교수님은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김범준 교수를 알아보고 골다공증을 이겨내는데 도움되시길 바래봅니다.
김범준 교수 프로필 | |
이름 | 김범준 |
소속 | 서울아산병원 |
진료과 | 내분비내과 |
진료분야 | 골다공증,부신질환,고칼슘혈증,기타 내분비질환(뇌하수체질환·갑상선암 제외) |
학력 | 울산대학교 (의학 박사) |
대표경력 |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부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범준 교수는 현재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내분비내과 김범준 교수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범준 교수가 골다공증 분야에서 세계적인 인정을 받으며 국내 의료계의 자부심으로 떠올랐다. 김범준 교수는 최근에 미국골대사학회(ASBMR)로부터 ‘2016년 올해의 젊은 최고 의학자상(The 2016 Felix Bronner Young Investigator Award)’을 수상하였다.
이 상은 매년 전 세계에서 발표된 2000여 편의 논문 중에서 단 한 편의 최우수 연제를 선정하여 수여하는 것으로, 김범준 교수의 세계적인 학문적 업적을 인정하는 것이다. 김범준 교수는 ‘골형성 촉진 및 골흡수 억제의 이중작용을 가진 새로운 골다공증 치료 표적인 파골세포 분비인자 Slit3의 역할’이라는 논문으로 이 매우 귀중한 상을 수상하였다.
이로써 김범준 교수는 아시아 의과학자로서는 최초로 이 상을 받게 되었으며, 이는 그의 탁월한 학문적 업적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김범준 교수는 골다공증의 위험성과 그에 대한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골다공증이 가지는 위험성을 강조하며,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김범준 교수는 그의 연구 노력을 통해 골다공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범준 교수의 이러한 노력과 업적은 골다공증 환자들에게 큰 희망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의 그의 연구 활동이 기대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진료 | 진료 |
◈ 예약 불가 : 갑상선암, 뇌하수체질환
프로필
학력
- 2009 .03 ~ 2012 .02울산대학교 의학 박사
- 2006 .03 ~ 2008 .02울산대학교 의학 석사
- 1996 .03 ~ 2003 .02울산대학교 의학 학사
경력
- 2018 .04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부교수
- 2017 .03 ~ 2019 .02Medical College of Georgia 방문교수
- 2013 .03 ~ 2018 .03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조교수
- 2011 ~ 2013서울아산병원 전임의
- 2004 ~ 2008서울아산병원 전공의(레지던트)
- 2003 ~ 2004서울아산병원 수련의(인턴)
논문
- Usefulness of 68Ga-DOTATOC PET/CT to localize the culprit tumor inducing osteomalacia
- Association of circulating levels of total and protein-bound sphingosine 1-phosphate with osteoporotic fracture
- Differential association of dietary fat intake with DXA-based estimates of bone strength according to sex in the KNHANES IV population
- Potential Biomarkers to Improve the Prediction of Osteoporotic Fractures
- Regulation of bone metabolism by megakaryocytes in a paracrine manner.
- Association of blood n-3 fatty acid with bone mass and bone marrow TRAP-5b in the elderly with and without hip fracture.
- Clinical insights into the kynurenine pathway in age-related diseases.
- Effects of Primary Aldosteronism and Different Therapeutic Modalities on Glucose Metabolism.
- Elevated ceramides 18:0 and 24:1 with aging are associated with hip fracture risk through increased bone resorption.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나도 모르게 찾아오는 골다공증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범준 교수)
- 영상 – 골다공증 환자의 인생을 바꾼 ‘이 운동’ 꼭 하세요!
- 언론 – 美학회 ‘젊은 최고의학자상’ 김범준 울산의대 교수 수상
- 언론 – 서울아산병원 김범준 교수, 美골대사학회 ‘젊은 최고 의학자상’ 수상
- 언론 – 술고래 이과장·살 빼는 김대리… 젊다고 방심하다간 뼈 우두둑
- 언론 – 서울아산병원, “과도한 철분, 골다공증ㆍ골절 위험 높여”
- 언론 – “4cm 이상 키 줄었다면 골다공증 의심…‘걷기 운동’으로 예방해야”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