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곽금연 교수

다양한 질병 중에서도 간질환은 그 복잡성과 심각성 때문에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이에 대응하는 전문가 중에서도 그 누구보다도 뛰어난 역량을 갖춘 의료진이 필요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오늘 주목할 인물은 삼성서울병원 곽금연 교수님입니다. 간질환의 다양한 분야에서 깊은 전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제 곽금연 교수님의 업적과 활동을 통해 간질환 치료의 세계를 들여다보겠습니다.

곽금연 교수 프로필
이름곽금연
소속삼성서울병원
진료과소화기내과
진료분야간암, 간경화, 급성간염, 만성간염, 지방간, 간질환
학력서울대학교 의학과 박사
대표경력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전문의
링크프로필 : 출처 – 공식사이트

개요

 

곽금연 교수는 현재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에 재직중이다.

소화기내과 곽금연 교수

 

곽금연 교수님은 서울대학교에서 의학과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모두 취득하신 후, 다양한 의료 기관에서 국내외로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전임의로 시작하여, 서울시립보라매 병원, 삼성서울병원 등에서 진료 및 연구 활동을 이어갔다.

또한, 교육적 역량을 인정받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임상조교수부터 현재의 교수까지 역임하시며, 대학에서의 교육 활동과 함께 삼성서울병원에서 소화기내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전문 분야는 간암, 간경화, 급성간염, 만성간염, 지방간 등 다양한 간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이다. 이 분야에서의 깊은 전문 지식과 경험은 많은 환자들에게 큰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대한간학회, 대한내과학회, 대한소화기학회 등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2015년부터는 대한소화기학회지의 편집위원장으로서 학문적인 기여를 이어가고 있다.

곽금연 교수님은 전문 분야인 간질환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연구, 그리고 탁월한 진료 능력으로 많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하고 있다. 헌신적인 노력과 업적은 간질환 치료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진료시간

 

오전진료진료
오후진료진료
2023년 11월 기준 진료일자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학력

2005.02서울대학교 의학과 박사
2003.02서울대학교 의학과 석사
1997.02서울대학교 의학과 학사

경력

2021.04 ~현재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교수
2006.09 ~현재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전문의
2015.04 ~ 2021.03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부교수
2011.03 ~ 2015.03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조교수
2007.03 ~ 2011.02삼성서울병원 내과 임상조교수
2008.08 ~ 2010.07Columbia University 연수
2006.09 ~ 2007.02삼성서울병원 내과 임상전임강사
2005.03 ~ 2006.02서울대학교 병원 촉탁의
2004.03 ~ 2005.02서울시립보라매 병원 전담의
2002.03 ~ 2004.02서울대학교 병원 전임의
1998.03 ~ 2002.02서울대학교 병원 전공의
1997.03 ~ 1998.02서울대학교 병원 수련의

학회활동

대한간학회회원
대한내과학회회원
대한소화기학회회원
2015.11 ~ 현재대한소화기학회지 편집위원장

논문

  • JHEP REP 2023 10.1016/j.jhepr.2023.100810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and the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Song, BG; Choi, SC; Goh, MJ; Kang, WS; Sinn, DH; Gwak, GY; Paik, YH; Choi, MS; Lee, JH; Paik, SWView PubMed
  • CLIN GASTROENTEROL H 2023 10.1016/j.cgh.2022.11.035Letter to the Edit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out Metabolic-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ReplySinn, DH; Kang, D; Guallar, E; Cho, J; Gwak, GYView PubMed
  • PLOS ONE 2023 10.1371/journal.pone.0288820Regress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s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of incident diabetes: A longitudinal cohort studySinn, DH; Kang, D; Guallar, E; Choi, SC; Hong, YS; Park, Y; Cho, J; Gwak, GYView PubMed
  • CLIN GASTROENTEROL H 2023 10.1016/j.cgh.2022.09.014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out Metabolic-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and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Sinn, DH; Kang, D; Choi, SC; Hong, YS; Zhao, D; Guallar, E; Park, Y; Cho, J; Gwak, GYView PubMed
  • SCI REP-UK 2023 10.1038/s41598-023-36668-2Improved on-treatment fibrosis-4 during antiviral therapy and lower hepatocellular carcinoma risk in cirrhotic patients with hepatitis BOh, JH; Park, Y; Goh, MJ; Sinn, DH; Ahn, SB; Kang, WS; Gwak, GY; Paik, YH; Choi, MS; Lee, JH; Paik, SWView PubMed
  • WORLD J GASTROENTERO 2023 10.3748/wjg.v29.i24.3843Effect of lifestyle modification on hepatocellular carcinoma incidence and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Park, Y; Kang, D; Sinn, DH; Kim, H; Hong, YS; Cho, J; Gwak, GYView PubMed
  • LIVER INT 2023 10.1111/liv.15632Validation of non-invasive diagnosis of CSPH in patients with compensated advanced chronic liver disease according to Baveno VIISong, BG; Goh, MJ; Kang, W; Gwak, GY; Paik, YH; Choi, MS; Lee, JH; Paik, SW; Sinn, DHView PubMed
  • SCI REP-UK 2023 10.1038/s41598-023-31686-6Associations of physical activity domains and muscle strength exercise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nation-wide cohort studyPark, Y; Sinn, DH; Kim, K; Gwak, GYView PubMed
  • ALIMENT PHARM THER 2023 10.1111/apt.17403Letter: comment on Park et al – the associ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 – authors’ replyPark, Y; Sinn, DH; Gwak, GYView PubMed

여담 및 관련기사

 

  1. 영상 – 건강산책_건강한 간을 위한 생활법 – 소화기내과 곽금연 교수[의료진 ON Line 강의]
  2. 영상 – “부모가 지방간이면 자녀도 지방간 위험 높다” / YTN 사이언스
  3. 언론 – [명의에게 묻다] 백신 없던 C형간염…’완치의 문’ 활짝 열렸다
  4. 언론 – 삼성서울병원, 비알코올성 지방간 ‘근손실’ 원인 밝혀
  5. 언론 – 암 사망률 2위 간암, 어떻게 예방·치료할까?
  6. 언론 – 삼성서울병원 “간수치 높다면, 맥주 한잔에도 사망위험 2배↑”
  7. 언론 – 술보다 더 무서운 간암의 복병 ‘간염’
  8. 언론 – ‘비알콜성지방간 진단시 대장용종 발병 위험성 ↑’
  9. 언론 – ‘만성 바이러스 간염환자’ 소주 한잔도 치명적

이 글을 같이 근무하는 의료인들의 추천과 이야기를 종합하여 정리한 내용입니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모든 환자와 보호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 문의 사항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일 주시면 최선을 다해 돕겠습니다. 추가내용 작성하고 싶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시면 삭제하면서 추가로 검증 후 작성해드리겠습니다. 많은 정보를 위해 도움이 되는 글이 되고 싶습니다.

오늘도 이 글을 읽어주신 모든분들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축복합니다.

Leave a Comment