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김광준 교수 (노년내과)

환영합니다! 오늘은 세브란스병원의 김광준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교수님의 전문 분야는 무엇인지, 학력은 어떻게 되시는지, 그리고 주요 업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김광준 교수 프로필
이름김광준
소속세브란스병원
진료과노년내과
진료분야노인 및 노년기 질환, 노인대사성질환(골다공증/당뇨병/이상지질혈증/대사증후군/동맥경화/지방간)
학력연세대학교 의학대학
대표경력세브란스 병원 노년내과 임상부교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김광준 교수는 현재 세브란스병원 노년내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김광준 교수는 연세대학교에서 의학사와 의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세브란스 병원에서 인턴 및 내과 전공의를 마쳤습니다. 이후 내분비내과 전임의를 거쳐 VIP 검진센터와 건강검진센터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습니다. 현재는 세브란스 병원 노년내과 임상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VIP 검진센터 부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진료분야는 노인 및 노년기 질환, 노인대사성질환(골다공증,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대사증후군, 동맥경화, 지방간)으로, 특히 노인의 복합적인 건강 문제를 포괄적으로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김 교수의 진료철학은 노인 환자를 단순히 특정 질환을 가진 환자가 아닌, 종합적인 치료가 필요한 ‘사람’으로 보는 것입니다. 노인은 여러 질환을 동시에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복용하는 약물도 많아 복합적인 원인에 대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의학적인 포괄적 관리와 연속적 관리, 사회적 지지에 대한 고려를 중요시합니다.

학술활동으로는 대한내과학회 종신회원, 대한노인병학회 정회원, 대한내분비학회 평생회원, 대한당뇨병학회 평생회원, 대한골다공증학회 정회원, 대한의료인공지능학회 이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이사, 미국당뇨병학회 정회원, 미국골대사학회 정회원, 미국내분비학회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광준 교수는 풍부한 임상 경험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며, 노년내과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그의 헌신과 전문성은 많은 환자들에게 신뢰와 존경을 받고 있으며, 지속적인 학술 활동과 진료를 통해 노년내과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오전본관본관
오후본관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진료분야

  • 노인 및 노년기 질환, 노인대사성질환(골다공증/당뇨병/이상지질혈증/대사증후군/동맥경화/지방간)

학력

  • 연세대학교 의학사
  • 연세대학교 의학석사

경력

  • 2003-2004 세브란스 병원 인턴
  • 2006-2010 세브란스 병원 내과 전공의
  • 2010-2011 세브란스 병원 내분비내과 전임의
  • 2011-2013 세브란스 병원 VIP 검진센터 임상조교수
  • 2013-2014 세브란스 병원 건강검진센터 건강의학부장
  • 2014-2016 세브란스 병원 건강검진센터 (세브란스 체크업) 부원장
  • 2016-2020 세브란스 병원 노년내과 임상조교수
  • 2018- 세브란스 병원 VIP 검진센터 부소장
  • 2021- 세브란스 병원 노년내과 임상부교수

학술활동

  • 대한내과학회 종신회원
  • 대한노인병학회 정회원
  • 대한내분비학회 평생회원
  • 대한당뇨병학회 평생회원
  • 대한골다공증학회 정회원
  • 대한의료인공지능학회 이사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이사
  • 미국당뇨병학회 정회원
  • 미국골대사학회 정회원
  • 미국내분비학회 정회원

진료철학

고령층이 호소하는 불편감은 하나의 원인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린이가 단순히 작은 성인이 아니기 때문에, 소아청소년 환자는 이들의 특징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소아청소년과에서 진료를 합니다. 마찬가지로 노인의 경우에도 노인이 가지고 있는 특정 질환뿐 아니라 한명의 ‘사람’ 을 위한 종합적인 치료가 필요한 환자라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노인은 여러 질환을 동시에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복용하는 약제도 많으며, 질환이 회복되는 데 시간이 오래걸립니다. 어떤 특정 상황 혹은 증상이 발생하기까지 단순한 한 가지 원인보다는 복합적인 원인이 동시에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노인 환자는 특정 질환 혹은 장기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하는 일반적인 진료 개념과는 다르게 ‘의학적인 포괄적 관리’와 더불어 ‘연속적 관리와 이를 위한 사회적 지지에 대한 고려’를 함께 해야합니다.

또한 고령층의 경우 기존의 의료서비스에서 진일보한 디지털헬스케어 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거동이 불편해서 병원에 오기 힘든 경우 비대면진료를 활용할 수 있고, 청력의 저하로 의료진의 설명을 잘 듣지 못하는 경우 말을 글로 바꾸어주는 기술 (STT – Speech to Text) 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를 노인의학에 접목하여 환자의 편의성과 의료서비스의 수준을 높이고자 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1. 📰 언론 [KBS] [생로병사의 비밀] 생로병사의 비밀 희망의 여정 23년2024-03-07
  2. 📰 언론 [EBS] [귀하신 몸]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노년내과2024-02-13
  3. 📰 언론 [KBS]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플러스] 1) 겨울철 건강 뉴스 팩트 체크2023-11-27
  4. 📰 언론 [KBS] [재난·안전 인사이드] 독감 유행에 코로나19까지 “동시 접종 가능”2023-11-20
  5. 📰 언론 [KBS]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가을철 불면증 해소법 2023-10-10
  6. 📰 언론 [조선일보] 오줌발 유지하려면 이렇게 하라… 신체 부위별 노화 대처법 2023-09-15
  7. 📰 언론 [KBS]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혈당 잡는 확실한 방법 2023-07-17
  8. 📰 언론 [KBS]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인터넷 뉴스 그 진실은?
  9. 📰 언론 [국민일보] ‘노인을 위한 병원은 없다’… 전국 노년내과 10곳 미만 
  10. 📰 언론 [중앙일보] ‘약 34개’를 밥처럼 먹는 할머니…정작 중요한 약은 빠졌다, 왜 
  11. 📰 언론 [뉴스1] 하루에 약 10개 이상 먹는 사람 117만명에 달해…3년 전보다 36만
  12. 📰 언론 [헤럴드경제] “땀빼서 만든 근육, 이것이 망치네”…피해야 할 음식은? [식탐]

이 글은 다양한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과 추천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질병으로 인해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문의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이메일로 연락해 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또한,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업데이트하겠습니다.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아래 댓글창을 통해

정보를 교류하고

좋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익명으로 작성 가능합니다!

👇👇👇👇👇👇👇👇👇👇👇👇👇

📧관련 문의 : assacharming@gmail.com.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