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과도한 체지방이 축적되어 건강에 해를 끼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혈관 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비만은 단순히 외모의 문제가 아닌, 건강의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어야 합니다. 이런 비만의 복잡하고 중요한 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분이 바로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의 김민선 교수님입니다. 뿐만 아니라 당뇨병, 뇌화수체질환 분야에서도 다양한 연구를 하고 선도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김민선 교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김민선 교수 프로필 | |
![]() | |
이름 | 김민선 |
소속 | 서울아산병원 |
진료과 | 내분비내과 |
진료분야 | 당뇨병,뇌하수체질환클리닉,비만 |
학력 | 서울대학교 (의학 박사) |
대표경력 |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교수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민선 교수는 현재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내분비내과 김민선 교수
서울아산병원의 김민선 교수는 비만과 관련된 연구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1990년대 말부터 우리 사회가 아직 비만을 질병으로 인식하지 못했던 시기부터 비만 연구를 시작하였다.
1996년 영국으로 연수를 가면서 세계적인 권위자인 스티븐 블룸 교수의 연구실에서 비만과 당뇨 등 내분비 대사질환 관련 연구를 시작하였다. 3년간의 연수 기간 동안 김민선 교수는 11편 가량의 논문을 발표하며 연구의 즐거움과 도전의 동기를 얻었다.
2002년에는 서울아산병원 이기업 교수팀에 합류하여 더욱 활발한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 그는 진료실과 실험실을 수없이 오가며 새로운 연구 성과를 속속 발표하였다. 그의 업적은 2004년, 2006년, 그리고 2013년에도 이어졌으며, 그는 「네이처 메디신」,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등 주요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꾸준히 발표하며 비만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자로 자리매김하였다.
지난 4월에는 국내 비만 연구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용운의학대상을 수상하였다. 김민선 교수는 이 수상을 계기로 기초의학 연구자들에게 의욕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후배들이 더 좋은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토양을 만들어줘야겠다는 생각을 밝혔다.
최근에는 뇌, 특히 시상하부에 주목하며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비만과 노화가 시상하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염증으로 인한 시상하부 뉴런의 기능 장애가 비만과 노화를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김민선 교수는 어떤 뉴런과 물질이 비만에 관여하는지, 그리고 어떤 경로를 통해 일어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내분비내과 김민선 후기
전 0000년 부터 갑자기 무서울 정도로 살이 너무쪘어요 하지만 병원에가면 별이상 없다하고 무기력하고 사소한일에도 스트레스 받고 운동은 해도 살은 안 빠지고 배고프다면 식용 조절 안되고 마구 먹었습니다 얼굴은 월상안 돼있고 생리는 이년 넘게 끊기고요 인터넷 검색하면 쿠싱증후군 반응이 제 반응과 같았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김민선 교수님 예약했고 진료보는 날 교수님 뵈자마자 이런 표현 무례할수 있지만 신들린 눈빛으로 저한테 스테로이드제품 쓰죠 목주위에 약독 퍼져있어요하고 심각하게 얘기하시는데 생각해보니 어루러기 때문에 연고 완전 달고 살았거든요
스테로이드 부작용이라고하시면서 그거 끊기 어렵다고 데게 심각하게 얘기하시고 갑상선 저하증있다고 신지록신 처방해주셨어요 저 전에 산부인과에서 갑상선검수 수치 정상이라했는데 오진이였나봐요
지금은 교수님 처방해주신 약 아침마다 먹고 좀 정상으로 돌아왔어요 살도 5kg정도 빠지고 생리도 주기적으로 오고 지금은 전 보다 너무 많이 좋아졌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진료 | ||||
오후 | 클리닉 | 진료 |
프로필
학력
- 1995 .03 ~ 2001 .02서울대학교 의학 박사
- 1993 .03 ~ 1995 .02서울대학교 의학 석사
- 1984 .03 ~ 1990 .02서울대학교 의학 학사
경력
- 2008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부교수, 교수
- 2002 ~ 2008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조교수
- 2002아산생명과학연구소, 특별위촉 연구원
- 2000 ~ 2002서울대학병원 내과 전임의
- 1996 ~ 2000영국 런던대학교 햄머스미스병원 연구원
- 1991 ~ 1995서울대학교병원 내과 레지던트
- 1990 ~ 1991서울대학교병원 인턴
논문
- Meal-related oscillations in the serum serotonin levels in healthy young men.
- Hypo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pituitary metastases.
- Impact of diabetes duration and degree of carotid artery stenosis on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ohort study
- Impact of diabetes duration and degree of carotid artery stenosis on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ohort study.
- NERP-2 regulates gastric acid secretion and gastric emptying via the orexin pathway.
- Postoperative Neurologic Outcome in Patients with Pituitary Apoplexy After Transsphenoidal Surgery.
- Emerging role of the brain in the homeostatic regulation of energy and glucose metabolism.
- Leptin signalling pathways in hypothalamic neurons.
- The Recovery of Beta-Cell Function is Critical for Antidiabetic Outcomes of Gastric Bypass in Asia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and a Body Mass Index Below 30.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 생로병사의 비밀 – 당뇨합병증, 결국 혈관 염증 때문이다!.20161214
- 영상 – EBS명의 ) 아버지의 자리 – 아버지의 상실 당뇨 합병증 김민선 교수
- 영상 – 당뇨환자의 운동 방법 [AMC 병법] 김민선 교수
- 영상 – 운동요법의 효과김민선 교수
- 영상 – 당뇨인 운동 횟수 김민선 교수
- 영상 – 당뇨 환자 추천 운동 김민선 교수
- 언론 – 뚜벅뚜벅 ‘침묵의 살인자’… 당화혈색소 수치에 주목하라
- 언론 – “당뇨병 진단 받는 즉시 당뇨합병증 검사해야”
- 언론 – 당뇨로 인한 모든 질환 체계적 관리·치료
- 언론 – 식욕 줄이는 지엘피1(GLP-1) 호르몬, 음식 오래 씹어야 잘 나온다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