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와 그 가족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전문적인 의료 지원과 함께 따뜻한 돌봄을 제공하는 것, 그것이 바로 동아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의 김묘징 교수의 역할입니다. 김묘징 교수는 고위험신생아, 미숙아, 그리고 미숙아 조기중재 분야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고 있어요. 김묘징 교수의 전문 분야는 바로 신생아와 그 가족들에게 가장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죠. 그녀의 깊은 전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 아이들과 가족들에게 큰 신뢰감과 안정감을 줄 수 있게 해줍니다.그럼, 이제부터 김묘징 교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볼까요?
김묘징 교수 프로필 | |
이름 | 김묘징 |
소속 | 동아대병원 |
진료과 | 소아청소년과 (어린이센터) |
진료분야 | 고위험신생아, 미숙아, 미숙아 조기중재 |
학력 |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의학 박사 |
대표경력 | 동아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과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묘징 교수는 현재 동아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상세정보
동아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소속된 김묘징 교수는 고위험신생아, 미숙아, 미숙아 조기중재 분야의 전문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김묘징 교수는 부산대학교 의과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그리고 이후 동일 대학원에서 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김묘징 교수는 소아과 전문의 및 신생아 분과 전문의 자격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6년에는 국제모유수유전문가 자격을 획득하였다. 김묘징 교수는 삼성서울병원과 동아대학교 의료원에서 소아청소년과 신생아 분과 임상강사로 활동하였으며, 이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에서 전임강사로 재직하였다. 현재는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교수 및 동아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과장으로 활동 중이다.
김묘징 교수는 대한소아과학회, 대한신생아학회, 대한주산의학회, 대한모유수유의사회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대한신생아학회의 조사통계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신생아의 건강은 그들의 성장과 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김묘징 교수의 전문성과 경험은 이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
오후 | 진료 |
프로필
소속 | 소아청소년과 (어린이센터) | ||
---|---|---|---|
진료분야 | 고위험신생아, 미숙아, 미숙아 조기중재 | ||
학력 |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의학 석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의학 박사 소아과 전문의 신생아 분과 전문의 | ||
경력 | 국제모유수유전문가(2006)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생아 분과 임상강사 동아대학교 의료원 소아청소년과 신생아 분과 임상강사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전임강사 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교수 현 동아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과장 | ||
학회활동 및 사회활동 | 대한소아과학회 정회원 대한신생아학회 정회원 대한주산의학회 정회원 대한모유수유의사회 정회원 현 대한신생아학회 조사통계위원 | ||
연구 | ※ 국제학술지 1. Granulocyte Stimulating Factor Attenuates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by Inhibiting Apoptosis in Neonatal Rats. Yonsei Medical Journal 20082. Outcome Following Surgical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Yonsei Medical Journal 20083. Erythropoietin Attenuates Brain Injury Subventricular Zone Expansion and Sensorimotor Deficits in Hypoxic-Ischemic Neonatal Rats. JKMS 2008 ※ 국내학술지 1. Analysis of Maternal and Neonatal Transport by the 1339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in Busan Area. 대한신생아학회지 20112. Pulmonary Hypertension Secondary to Bronchopulmonary Dysplasia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1500 g). 대한신생아학회지 20113. Effect of Synagisⓡ (palivizumab) prophylaxis on readmission due to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대한소아과학회지 2010등 다수의 국내 국제 학술대회 발표 |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언론 – 영아기 성장-두뇌발달엔 영양강화 분유로 열량-단백질 채워야
- 언론 – 병원에선 10개월, 어린이집은 3살 반?…”‘이른둥이’ 나이 고쳐야”
- 언론 – 똑바로 눕혀만 재워도 아기 돌연사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