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힘들게 겪고 계신 질병과의 싸움, 그 어려움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의료의 세계는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소개를 통해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김경문 교수님의 전문성이 여러분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김경문 교수 프로필 | |
이름 | 김경문 |
소속 | 삼성서울병원 |
진료과 | 신경과 |
진료분야 | 뇌졸중, 일과성뇌허혈, 경동맥질환, 유전성뇌혈관질환, 퇴행성뇌질환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
대표경력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장 |
링크 | 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
개요
김경문 교수는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신경과 김경문 교수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인 김경문 교수는 1990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미국 워싱턴 의대 신경과 연구 전임의,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전임의 등을 거쳐 2002년부터 삼성서울병원 신경과에서 근무하였으며, 이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교수로 임용되어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또한 그는 심장뇌혈관병원 뇌졸중 센터장,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주임교수 등의 직무를 수행하기도 하였다.
김경문 교수는 뇌졸중, 일과성 뇌허혈, 경동맥 질환, 유전성 뇌현관 질환, 퇴행성 뇌질환 등의 분야에서 많은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대한신경과학회, 대한뇌졸중학회 등의 학회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진료시간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오전 | 진료 | 클리닉 | 진료 | 진료 | ||
오후 |
프로필
학력
1998.08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 |
---|---|
1996.02 |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석사) |
1990.02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
경력
2023.04 ~현재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장 |
---|---|
2023.04 ~현재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 주임교수 |
2014.04 ~현재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2019.04 ~ 2023.03 | 심장뇌혈관병원 뇌졸중센터장 |
2008.04 ~ 2014.03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
2011.07 ~ 2012.06 | 미국 하버드의대/매사추세츠종합병원 연구원 |
2004.03 ~ 2008.03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조교수 |
2002.03 ~ 2004.02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임상조교수 |
1998.08 ~ 2002.02 | 미국 워싱턴의대 신경과 연구 전임의 |
1996.03 ~ 1998.02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전임의 |
1992.03 ~ 1996.02 |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레지던트 수료 |
1990.03 ~ 1991.02 |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수료 |
학회활동
2009.03 ~ 현재 | 대한중환자의학회 회원 / 중환자의학 세부 전문의 |
---|---|
2003.01 ~ 현재 | American Heart Association / American Stroke Association 회원 |
2002.03 ~ 현재 | 대한뇌졸중학회 회원 |
1998.01 ~ 현재 | Society for Neuroscience 회원 |
1996.01 ~ 현재 |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회원 |
1993.01 ~ 현재 | 대한신경과학회 회원 |
2022.03 ~ 2024.02 | 대한뇌졸중학회 부이사장 |
2018.03 ~ 2020.02 | 대한신경과학회 기획이사 |
2016.03 ~ 2018.02 | 대한뇌졸중학회 특임이사 |
2016.03 ~ 2018.02 | 대한신경과학회 정보이사 |
2014.03 ~ 2016.02 | 대한뇌졸중학회 총무이사 |
2010.03 ~ 2011.06 | 대한뇌졸중학회 재무이사 |
2008.03 ~ 2010.02 | 대한뇌졸중학회 교육이사 |
2005.05 ~ 2008.02 | 대한뇌졸중학회 총무이사 |
논문
- THROMB RES 2023 10.1016/j.thromres.2023.07.014D-dimer to fibrinogen ratio predicts early neurological deterioration in ischemic stroke with atrial fibrillationNam, KW; Kim, CK; Yu, SW; Oh, K; Chung, JW; Bang, OY; Kim, GM; Jung, JM; Song, TJ; Kim, YJ; Kim, BJ; Heo, SH; Park, KY; Kim, JM; Park, JH; Choi, JC; Park, MS; Kim, JT; Choi, KH; Ha Hwang, Y; Seo, WKView PubMed
- J AM HEART ASSOC 2023 10.1161/JAHA.123.029604Topographical Association Between Left Ventricular Strain and Brain Lesions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and Normal Cardiac FunctionChung, D; Hong, SW; Lee, J; Chung, JW; Bang, OY; Kim, GM; Seo, WK; Park, SJView PubMed
- J STROKE 2023 10.5853/jos.2022.02327Circulating Extracellular-Vesicle-Incorporated MicroRNAs as Potential Biomarkers for Ischemic Stroke in Patients With CancerBang, OY; Kim, EH; Oh, MJ; Yoo, J; Oh, GS; Chung, JW; Seo, WK; Kim, GM; Ahn, MJ; Yang, SW; OASIS-CANC StudyView PubMed
- FRONT NEUROL 2023 10.3389/fneur.2023.1069502The effect of intensive statin therapy in non-symptomatic intracranial arteries: The STAMINA-MRI sub-studySim, JE; Song, HN; Choi, JU; Lee, JE; Baek, IY; Cho, HH; Kim, JH; Chung, JW; Kim, GM; Park, HJ; Bang, OY; Seo, WKView PubMed
- SCI REP-UK 2023 10.1038/s41598-023-30234-6Automated in-depth cerebral arterial labelling using cerebrovascular vasculature reframing and deep neural networksHong, SW; Song, HN; Choi, JU; Cho, HH; Baek, IY; Lee, JE; Kim, YC; Chung, DR; Chung, JW; Bang, OY; Kim, GM; Park, HJ; Liebeskind, DS; Seo, WKView PubMed
- VASCULAR 2023 10.1177/17085381231155035The Impact of age and outcomes of high-risk patients on carotid revascularizationPark, JK; Woo, SY; Park, YJ; Kim, DI; Kim, GM; Seo, WK; Jung, JW; Jeon, P; Kim, KH; Kim, YW; Yang, SSView PubMed
- J CLIN NEUROL 2022 10.3988/jcn.2022.18.6.610Vessel Wall Changes on Serial High-Resolution MRI and the Use of Cilostazol in Patients With Adult-Onset Moyamoya DiseaseKim, JY; Kim, HJ; Choi, EH; Pan, KH; Chung, JW; Seo, WK; Kim, GM; Jee, TK; Yeon, JY; Kim, JS; Hong, SC; Seong, MJ; Cha, J; Kim, KH; Jeon, P; Bang, OYView PubMed
이 외에도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여담 및 관련기사
- [영상] 아스피린이 뇌졸중 예방에 도움이 되나요?[1분 메디캠_뇌졸중 편]
- [영상] 뇌졸중이 있으면 다른 혈관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는 건가요?[1분 메디캠_뇌졸중 편]
- [영상] 증상 발생 후 빨리 병원에 와도 혈전용해치료를 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1분 메디캠_뇌졸중 편]
- [언론기사] 뇌졸중 환자 30% 안팎 미리 ‘미니 뇌졸중’ 경험
- [언론기사] ‘침묵의 저격수’ 뇌졸중 피하려면 “담배부터 끊어라”
- [언론기사] 외출 두려운 만성질환자 건강 적신호…대비법은?
- [언론기사] 기억력 저하 심하게 느끼면 뇌졸중 의심
- [언론기사] 겨울철 자주 나타나는 ‘뇌졸중’ 대응…발병 3시간 내 치료 ‘완치율 90%’ 거뜬
- [언론기사] 뇌졸중 가장 큰 원인은 심방세동 각별한 주의 필요
- [언론기사] 여름에도 심장과 뇌 건강관리 하세요
- [언론기사] 여름에도 심장과 뇌 건강관리 하세요
- [언론기사] 푹푹찌는데, 땀은 안나고 실신까지…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